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4개
-
3도 AV 부정맥: 원인, 특징 및 간호2025.11.141. 심장의 구조와 전도 체계 심장은 중격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나뉘며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다. 심장의 전도 체계는 동방결절, 방실결절, 푸르킨예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동방결절은 정상 환경에서 분당 60~100회의 전기자극을 일으키며, 방실결절은 심방에서 심실로 자극을 전도하는 유일한 경로이다. 4개의 심장판막은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조절한다. 2. 3도 AV 블록의 원인 및 특징 3도 AV 블록은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증, 전도 체계의 퇴행성질환, 저산소증 등에 의해 발생한다. 동방결절에서 오는 자극을 방실결절이 완전히...2025.11.14
-
부정맥(Arrhythmia)의 정의,원인,종류,진단,치료 및 체외심박동조율기 사용법2025.04.291. 심장의 전기전달체계 심장의 전기적 리듬이 처음 시작되는 동방결절, 심방과 심실의 접합부에 위치한 방실결절, 전기신호를 심장의 근육으로 전달하는 좌우 속가지 등 심장의 정상적인 수축에 필요한 전기적 자극 전달 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부정맥의 정의 심장의 전기신호 전달체계의 변화나 기능부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부정맥이라고 정의하고, 정상 심박동 횟수와 서맥, 빈맥의 기준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3.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은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혼합장애로 구분되며, 각각의 원인과 종류에 대해...2025.04.29
-
심장의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인체구조와 기능)2025.05.071. 심장의 구조 심장의 위치, 크기, 심장막(심낭), 심장벽의 구조, 심방과 심실의 구조 및 기능, 심장 판막의 종류와 역할 등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심장의 전기생리학적 특성 심장 근육의 자동성, 흥분성, 전도성, 수축성, 불응성 등 심장의 전기생리학적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3. 심장의 전기적 활동 심근세포의 안정막전위, 역치전위, 활동전위 등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4. 심장 전도 체계 동방결절, 방실결절, His다발, 푸르키녜섬유 등 심장의 전도 체계에 대해 설...2025.05.07
-
부정맥(arrythmia) 문헌고찰2025.01.121.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은 자극형성장애나 자극전도장애로 인해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입니다. 부정맥의 원인으로는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 전도장애, 심근비대, 심근세포 손상, 폐질환, 산-염기 불균형, 약물 부작용, 전해질 불균형, 정서적 불안정, 저산소증, 쇼크, 대사성 질환 등이 있습니다. 2. 부정맥의 병태생리 부정맥은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혼합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 자극형성장애에는 이소성 박동과 이탈 박동이 있으며, 자극전도장애에는 빠른 전도로와 느린 전도로의 ...2025.01.12
-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 협심증2025.05.061. 순환기계 구조 순환기계는 심장과 혈액을 통합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심장, 혈액, 혈관, 림프계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켜 생명을 유지시키며,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구성되어 있다. 혈관은 심장이 뿜어내는 혈액을 전달한다. 순환기계의 기능은 세포에 필요한 산소, 영양분, 전해질 등을 혈액을 통해 온몸에 공급하고, 림프계는 림프액을 정맥 혈액으로 합류시키며 면역작용에 관여한다. 2. 심장의 자극 전도계 및 혈액순환 심장의 자극 전도계는 심근을 흥분시키는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고 이 자극을 심장전체에 전...2025.05.06
-
심장중환자실 EKG 모니터링과 맥박산소측정기2025.11.141. 심전도(EKG: Electrocardiography)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심장이 펌프작용을 할 때 발생하는 전류를 신체 표면에서 유도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심근허혈, 심근경색, 협심증, 부정맥, 전해질 불균형 등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정상 심전도는 P파, QRS파, T파 등으로 구성되며, 각 파형의 크기와 간격을 통해 심장의 상태를 평가합니다. 12유도 심전도는 표준유도, 증폭유도, 흉부유도로 구성되어 심장의 다양한 부위를 관찰합니다. 2. 심장의 전도계 심장의 전도계는 SA결절, AV결...2025.11.14
-
부정맥 개념정리2025.01.131. 부정맥의 정의 부정맥은 자극형성장애나 자극전도장애로 인해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2.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의 원인은 심근세포의 손상, 심근의 국소빈혈,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와 전도장애, 심근비대, 심근세포 손상, 폐질환, 전해질 불균형, 약물 투여 등이 있다. 3. 부정맥의 병태생리 부정맥의 병태생리는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혼합장애로 나눌 수 있다. 자극형성장애는 동방결절의 기능 상실로 인한 딴곳박동과 이탈박동이 있고, 자극전도장애는 빠른 전도로와 느린...2025.01.13
-
성인간호학실습 순환기계, 호흡기계 선행시험2025.11.121. 심장판막의 구조와 기능 심장판막은 혈액이 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흐르도록 도와주는 얇은 막 구조물입니다. 이첨판은 2개의 첨판으로 이루어져 좌심방과 좌심실 간의 혈액 역류를 방지하고, 삼첨판은 3개의 첨판으로 우심방과 우심실 간의 혈액 역류를 방지합니다. 반월판은 반달 모양의 3개 첨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동맥 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을 연결하는 부위에, 폐동맥 판막은 우심실과 폐동맥을 연결하는 부위에 위치하여 혈액의 역류를 방지합니다. 2. 심장 자극 전도체계 심장은 심장 자극 전도체계에 의해 스스로 뛰는 자동능을 가집니다....2025.11.12
-
AV block 문헌고찰, 간호진단 6개, 주객관자료2025.01.241. 방실결절 전도장애(Conducting disorder): 방실 차단 Atrioventricular block(AV block) 심장 수축 자극은 동방결절에서 시작해 방실결절에 도달한 후, His 다발로 전도되는 과정에서 지연되거나 차단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심장의 전기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심박수와 리듬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장애는 정도에 따라 1도, 2도, 3도 방실블록 또는 완전 심장블록으로 구분된다. 각 블록은 전도 지연이나 차단의 심각도에 따라 다르며, 이에 따라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2025.01.24
-
성인 완전방실차단 Complete AV Block 중환자실 케이스2025.01.221. 방실차단 방실전도차단은 심방의 전기 자극이 방실 전도계의 병적인 불응 현상이나 절단에 의하여 심실로 전도되는 데에 장애가 생긴 현상을 말한다. 방실전도의 차단은 심방 내, 방실결절, His-Purkinje 계의 전도지연이나 차단으로 인하며, 히스속 전기도의 기록으로 차단 부위의 해부학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즉, 방실결절 부위에서 방실차단이 일어나면 예후가 좋고, 반대로 하부 즉, 히스속 이하에서 차단이 일어나면 예후는 불량하다. 2. 증상 및 징후 1도 방실전도 장애 - AV node에서 잠깐의 전도 지연...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