총 25개
-
성인간호 분담주제 pacemaker간호(인공심박동기)2025.05.141. 정상적인 심장과 병적으로 느리게 뛰는 심장 정상적인 심장은 4개의 방(좌·우 심방, 좌·우 심실)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심방에 있는 동방결절(Sinus Node)에서 전기 자극이 발생하여 심장 전기 자극 전도계를 따라 심장 전체로 퍼져 심장이 뛴다. 반면 병적으로 느리게 뛰는 심장은 SA Node에서 전기 자극을 잘 만들어내지 못하거나, 전도계를 통하여 전기가 잘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2. Pacemaker 정의와 구조 인공 심장 박동기는 심박동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심장근육에 반복적인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기구이...2025.05.14
-
성인간호학실습 인공심박동기 삽입 케이스스터디 (진단4개, 과정2개)2025.01.231. Sinus Bradycardia Sinus bradycardia는 심박수가 60회/분 미만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정상적인 전기전달체계에 의해 heartbeat가 발생되나 횟수가 60회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이는 SA node의 완전성 손상, AV node의 문제, His-Purkinje fibers의 실패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으로는 hypotension, syncope, angina pectoris, premature contraction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을 위해 EKG, 호르몬 검사, E...2025.01.23
-
성인 완전방실차단 Complete AV Block 중환자실 케이스2025.01.221. 방실차단 방실전도차단은 심방의 전기 자극이 방실 전도계의 병적인 불응 현상이나 절단에 의하여 심실로 전도되는 데에 장애가 생긴 현상을 말한다. 방실전도의 차단은 심방 내, 방실결절, His-Purkinje 계의 전도지연이나 차단으로 인하며, 히스속 전기도의 기록으로 차단 부위의 해부학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즉, 방실결절 부위에서 방실차단이 일어나면 예후가 좋고, 반대로 하부 즉, 히스속 이하에서 차단이 일어나면 예후는 불량하다. 2. 증상 및 징후 1도 방실전도 장애 - AV node에서 잠깐의 전도 지연...2025.01.22
-
Escape rhythm2025.01.031. Escape rhythm Escape rhythm은 심장의 정상 박동 조절 기능이 실패할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동방결절의 기능 장애나 완전 방실차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심장의 다른 부위에서 자체적으로 박동을 생성하여 심장 활동을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한 escape rhythm에는 심방 escape rhythm, 접합부 escape rhythm, 심실 escape rhythm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발생 원인, 치료법이 다릅니다. 2. Atrial escape rhythm Atrial esca...2025.01.03
-
sudden cardiac death (틴티날리)2025.05.101. Sudden Cardiac Death Sudden cardiac death (SCD)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with most episodes occurring in the home. Cardiac arrests in public places have a much better chance of survival, as the initial recorded cardiac rhythm is more likely to be ventricular fibrillation. SCD has a circa...2025.05.10
-
(이거면 A+ 보장!!!)성인간호학1 임상실습 A+ 케이스(식이, 투약, 진단, NANDA를 기반으로 한 간호진단 및 수행과 결과 포함)2025.05.121.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CHF는 심장의 구조나 기능의 이상으로 인해 조직에서 대사에 필요한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는 임상 증후군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수축기 또는 이완기 심실기능장애, 판막 이상, 심막 이상, 심내막 이상, 심장박동 및 전도 이상 등이 있습니다. 병태생리로는 preload 증가, afterload 증가, 심근 수축력 감소 등이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신체검진,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을 시행하며, 치료는 비약물치료와 약물치료, 수술요법 등으로 이루어집니다...2025.05.12
-
NSTEMI 환자의 간호과정 및 Case study2025.05.031. 심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조직관류 급성 심부전은 심장 기능의 이상에 의해 전형적인 심부전의 증상이나 징후가 급속히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기존의 심장 질환이 갑자기 악화되면서 발생할 수도 있고 혹은 갑작스럽게 발생한 새로운 심장 질환에 의해서도 급성 심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주된 임상적 발현 양상은 폐울혈로 나타나나 어떤 경우에는 심박출량의 감소와 조직 관류 저하(hypoperfusion)의 증상이나 징후로 발현되기도 한다.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침습적 처치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감염을 병원 감염이...2025.05.03
-
심장내과 daily case report2025.01.031. Atrioventricular block, second degree 70세 여성 환자로, 2도 방실차단과 2:1 방실차단 진단을 받고 영구 심박동기 삽입술을 위해 입원했습니다. 환자는 과거력으로 우측 어깨 수술, 좌측 손목 골절 수술, 심실 전도 이상, 골관절염 등이 있었습니다. 입원 기간 동안 환자의 활력징후와 의식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심박동기 삽입술 후 심박수가 정상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수술 부위 통증과 발열 등의 합병증이 발생했지만 적절한 간호 중재로 호전되었습니다. 환자는 입원 생활과 수술 전후...2025.01.03
-
성인간호학실습 A+ 인공심박동기, 심내막염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5개2025.01.121. 인공심박동기 삽입 및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환자는 infection on ICD lead insertion site로 PMK reinsertion한 자로 endocarditis에 대한 ABx 치료효과가 미미하며 mild fever 지속됨. 혈당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DM으로 인한 합병증 여부 관찰 필요함. 지속되는 infection으로 환자 지친 상태이며 이에 대한 emotional care 및 supportive care 필요한 상태임. 2. 부적절한 자가 당뇨관리와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환자는 LMC에서...2025.01.12
-
부정맥 치료2025.01.151. 약물요법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요법의 목적은 부정맥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다. 항부정맥제도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약물요법에는 나트륨통로차단제, 교감신경 베타수용체 차단제, 칼륨통로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기타약물 등이 있다. 2. 전기충격요법 전기충격요법(electric shock)은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해 직류 전기를 이용하여 심근에 순간적인 충격을 가함으로써 심장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흥분을 제거하고 정상적인 리듬으로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다. 제세동과 심장율동 전환술이 있...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