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계 병동 임상실습: CAG와 심장초음파검사
본 내용은
"
순환기계 ward clas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3
문서 내 토픽
-
1. 관상동맥 조영술 (CAG, Coronary Angiography)관상동맥 조영술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협착이나 폐색 여부를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손목이나 서혜부의 혈관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혈관 상태를 촬영합니다. 협심증,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질환 진단에 유용하며, 검사와 동시에 풍선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술 같은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시술 전 6시간 이상 금식, 제모, 기저질환 확인이 필요하며, 시술 후 출혈 예방을 위해 6시간 이상 안정이 필요합니다.
-
2. 심장초음파검사 (TTE,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심장초음파검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움직임, 구조, 혈류 흐름, 판막 이상, 종양, 혈전 등을 영상화하는 검사입니다. 약 30분~1시간 소요되며 침습적이지 않고 편안하게 진행됩니다. 좌심실박출률(EF) 측정이 핵심 항목이며 50% 이상이 정상입니다. 호흡기질환자나 비만한 경우 영상이 불명확할 수 있어 경식도 초음파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3. 경식도 심장초음파검사 (TEE,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경식도 심장초음파검사는 식도를 통해 초음파 탐촉자를 삽입하여 심장 구조를 더 정밀하게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심장내 종양, 판막, 심기형, 대동맥 질환 진단에 사용되며, 흉벽이 두껍거나 비만인 환자, TTE 영상이 불충분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검사 전 6시간 이상 금식이 필요하고, 검사 후 마취가 풀릴 때까지 1시간 동안 식사를 금지합니다.
-
4. CAG 시술 후 합병증 예방 및 관리CAG 시술 후 출혈 예방을 위해 6시간 이상 절대안정이 필요합니다. 서혜부 시술 시 4시간 이상 모래주머니를 적용하고 똑바로 누워 있어야 하며, 손목 시술 시 지혈밴드로 4시간 정도 지혈합니다. 시술 부위의 순환, 출혈, 부종, 혈종,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가슴통증, 구토, 오한 발생 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퇴원 후 시술 부위 발적, 부종, 분비물, 체온상승, 저림 증상이 있으면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
1. 관상동맥 조영술 (CAG, Coronary Angiography)관상동맥 조영술은 심장 질환 진단에 있어 금표준 검사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직접적으로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를 시각화할 수 있어 치료 방침 결정에 필수적입니다. 다만 침습적 시술이므로 방사선 노출, 조영제 신독성, 혈관 손상 등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사전 위험도 평가와 적절한 환자 선택이 중요하며, 최신 기술 도입으로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고 합병증을 줄이려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합니다. 비침습적 검사로 충분한 경우 우선 고려하되, 진단이 필요한 경우 CAG의 정확성과 치료적 가치는 여전히 매우 높습니다.
-
2. 심장초음파검사 (TTE,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심장초음파검사는 심장 기능과 구조를 평가하는 가장 접근성 높은 비침습적 검사입니다. 실시간으로 심장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고, 반복 검사가 용이하며 방사선 노출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좌심실 기능, 판막 질환, 심낭 질환 등 다양한 병태를 평가할 수 있어 임상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다만 음향 창이 제한적인 환자에서는 화질이 저하될 수 있고, 검사자의 기술과 경험에 따라 결과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화된 검사 프로토콜과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필요시 다른 영상 검사와 병행하여 진단 정확도를 높여야 합니다.
-
3. 경식도 심장초음파검사 (TEE,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경식도 심장초음파검사는 경흉부 초음파의 제한을 극복하는 우수한 검사 방법입니다. 식도를 통해 심장에 더 가까이 접근하므로 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어 좌심방 혈전, 감염성 심내막염, 대동맥 질환 등의 진단에 탁월합니다. 특히 심장 수술 중 실시간 모니터링에 매우 유용합니다. 그러나 반침습적 시술로서 인후통, 식도 천공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고, 진정이 필요하며 검사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따라서 명확한 임상적 적응증이 있을 때 선택적으로 시행해야 하며,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안전하게 수행되어야 합니다.
-
4. CAG 시술 후 합병증 예방 및 관리CAG 시술 후 합병증 예방은 환자 안전과 시술 성공률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조영제 신독성 예방을 위한 수액 공급, 신기능 모니터링, 고위험군에서의 약물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혈관 접근로 합병증 예방을 위해 적절한 천자 기술과 시술 후 압박이 중요하며, 항혈전제 관리도 신중해야 합니다. 시술 후 흉통, 호흡곤란, 맥박 이상 등의 증상 모니터링과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특히 고령, 신부전, 당뇨병 환자 등 고위험군에서는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체계적인 합병증 예방 프로토콜 수립과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합병증 발생률을 최소화하고 환자 예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 협심증 케이스 (무조건 A+, 간호진단 3개) 23페이지
성인간호학Case study제출일과목명담당교수학과학번이름목 차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문헌 고찰Ⅱ. 본론 -------------------------------1. 간호사정1) 주관적 자료2) 객관적 자료(1) 신체 검진(2) 검사 소견(3) 의학적 치료 계획- 내과적 치료- 외과적 치료- 특수 치료 요법2. Problem list3. 간호과정 적용①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②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③ 신체기동성 저하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Ⅲ. 결론...2024.10.13· 23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심근경색 사례연구보고서(간호진단 8개, 간호과정 2개) 22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실습병원실습기간2020. 11. 30 ~ 12. 11과목명성인간호학실습2제출자담당교수실습병동11/30(월)12/1(화)12/2(수)12/3(목)12/4(금)EEEEE12/7(월)12/8(화)12/9(수)12/10(목)12/11(금)DDDDD목차Ⅰ 서론 ·····························································································································...2021.11.03· 22페이지 -
성인간호학 순환기 dilated cardiomyopathy (DCMP, 확장성 심근병증)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12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순환기내과: 확장성 심근병증(DCMP, dilated cardiomyopathy)1.간호력(Nursing History)-이름: 엄XX -성별: 여 -나이: 73세-입원일시 :x월 x일 -입원기간: 7일(10/8~10/14)-진단명: dilated cardiomyopathy (DCMP, 확장성 심근병증)-시술일시: x월 x일 CRT-D 시술-특징 : 본 환자는 DCMP(확장성 심근증 ,dilated cardiopathy), 으로 본원에서 follow up 중인 분으로 CRT-D(cardiac resynchronizat...2021.02.24· 12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순환기계병동 사전학습 16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순환기계 병동 사전학습[ 용어 및 약어 ]약어용어의미ACSAcute Coronary Syndrome급성심장증후군AFAtrial Fibrillation심박세동AFSAtrial Flutter심박조동A.IAortic insufficiency대동맥판폐쇄부전증AMIAcute myocardiac infarction급성심근경색증APAngina pectoris협심증ARAoritc Regurgitation대동맥판역류ASAoritc Stenosis대동맥판협착증ASDAtrial Septal Defect심방중격결손ASIAortic Sten...2020.06.01· 16페이지 -
협심증 케이스 18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3case study협심증(Angina Pectoris)학 교실 습 지실습기간학년/ 반학 번이 름담당교수제출일자목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문헌고찰Ⅱ. 본론1. 자료수집 : 간호사정1) 개인력2) 건강력 및 간호력3) 진단(임상)검사 결과 정보4) 치료 및 경과5) 대상자 경과 요약정리2. 간호과정1) 간호진단 목록2) 간호과정Ⅲ. 결론Ⅳ. 참고문헌Ⅰ. 서론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모두 가족들과 행복했던 설 명절을 보냈지만, 병원의 응급센터는 누구보다 치열했던 근무상황에 급성 심장마비라는 사인으로 돌아...2020.07.15· 1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