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89개
-
요추천자: 준비물과 시술 방법2025.11.151. 요추천자의 정의 및 목적 요추천자(lumbar puncture, spinal tap)는 뇌척수액을 배액하거나 검사할 수 있는 의료 시술입니다. 주요 목적은 뇌척수액(CSF) 분석, 압력측정(CVP), 척수관 촬영 시 조영제 투여, 뇌척수액 배액, 척추마취, 지주막하강의 혈액이나 농 제거 등입니다. 이는 중추신경계 질환 진단에 중요한 검사 방법입니다. 2. 요추천자 시술 준비물 및 절차 요추천자에 필요한 준비물은 SP set(spinal needle 22G~24G, 주로 23G), betadine ball, 4X4gauze, 2...2025.11.15
-
성인내과 심근경색 임상실습 보고서2025.11.171.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의 병태생리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을 통한 혈액공급이 차단되어 심근 일부가 괴사되는 질환입니다. 부위에 따라 전벽 심근경색, 하벽 심근경색으로 분류되며, 심한 정도에 따라 전층심근경색, 심내막하경색으로 나뉩니다. 심전도 검사 결과에 따라 STEMI(전층 손상)와 NSTEMI(심내막하손상)로 분류되며, Type 1-5의 단계가 있습니다. Type 1은 죽종 파열, 혈소판 응집, 혈전증 생성으로 혈관 폐색이 발생하고, Type 2는 비정상적인 혈류 공급과 요구 불균형으로 발생합니...2025.11.17
-
간세포암종 환자의 TACE 시술 후 간호 사례 연구2025.11.161.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 간세포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간암의 약 70%를 차지한다. 주요 원인은 다량의 음주, 흡연, 당뇨, 비만 등이며 초기에는 대부분 무증상이다. 진단 방법으로는 알파태아단백(AFP) 수치 검사, 초음파, CT, MRI, 조직 검사 등이 있다. 치료법으로는 간동맥화학색전술(TACE), 국소적 암 제거술, 항암화학요법, 간절제술, 간이식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선택된다. 2. 간동맥화학색전술(TACE, Transarterial Chemo...2025.11.16
-
DC Cardioversion 전기적 동율동 전환술2025.11.171. DC Cardioversion의 목적 및 적응증 DC cardioversion은 불안정한 빈맥성 부정맥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적 동율동 전환술입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심방세동(A-fib), 심방조동(Atrial flutter), 발작성상심실성빈맥(PSVT), 맥박이 있는 심실빈맥(V-tach) 등이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불규칙한 심장 리듬을 정상 리듬으로 복구하기 위해 전기 충격을 이용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2. Defibrillation과의 차이점 Cardioversion과 defibrillation의 주요 차이점은...2025.11.17
-
NSTEMI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 사례 연구2025.11.141. NSTEMI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NSTEMI는 심근세포의 손상 또는 죽음으로 심근이 괴사되는 질환으로, 불안정협심증과 유사한 병리적 현상을 보인다. 관상동맥의 죽경화, 플라크 파열, 혈전, 혈류폐색으로 진행되며, 혈액지표 변화와 EKG 변화가 지속되고 사망 위험이 높다. 심근경색은 증상 발생 후 2시간 이내 치료 시 예후가 가장 좋으며, 8시간 이내 치료도 예후가 나쁘지 않다. 치료가 빠를수록 사망률과 합병증 발생률이 감소한다. 2. 관상동맥 중재시술 (CAG, PCI) CAG는 경피적 경로로 관상동맥의 해부학적 모양...2025.11.14
-
실전 임상영어2025.05.031. 임상영어 임상영어 관련 용어와 표현을 정리하였습니다. 수술이 지연되는 경우 클리닉에 연락하여 알려주고, 수술 전 항생제 처방이 없는 경우, 수술 후 퇴원 환자의 입원 준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어 표현을 제공하였습니다. 2. 의료용어 MRSA, Hepatitis B/C, SNF, LTAC 등 의료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약어와 용어를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환자 상태 표현, 투약, 검사 등과 관련된 용어도 함께 다루었습니다. 3. 의사소통 환자, 보호자, 동료 간 의사소통에 필요한 다양한 표현을 정리하였습니다. ...2025.05.03
-
PEN 시술 환자의 하지 운동신경 사정 및 간호2025.11.171. 경막외강 감압신경성형술(PEN) PEN은 척추관 협착증, 좌골신경통, 척추 수술 후 지속되는 허리통증, 허리디스크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최소침습 시술입니다. 절개나 전신마취가 필요 없어 주변 조직 손상이 적고, 당뇨나 심장질환자도 시술 가능하며, 시술 시간이 짧고 일상복귀가 빠릅니다. 단점으로는 재발 가능성과 비급여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있습니다. 2. PEN 시술에 사용되는 약물 리도카인은 경막외마취제로 사용되고, 히루니다제는 국소마취제의 침투력을 증가시키고 유착을 방지합니다. 나로핀(ropivacaine)은 국소마취제로 급...2025.11.17
-
순환기계 병동 임상실습: CAG와 심장초음파검사2025.11.151. 관상동맥 조영술 (CAG,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 조영술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협착이나 폐색 여부를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손목이나 서혜부의 혈관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혈관 상태를 촬영합니다. 협심증,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질환 진단에 유용하며, 검사와 동시에 풍선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술 같은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시술 전 6시간 이상 금식, 제모, 기저질환 확인이 필요하며, 시술 후 출혈 예방을 위해 6시간 이상 안정이 필요합니다. 2. 심장초음파검사 (T...2025.11.15
-
흉막삼출 환자의 간호진단 및 중재 사례연구2025.11.141. 흉막삼출(Pleural Effusion) 흉막삼출은 폐의 흉막에서 체액 성분이 스며나오는 질환으로, 정상인의 흉막은 폐를 둘러싼 허파 쪽 흉막과 흉벽 안쪽의 벽 쪽 흉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체액 생성이 많아지거나 흡수가 감소하면 흉막삼출증이 발생한다. 주요 원인은 심부전, 암, 폐렴, 폐색전증이며, 누출성과 삼출성으로 분류된다. 증상으로는 가슴 통증, 호흡곤란, 마른기침 등이 있으며, 치료는 원인 질환 치료와 함께 필요시 흉수 천자나 흉관 삽입을 시행한다. 2. 간호진단 및 중재 본 사례에서 도출된 4가지 간호진단은 기도 분비...2025.11.14
-
고체온 간호진단2025.01.201. 고체온 간호진단 이 자료는 수술 및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고체온에 대한 간호진단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대상자의 임상 증상 및 검사 결과 분석을 통해 감염 위험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호 계획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감염의 징후인 고체온, 빈맥 관찰, 수술 부위 및 삽입물 관리, 감염 지표 검사 확인, 적절한 약물 투여 등의 간호 중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 고체온 간호진단 고체온 간호진단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체온 상승은 다양한...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