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83개
-
감염관리 및 격리지침2025.05.141. 의료관련 감염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이란 입원 당시 없던 감염증이 발생(48시간 이후)하는 것을 말하며, 입원뿐만 아니라 외래진료를 포함하여 의료기관 내에서 의료행위와 관련된 감염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의료관련감염은 환자가 입원하고 있을 동안에 시작되지만, 퇴원 후에 발병할 수도 있다. 2. 감염관리의 목적 병원 내 감염관리체계의 목적은 환자와 병원 직원의 감염 위험요인을 찾아내어 감소시켜서 병원감염을 줄이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2년 의료법에 '병원감염의 예방' 조...2025.05.14
-
응급실 격리지침2025.04.281. 응급실 환자 격리지침 응급실 환자 격리지침은 감염성 질환 및 면역 저하 환자 관리 절차에 따라 감염성 질환 유입을 차단하고 면역 저하 환자를 보호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Triage 직원은 감염성 질환이나 면역 저하가 의심되거나 확진된 경우 환자를 격리합니다. 경험적 선제 격리가 필요한 경우, 보호 장구 착용, 격리 환자 관리, 직원 보호구 착용, 환자 이동 최소화 등의 지침이 포함됩니다. 2. 감염관리 계획 감염관리 계획은 환자, 보호자 및 의료진의 감염으로부터 안전을 도모하고 감염 발생 시 확산을 방지하...2025.04.28
-
아동의 코로나 감염관리2025.01.041. 소아청소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소아청소년은 성인에 비해 호흡기 질환의 빈도가 높고, 코로나 19 외에도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호흡기 질환이 발생합니다. 소아청소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환의 중증도가 경미하며 무증상인 경우도 많습니다. 특별한 치료 없이도 호전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무증상이나 경증 감염의 경우에는 가정에서 타인과의 접촉을 제한하면서 돌볼 수 있습니다. 2. 소아청소년 진료지침 소아청소년 환자와 보호자는 마스크 착용을 유지하고 환자 간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24개월 미만의 소아 또...2025.01.04
-
기본간호학: 감염관리와 코로나19 관리지침2025.11.141. 표준주의(Standard Precautions) 표준주의는 의료기관에서 모든 환자 처치 시 적용하는 기본 지침으로, 환자의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손상된 피부와 점막을 다룰 때 적용된다. 손 위생, 개인 보호구, 호흡기 위생, 환자 배치, 치료기구 관리, 환경 관리, 린넨 관리, 안전한 주사행위, 직원 안전 등을 포함한다. 모든 환자의 혈액과 체액은 감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환자의 진단명이나 감염 상태와 무관하게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감염 예방 지침이다. 2. 전파경로별 주의(Transmission-Ba...2025.11.14
-
C형간염 환자 관리 및 감염 예방 교육2025.11.181. C형간염의 정의 및 진단 C형간염은 Hepacivirus C에 의한 급성 간염질환으로 제3급 감염병입니다. 진단은 2단계로 진행되며, 1단계에서 항체검사(선별)를 실시하고 2단계에서 RNA 유전자 검사(확진)를 통해 확인합니다. 급성 C형간염은 70~80%가 만성화되며, 만성간염 환자의 20~30%가 간경변증으로 진행되고 매년 1~6%가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HCV 유전형에 따라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하며 적절한 치료로 완치가 가능합니다. 2. 환자 관리 및 격리 지침 C형간염 환자는 별도의 격리가 불필요하며, 혈액 및 ...2025.11.18
-
중환자실 CPE 집단 발생 결과(유행 조사) 보고서2025.01.181. CPE 집단 발생 결과 보고 중환자실에서 CPE(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집단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유행 조사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 유행 상황 확인, 발생 요인 추측, 감염관리 중재 활동 및 결과, 유행 종결 및 제언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감염관리 중재 활동 CPE 집단 발생에 대한 감염관리 중재 활동으로 감염감시(접촉자 조사), 부서교육(손위생, CPE 감염관리, 환경관리), 현장점검(손위생 수행률, 격리지침 수행률, 선제검사 시행률, 환경관리 시행...2025.01.18
-
A+ 감염관리지침 격리법 응급간호학2025.05.151. 감염관리 격리 지침법 감염자나 보균자 또는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직원이 감염되거나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여 환자, 보호자, 직원, 방문객 및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격리주의, 표준주의,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등의 방법이 있다. 2. 격리주의 감염자나 보균자 또는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직원이 감염되거나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으로, 넓은 의미로 감염의 전파를 차단하는 모든 방법이다. 3. 표준주의 병원에 입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기관 내에서 감염원으로 인지되...2025.05.15
-
[A+자료] 표준주의 지침(정의, 격리 및 역격리, 표준주의 적용사례기반 분석)2025.04.281. 표준주의 지침 표준주의는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처치와 술기, 간호를 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지침이다. 표준주의지침은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며, 병원 내에서 감염원으로 인지하거나 인지하지 못한 모든 미생물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환자와 병원직원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관련감염의 전파 예방을 위해 적용되기도 한다. 표준주의 권고사항에는 일반원칙, 호흡기 예절, 환자의 이동과 배치, 치료장비와 기구관리, 환경관리 등이 포함된다. 2. 공기매개주의 공기매개주의란 비말핵이 수증기화 된 물방울이나 먼지...2025.04.28
-
의료기관 감염관리2025.01.281. 표준주의 및 전파 경로별 격리 지침 표준주의는 모든 환자에서 유래된 혈액이나 체액은 감염성이 있다고 간주하여 이에 대한 노출을 피하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인 감염관리 지침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인의 보호와 환자 안전을 도모합니다. 전파 경로별 격리 지침에는 접촉주의, 비말주의, 공기주의가 있습니다. 2. 손 위생 손 위생은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눈에 보이는 오염이 없다면 손소독제를 사용하고, 오염이 있다면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씻어야 합니다. 특히 엄지, 손가락 사이, 손끝 등 잘 씻기지 않는 부분에 주의해야 ...2025.01.28
-
정신병원 격리·강박의 법적, 윤리적 문제 해결2025.11.121. 자율성의 원칙과 선행의 원칙의 윤리적 갈등 정신병원에서 환자의 자살 위험이나 타인 위협 시 격리·강박 조치가 필요하지만, 이는 환자의 자유로운 의사결정권을 침해하는 자율성의 원칙 위반과 환자 안전을 위한 선행의 원칙 사이의 갈등을 야기한다. 의료인은 환자의 의견을 충분히 경청하고 격리 외 다른 대안을 검토해야 하며, 격리·강박이 정당한 의료 행위인지 지속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2. 정신건강복지법 제75조와 격리·강박 지침의 법적 모순 정신건강복지법 제75조는 자·타해 위험성이 뚜렷하고 다른 방법이 곤란할 때만 전문의 지시 하에...202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