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부손상환자 간호
본 내용은
"
복부손상환자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8
문서 내 토픽
-
1. 복부의 3영역복부는 크게 3개의 영역으로 나뉘며, 각 영역에는 다양한 장기들이 위치하고 있다. 흉부복부(intrathoracic abdomen)에는 간, 담낭, 비장, 위가 위치하며, 실제복부(retroperitoneal abdomen)에는 대장, 소장, 여성 생식기관이 위치한다. 후복부(intrathroacic abdomen)에는 신장, 요관, 췌장 후 십이지장, 복부대동맥, 하대정맥이 위치한다.
-
2. 복부둔상복부둔상은 개방상처 없이 복강 내 큰 힘이 복벽에 작용한 결과로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Cullen's sign, Grey Turner's sign, 장음 감소 등이 있다. 진단을 위해 X-ray, FAST, CT 등의 검사를 시행한다. 비장, 간, 췌장, 신장, 대장, 소장 등 다양한 장기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
3. 복부관통상복부관통상은 복벽을 관통한 탄환이나 파편이 복강 내에 들어간 결과로 발생한다. 손상 정도는 손상 유발 물체의 크기와 힘, 속도에 따라 결정되며, 외부로 나타나는 것에 비해 내부 장기가 심하게 손상될 수 있다. 개복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복강 내 출혈이 1000ml 이상이거나 지속되는 경우, 활력징후 불안정, 진단적 복강 세정 양성 판정, 내장 탈출 등이다. 간호중재로는 소독, 정맥투여, NPO, 산소공급, 비위관, 유치도뇨관 삽입 등이 필요하다.
-
1. 복부의 3영역복부는 해부학적으로 상복부, 중복부, 하복부의 3개 영역으로 구분됩니다. 상복부는 간, 담낭, 위, 췌장 등의 주요 장기가 위치하고 있어 외상 시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복부는 소장과 대장이 위치하며, 하복부는 방광, 생식기 등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복부 3영역의 구분은 복부 외상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각 영역별로 발생할 수 있는 손상 양상과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영역 구분을 통해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가 가능합니다.
-
2. 복부둔상복부둔상은 둔기성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복부 손상으로, 장기 파열, 혈관 손상, 복강 내 출혈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부둔상 환자의 경우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태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복부둔상 환자의 경우 복부 전산화단층촬영(CT)을 통해 장기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복부둔상 환자는 쇼크,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3. 복부관통상복부관통상은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복벽이 관통되어 발생하는 손상으로, 장기 손상, 출혈, 감염 등의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복부관통상 환자의 경우 즉각적인 지혈과 복강 내 장기 손상 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복부관통상 환자는 신속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수술 시 장기 봉합, 지혈, 감염 예방 등의 처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복부관통상 환자는 쇼크, 복강 내 감염, 장폐색 등의 합병증 발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복부관통상의 경우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응급 처치와 전문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중환자 케이스스터디, 현직 간호사가 만들었습니다(병원 들어가도 계속 만들어요 여러분, 퀄리티 보장, 외상외과 중환자실, 윗년차 간호사한테 3번 까임), injury of other intra-abdominal organs without open wound into cavity1. 늑골 골절 늑골 골절은 낙상, 교통사고 등 외상으로 인한 흉부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주요 증상은 통증이며, 이로 인해 무기폐, 폐렴, 호흡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은 초음파, 단순 X선, CT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대부분 보존적 치료를 하지만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2. 비장 손상 비장은 차량 충돌, 낙상, ...2025.01.14 · 의학/약학
-
TA(교통사고) 복부손상 간호과정 case - 급성통증, 감염의위험, 낙상의위험, 출혈의위험(과정2개, 진단4개)1. 복부 손상 자동차 사고나 흉기 등으로 인해 복부에 손상을 입는 것으로 둔상이나 관통상으로 분류할 수 있음. 보통 복통이나 압통을 겪으며, 통증은 경증일 수 있고 환자는 의식이 완전하지 않을 수 있어 통증을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호소하지 못할 수 있음. 신장 손상 또는 방광 손상 환자들은 혈뇨를 볼 수 있으며, 다량의 출혈을 겪는 환자는 쇼크 증상이 나타...2025.05.04 · 의학/약학
-
복부대동맥류 간호과정2개(조직관류장애, 피부손상) 케이스 스터디1. 복부대동맥류 복부대동맥류는 대동맥의 일부가 정상적인 직경의 1.5배 이상으로 영구적으로 늘어난 상태를 말한다. 대동맥류의 가장 흔한 원인은 동맥경화증이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통증, 구토, 요관 압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을 위해 복부 X-선, 초음파, CT, MRI 등의 검사를 시행하며, 수술을 통해 치료한다. 수술의 합병증으로는...2025.01.12 · 의학/약학
-
A+ 자료 복부 대동맥류 abdominal aortic aneurysm (AAA) CASE STUDY(간호진단3개)(간호과정3개)1. 복부 대동맥류 (abdominal aortic aneurysm, AAA) 복부 대동맥류는 복부로 흘러 들어가는 대동맥의 일부분이 혈액으로 채워져서 팽창된 상태가 되거나 풍선형태로 부풀어오른 상태입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동맥에 이와 같이 부풀어오른 부분이 발생되면 혈관이 약화될 수 있고 정상적인 혈압으로도 파열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심각...2025.05.11 · 의학/약학
-
개방성상처SICU 케이스_케이스스터디_간호과정1. 개방성 상처 개방성 상처는 표피나 신체의 주요 부분을 덮고 있는 피부나 점막의 손상과 함께 내부 조직까지 손상된 경우이다. 개방성 상처의 종류에는 찰과상, 열상, 절상, 자상, 결출상, 절단상 등이 있다. 개방성 상처의 응급처치로는 손상 부위를 움직이지 않고, 가위를 이용하여 의복을 제거하며, 출혈부위를 지혈하고, 소독거즈로 덮어 오염을 방지하며, 부...2025.01.06 · 의학/약학
-
장간막 색전증 환자의 간호사례연구1. 장간막 동맥 혈전증 장간막 동맥 혈전증은 장간막 동맥에 혈전이 생겨 혈액 순환이 차단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복부 장기의 혈액공급을 막아 장기 괴사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혈전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하며, 정맥정체, 과응고력, 정맥벽의 손상 등의 요인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 동맥경화증, 저혈량증, 울혈성 심부전, 심근경색증...2025.01.03 · 의학/약학
-
외상성 복부손상 환자 간호 요약정리 7페이지
외상성 복부손상 환자간호[소화기계 구조]1. 위1) 구조- 늑골 바로 아래에 위치- 용적 : 약 1,500ml- 분문부(cardia),기저부(flmdus),위체부(gastric body), 유문부{pylorus)로 구분- 위벽 : 바깥부터 장막(serosa), 근육층(muscularis), 점막하조직층(submucosa), 점막층 (mucosa)으로 구성- 분비샘→ 분문샘(cardiac gland) : 점액 분비→ 주세포(소화세포,chief cell, peptic cell) : 점액과 펩시노겐(pepsinogen) 분비→ 벽세포(p...2023.11.02· 7페이지 -
TA(교통사고) 복부손상 간호과정 case - 급성통증, 감염의위험, 낙상의위험, 출혈의위험(과정2개, 진단4개) 21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Injury of gastroduodenal artery-damage control Laparotomy-Ⅰ. 서론1. 대상자 선정 이유교통사고로 인한 복부 손상, 특히 비장 손상은 외상병동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그 중 위십이지장동맥 손상은 용어부터 생소하여서 해부학적 위치나 치료, 간호 등에 대해 공부하고, 간호과정을 내려보면서 임상에서 일을 하게 되었을 때, 환자에게 적합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식을 넓히고자 선정하였다.Ⅱ. 본론1. 문헌고찰질환명Injury of gastroduodenal artery정의자...2023.03.26· 21페이지 -
출혈 (복부자창 환자) 응급실 CASE STUDY 간호학실습 보고서 20페이지
▶ 출혈 (복부자창 환자)과목명실습기간실습지담당교수님학과명학번이름INDEXⅠ. 서론 p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문헌고찰1) 상처2) 상처의 종류3) 상처로 인한 위험성 p44) 출혈5) 처치 p56) 지혈7) 피해야할 방법들 p88) 복부창상Ⅱ. 본론 p101. 개인력, 건강력2. 간호력 p113. 진단검사와 의의 p124. 투여약물 및 약물정보 p165. 간호과정 p17Ⅳ. 결론 p191. 실습을 마치며2. 참고문헌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상처 및 출혈은 흔하게 우리 주위에서 일어나는 상황으로 그 출혈 정도에 ...2022.09.13· 20페이지 -
[응급재해간호] 외과적 응급상황 정리 [연조직 손상(기계적 손상, 화상(burns), 화상 환자의 후송원칙) 화학물에 의한 화상, 전기에 의한 화상, 번개에 의한 손상, 신체에 관한 손상, 복부손상(복부 관통상), 다발성 외상, 흉부외상, 무기폐(다발성 늑골골절, 기흉), 폐수종(익수), 심근외상(심근좌상, 척추손상), 중추신경계 외상, 근 골격계 외상 6페이지
제 9장. 외과적 응급1. 연조직 손상1) 기계적 손상(2) 개방성 손상 → 감염의 위험 多① 개방성 손상의 일반적 처치· 이물질이 박힌 경우 : 절대 제거하지 않는다.★ → 일반적 (빼면서 상처 → 출혈 多)② 개방성 손상의 종류나. 절창(laceration) : 지저분한 상처 vs Insicion (매스) : 깨끗하게 찢어진 상처→ 안면 절창 → 침샘★ 손상확인 → 24,26,28 needle 10CC 주사기에 꼽은 다음 색소 잰다 → Inj → 색소 있는 물 나오면 응급★2) 화상(burns)(1) 열 화상(thermal bu...2023.07.05· 6페이지 -
척추척수 손상 환자 간호 요약정리 5페이지
척추, 척수 손상 환자 간호[척수손상]- 척수손상이란 질병이나 사고로 인하여 척수에 가해진 손상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운동, 감각 및 자율신경기능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척수는 31개의 분절로 나누는데 경부 8, 흉부 12, 요부 5, 천부 5 및 미부 1개이며 각 척수분절에서는 이와 일치하는 1쌍 식의 척수신경을 좌우로 내보낸다.- 척추는 뼈이며 척수는 신경이다1. 척수손상환자의 병인 / 빈도- 척수손상의 대부분은 젊고 활동이 많은 사람 들에게서 발생한다.- 환자의 50% 이상이 30세 미만으로 그 85% 가 작업 중 사고...2023.11.02·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