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36개
-
복부손상환자 간호2025.01.121. 복부의 3영역 복부는 크게 3개의 영역으로 나뉘며, 각 영역에는 다양한 장기들이 위치하고 있다. 흉부복부(intrathoracic abdomen)에는 간, 담낭, 비장, 위가 위치하며, 실제복부(retroperitoneal abdomen)에는 대장, 소장, 여성 생식기관이 위치한다. 후복부(intrathroacic abdomen)에는 신장, 요관, 췌장 후 십이지장, 복부대동맥, 하대정맥이 위치한다. 2. 복부둔상 복부둔상은 개방상처 없이 복강 내 큰 힘이 복벽에 작용한 결과로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Cullen's sig...2025.01.12
-
ATLS Abd&Pelvic trauma2025.01.091. 복부 해부학 복부의 전면은 늑골연에서 서혜인대까지이며, 대칭성 치골, 전액와선까지 이어집니다. 흉복부는 하부 유두선, 하부 견갑골선, 상부 늑골연으로 구분됩니다. 복부 내부에는 �격막, 간, 비장, 위 등이 있으며 골격 흉곽에 의해 보호됩니다. 측면 복부(측와부)는 전액와선에서 후액와선 사이, 6번째 늑간공간에서 장골능까지이며, 배부는 후액와선 뒤쪽입니다. 골반강에는 직장, 방광, 장골혈관, 여성 생식기관이 있으며 상당량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후복강공간에는 복부 대동맥, 하대정맥, 십이지장, 췌장, 신장, 요관, 상행...2025.01.09
-
[아동간호학 A+ case study] 타박상(contusion)2025.01.201. 타박상(Contusion) 타박상은 외부의 충격이나 둔탁한 힘(구타, 넘어짐) 등에 의해 연부 조직과 근육 등에 손상을 입어 피부에 출혈과 부종이 보이는 경우이다. 피부 속의 세포조직이 파괴되어 속으로 출혈이 되면서 검푸르게 멍이 든다. 일반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피부가 얇기 때문에 피부에 멍이 잘 들고, 중년에 접어들면서 혈관을 보호하고 지지해주는 섬유소가 파괴되기 시작하여 보다 멍이 잘 든다. 타박상의 증상으로는 손상 후 2~3일이 지나면 반상출혈이 보이고, 압통과 부종이 있으며 때로는 혈종이 생기기도 한다. 치료는 손상 ...2025.01.20
-
응급 재난간호과제2025.01.121. 호흡기계(기도폐쇄) 기도폐쇄시에는 먼저 상태를 확인하고 119에 신고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인 처치이다. 1세 이상 및 성인의 경우 기침유발과 복부밀치기(하임리히법)를 시행하고, 1세 이하의 경우 등 두드리기와 가슴압박을 번갈아가며 반복 시행한다. 하임리히법은 복부에 강한 압력을 주어 장기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 심혈관계(심부전,대동맥질환) 심부전의 증상으로는 심박출량 감소, 폐정맥압 및 좌심방압 증가와 폐수종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난다. 응급처치로는 산소 공급, 심전도 관찰, 약물치료 등이 필요하다. 대동...2025.01.12
-
중환자 케이스스터디, 현직 간호사가 만들었습니다(병원 들어가도 계속 만들어요 여러분, 퀄리티 보장, 외상외과 중환자실, 윗년차 간호사한테 3번 까임), injury of other intra-abdominal organs without open wound into cavity2025.01.141. 늑골 골절 늑골 골절은 낙상, 교통사고 등 외상으로 인한 흉부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주요 증상은 통증이며, 이로 인해 무기폐, 폐렴, 호흡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은 초음파, 단순 X선, CT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대부분 보존적 치료를 하지만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2. 비장 손상 비장은 차량 충돌, 낙상, 운동 중 사고 등으로 가장 흔히 손상을 입는 복부 장기이다. 비장 손상 시 복부 통증과 압통, 어지러움,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초음파나 CT 검사로 진단하며, ...2025.01.14
-
성인간호학_급성 췌장염_사례보고서case study_간호진단(복부 팽만과 관련된 급성 통증,반복적인 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2025.01.141. 급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은 십이지장으로 배설되지 못한 췌장효소가 췌장 안에서 활성화되어 췌장세포의 자가소화를 유발하는 급성 염증상태입니다. 급성 췌장염은 잠재적으로 췌장의 부종, 괴사, 출혈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치명적인 염증 과정입니다. 급성 췌장염의 주요 증상은 극심하고 지속적인 상복부 통증, 반복적인 구토, 복부 팽만 등이며, 원인 요인들이 제거되면 증상이 사라집니다. 급성 췌장염의 주요 원인으로는 알코올 섭취, 담석, 고지방혈증, 외상 등이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혈청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검사와 복부 CT 검사가 ...2025.01.14
-
ATLS 소아 외상 관리2025.01.041. 소아 외상 역학 소아에서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자동차 사고로 인한 외상이다. 둔상 기전과 소아의 고유한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 다발성 장기 손상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부상 소아는 치료 중 상태가 악화되지 않으며, 혈역학적 이상이 없다. 그러나 일부 다발성 손상 소아는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2. 소아 기도 관리 소아 심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은 기도 폐쇄이다. 소아는 큰 머리와 불완전한 경추 골화로 인해 기도 관리가 어렵다. 기관내삽관 시 튜브 크기는 콧구멍 크기 또는 가장 작은 손가락 지름과 ...2025.01.04
-
성인간호학 실습 급성 복막염(Acute peritonitis) 간호진단 3 간호중재 32025.01.121. 급성 복막염(Acute peritonitis) 급성 복막염은 복막에 생긴 염증으로, 주로 복강 속에 장액, 섬유소, 세포, 고름 등이 고이면서 발생합니다. 원인은 세균 감염, 무균 상태의 체액 유출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복부 통증, 반동 압통, 복부 강직, 장음 감소 등이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치료는 외과적 치료와 내과적 치료가 있으며, 간호중재로는 금식 유지, 수액 및 전해질 공급, 감염 관리, 통증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1. 급성 복막염(Acute peritonitis) 급...2025.01.12
-
외과적 응급상황 정리 [연조직 손상, 화상, 전기화상, 번개손상, 신체손상, 복부손상, 다발성 외상, 흉부외상, 중추신경계 외상, 근골격계 외상]2025.05.101. 연조직 손상 연조직 손상에는 기계적 손상, 화상, 화학물질에 의한 화상, 전기에 의한 화상 등이 있다. 기계적 손상의 경우 개방성 손상은 감염의 위험이 크므로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상처를 깨끗이 세척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상의 경우 1도, 2도, 3도로 구분되며 3도 화상은 반드시 피부이식이 필요하다. 화상 환자의 후송 기준은 호흡기계 손상, 강산이나 전기에 의한 화상, 체표면적 30% 초과, 기저질환 있는 경우, 3도 화상 10% 초과, 얼굴/손/발/성기 화상 등이다. 화학물질이나 전기, 번개에 의한 화상도 각각 특징적인 ...2025.05.10
-
신생아 괴사성 장염(NEC) 케이스 스터디(3개)2025.01.131. 신생아 괴사성 장염(NEC) 신생아 괴사성 장염은 신생아의 소장이나 대장에 생기는 괴사성 장염이다.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신생아 중증 질환의 하나로 장 점막의 괴사가 다양한 정도로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하더라도 사망률이 20%에 이르는 무서운 질병이다.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장 허혈, 미숙한 위장관 방어 능력, 세균 증식, 수유 등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복부팽만, 위 내 잔류량, 혈변이며,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하다. 2. 시험적 개복술 시험적 개복술은 임상 및 영상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