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아동기 주요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및 관리2025.01.161. 울혈성 심부전 울혈심부전은 신체 대사 요구량에 맞는 적절한 양의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심장의 기능부전이다. 아동의 울혈심부전은 선천성 심장기형에 의한 증상이며, 심근의 과도한 부담으로 인해 생긴다. 심실중격 결손, 동맥관개존증, 심방중격 결손, 대동맥축착 등의 선천성 심장병의 결과로 대부분 생후 1년 이내에 나타난다. 또한, 심장비대, 부정맥, 전해질 불균형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특히 폐 질병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치료의 목적은 심장의 기능 개선, 축적된 체액 및 나트륨 제거, 심장의 부담 감소, 조직의 산소화 증...2025.01.16
-
심부전 진단, 약물적 치료, 비약물적치료2025.04.281. 심부전 진단 심부전 진단에는 신체검진, 혈액검사, 심장초음파, 심전도, 흉부 X-선 소견, 혈액학적 검사 등이 포함된다. 신체검진에서는 약한 심음, 심첨부의 S3, S4 심음, 폐 기저부의 수포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혈액검사에서는 BNP 수치 증가가 심부전 진단에 유용하다. 심장초음파는 심장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는데 중요하며, 심전도와 흉부 X-선 검사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2. 약물적 치료 심부전 치료를 위해 이뇨제, ACEI, ARB, β-차단제, 혈관확장제 등의 약물이 사용된다. 이뇨제는 전부하를 감소시켜 증상을 완...2025.04.28
-
심근경색증 case study(심장기능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2025.01.141. 심장기능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대상자가 침상에 앉은 자세로 있어야만 숨을 쉴 수 있다고 호소하고 있으며 숨이 차서 다른 일을 하기 힘들다고 호소하고 있으므로 간호진단 1순위로 선정하였다. 활력징후 변화와 부정맥의 진전은 심맥관계 저산소증의 결과이며, 순환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핍뇨는 신장 관류의 감소를 의미한다. 디기탈리스와 이뇨제를 투여받는 환자의 소변량은 증가한다. 심장지수, 전부하와 후부하, 심근 수축력, 심근의 부하를 thoracic electrical biompedence(TEB)로 비침습적으로 측정할 수 있...2025.01.14
-
부정맥의 종류와 특징2025.01.111.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은 대부분 심장질환이나 그 외의 병적 상태에서 발생되지만 특별히 원인 없어도 발생된다. 심장질환인 선천성, 후천성 심질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 전도장애, 심근비대, 심근세포 손상, 폐질환이 부정맥의 원인이다. 그 외에 산-염기 불균형, 알코올, 커피, 차, 담배, 결합조직 질환, 약물효과, 디기탈리스 독작용, 전기쇼크, 전해질 불균형, 정서적 불안정, 저산소증, 쇼크, 대사성질환이 원인이다. 2. 부정맥의 증상과 징후 부정맥으로 인한 증상과 징후는 빈맥이나 심계항진, 현기증, 운동 시 호흡곤란, 흉통, 실...2025.01.11
-
방실접합부, 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2025.04.281. 방실리듬 (AV junctional rhythm) 동심방결절의 심박조율 기능이 약화되거나 전도계의 장애로 인해 전기자극의 빈도가 감소될 때 방실접합부(심방심실이음부, AV junction)가 동심방결절을 대신하여 박동조율기(pacemaker)로서의 역할을 하여 발생한 리듬. 심박출량 감소와 심근조직관류 저하와 관련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물 독성, 저산소혈증, 고칼륨혈증, 미주신경 긴장도 증가, 방실결절 손상, 심근경색, 심부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심전도 상 심장박동수는 40~60회/분 정도이며, 보통 P파가 ...2025.04.28
-
성인간호학3- 사례 중심형 문제 19문항 (울혈성심부전, 부정맥 등)2025.01.161. 울혈성 심부전 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피로, 허약감, 소변량 감소, 빈맥, 불안 등이 있습니다. 치료를 위해 디기탈리스제(Digoxin)를 투약할 경우 투약 전 심첨맥박 측정이 필요하며, 초기 부작용으로는 식욕부진, 오심, 구토, 시력장애, 부정맥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원인 질환과 위험 요인 관리, 안정 취하기 등이 있습니다. 2.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박동 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합니다. 증상으로는 심계항진...2025.01.16
-
성인간호학 심혈관계 약물 정리2025.05.071. 심근에 작용하는 약물 심근에 작용하여 심근의 수축력을 높이거나 심장기능조절을 담당하는 중추신경을 활성화시켜 심장박동을 강화시키는 약물이다. 강심배당체는 심근세포막의 Na+ pump를 억제하여 Ca++유입을 증가시켜 심근의 수축력을 증가시키며, 베타효능제는 adenylate cyclase(아데닐산 고리효소)를 활성화 시켜 cMAP농도를 증가시켜 심근의 수축력을 강화시킨다. 2. 강심배당체 강심배당체는 심장 수축력을 강화하면서 심박동수는 감소시키고, 심장의 자동성을 항진시킨다. 이러한 작용은 심실을 더 효과적으로 비우고 이완기 동...2025.05.07
-
약용자원식물의 성분 분석 및 역할2025.01.251. 일반성분 약용자원식물의 일반성분은 주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기본 영양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성분들은 식물의 생존과 성장에 필수적이며, 인체에 에너지와 영양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탄수화물은 식물의 주요 에너지원이며, 단백질은 세포 구조와 기능에 중요하고, 지방은 에너지 저장과 호르몬 생성에 기여한다. 이러한 일반성분은 식물과 인체의 기본적인 생리학적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2. 지표성분 지표성분은 특정 약용식물의 고유한 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이들 성분은 약용식물의 품질과 효능을 평가하...2025.01.25
-
방실차단 케이스2025.01.131. 방실차단(AV block) 방실차단(AV block)은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자극이 방실결절과 히스다발을 통과할 때 지연되거나 부분적, 혹은 완전히 차단되는 경우를 말한다. 제 1도 방실차단은 방실결절을 통한 전기자극의 전도가 지연되어 발생되는 부정맥이며 자각증상이 없다. 제 2도 방실차단은 심방에서 전달되는 전기자극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심실에 전달되기 때문에 가끔 QRS복합이 생략된다. 제 2도 방실차단은 전도장애의 양상에 따라 제 1형차단과 제 2형차단으로 분류된다. 2. 제 1도 방실차단 제 1도 방실차단은 방실결절을...2025.01.13
-
임상 약물 공부 / 프셉 마음 약물편 정리2025.05.061. 고지혈증 치료제 고지혈증 치료제에는 스타틴계 약물, 에제티미브, 피브라이트계, 음이온 교환 수지, 니코틴산, 오메가-3 지방산 등이 있다. 스타틴계 약물은 HMG-CoA 환원 효소를 저해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며, 에제티미브는 콜레스테롤의 장 내 흡수를 억제한다. 피브라이트계는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고, 음이온 교환 수지는 담즙산 결합을 통해 콜레스테롤 배출을 증가시킨다. 니코틴산과 오메가-3 지방산도 지질 대사에 작용하여 고지혈증 치료에 사용된다. 2. 심부전 치료제 심부전 치료제에는 디기탈리스 제제, 카테콜라민류 등...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