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의 종류와 특징
본 내용은
"
부정맥의 종류와 특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1
문서 내 토픽
  • 1.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은 대부분 심장질환이나 그 외의 병적 상태에서 발생되지만 특별히 원인 없어도 발생된다. 심장질환인 선천성, 후천성 심질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 전도장애, 심근비대, 심근세포 손상, 폐질환이 부정맥의 원인이다. 그 외에 산-염기 불균형, 알코올, 커피, 차, 담배, 결합조직 질환, 약물효과, 디기탈리스 독작용, 전기쇼크, 전해질 불균형, 정서적 불안정, 저산소증, 쇼크, 대사성질환이 원인이다.
  • 2. 부정맥의 증상과 징후
    부정맥으로 인한 증상과 징후는 빈맥이나 심계항진, 현기증, 운동 시 호흡곤란, 흉통, 실신 등으로 환자에 따라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며, 또 홀연히 사라지기도 한다.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은 심계항진이며 이는 불규칙한 심박동과 심장수축력의 변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 3. 동성빈맥
    심장이 1분 동안에 뛰는 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100회~150회 정도로 증가한 상태를 말한다. 심장박동을 유발하는 자극전도를 담당하는 동성 결절의 자극 빈도가 증가하여 발생한다. 교감신경흥분시에 일어나며, 생리적으로는 운동, 정신흥분 등에서 볼 수 있고 병적으로는 발열, 빈혈, 탈수, 갑상샘 기능항진증, 폐질환, 심부전 등에서 볼 수 있다.
  • 4. 동성서맥
    동결절(洞結節)의 흥분주기가 연장하여 심박수가 매분 60이하로 된 경우를 말한다. 리듬은 규칙적이며, 심장박동수룰 제외하고 심전도의 기본파형은 정상이다. 심하게 박동수가 감소하면 심박출량이 감소되어 조직에서의 산소결핍증둘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뇌혈류의 감소로 두통, 현기증, 실신 등이 올 수 있다.
  • 5. 심방조기수축
    심방조기수축은 심방벽에서 형성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해 정상 시간보다 앞당겨 심방이 흥분되는 상태이다. 스트레스, 카페인, 담배, 감염, 저산소증, 심방비대, 심근허혈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 6. 심방빈맥
    심방의 박동수가 1분에 150회에서 250회 정도로 발작적으로 현저히 증가한 상태이며 대부분 1:1로 방실전도 되지만, 때로는 방실로의 전도가 차단되기도 한다. 디기탈리스 중독, 만성 폐질환, 관상동맥질환, 심장판막질환 등이 원인이다.
  • 7. 심방조동
    분당 250-400회의 아주 빠르고 규칙적인 심방빈맥을 말한다. 관상동맥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 판막질환(승모판이나 삼천판), 디기탈리스 중독, 저산소증, 울혈성 심부전증, 개심술 후 발생하는 무균성 심외막염으로 인해 발생한다.
  • 8. 심방세동
    심방벽에서 발생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방의 여러 부위가 아주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흥분하는 상태로, 심방수축이 효과적이지 않다. 류마티스 심질환, 관상동맥질환, 승모판질환, 갑상샘기능항진증 그리고 고혈압 특히 그 중에서도 심부전과 동반되는 경우에는 40%의 환자에서 심방세동이 발병될 수 있다.
  • 9.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심장이 150에서 200번까지 규치적으로 박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원인은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의 기본적인 원인은 심장의 선천적, 후천적 기형이다.
  • 10. 심실조기수축
    히스다발 이하 심실의 이소성 박동으로 QRS복합이 0.12초 이상으로 비정상적으로 넓고 깊으며 기존 리듬의 주기보다 조기에 나타난다. 정상리듬과 조기심실수축이 1:1로 교대로 나타나면 이단맥(bigeminy)이 라 하며 매 세 번째에 조기심실수축이 나타나면 삼단맥(trigeminy)이라고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이 방해받아 발생하는 심장 리듬의 이상을 말합니다. 부정맥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주요 원인으로는 심장 질환, 전해질 불균형, 약물 부작용, 스트레스, 과도한 카페인 섭취 등이 있습니다. 심장 질환의 경우 관상동맥 질환, 심근병증, 판막 질환 등이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해질 불균형은 칼륨, 나트륨, 칼슘 등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갑상선 기능 이상, 알코올 섭취 등도 부정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정맥 발생 시 정확한 원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 2. 부정맥의 증상과 징후
    부정맥의 주요 증상으로는 심장 두근거림, 가슴 통증, 숨가쁨, 어지러움, 실신 등이 있습니다. 심장 두근거림은 가장 흔한 증상으로,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빨리 뛰는 느낌을 말합니다. 가슴 통증은 심장 근육에 문제가 있을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숨가쁨은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발생하며, 어지러움과 실신은 심장이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피로감, 식욕 저하, 불면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정맥 환자는 이러한 증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나거나 지속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관찰이 필요합니다.
  • 3. 동성빈맥
    동성빈맥은 정상 동방 결절에서 발생하는 심장 박동 수의 증가를 말합니다. 정상 심박수는 분당 60~100회이지만, 동성빈맥은 분당 100회 이상의 빠른 심박수를 보입니다. 동성빈맥의 원인으로는 운동, 스트레스, 불안, 발열,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무해하지만, 지속적인 동성빈맥은 심장 부담을 증가시켜 심부전, 협심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성빈맥이 지속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의사의 진찰을 받아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동성서맥
    동성서맥은 정상 동방 결절에서 발생하는 심장 박동 수의 감소를 말합니다. 정상 심박수는 분당 60~100회이지만, 동성서맥은 분당 60회 미만의 느린 심박수를 보입니다. 동성서맥의 원인으로는 운동 선수, 젊은 사람, 수면 중, 약물 복용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무해하지만, 지속적인 동성서맥은 심장 기능 저하, 실신, 심정지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성서맥이 지속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의사의 진찰을 받아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심방조기수축
    심방조기수축은 정상적인 심장 박동 리듬에 앞서 발생하는 심방 수축을 말합니다. 이는 정상적인 심장 박동 리듬을 방해하여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방조기수축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카페인 섭취, 전해질 불균형, 심장 질환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무해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되는 경우 심장 기능 저하, 부정맥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방조기수축이 지속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의사의 진찰을 받아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심방빈맥
    심방빈맥은 심방에서 발생하는 빠른 심장 박동을 말합니다. 정상 심박수는 분당 60~100회이지만, 심방빈맥은 분당 100회 이상의 빠른 심박수를 보입니다. 심방빈맥의 원인으로는 심장 질환, 전해질 불균형, 약물 부작용,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심장 두근거림, 가슴 통증, 숨가쁨, 어지러움 등이 있습니다. 심방빈맥은 심장 기능 저하, 혈전 형성, 심부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로는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이 있습니다.
  • 7. 심방조동
    심방조동은 심방에서 발생하는 규칙적이고 빠른 심장 박동을 말합니다. 정상 심박수는 분당 60~100회이지만, 심방조동은 분당 250~350회의 매우 빠른 심박수를 보입니다. 심방조동의 원인으로는 심장 질환, 폐 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심장 두근거림, 가슴 통증, 숨가쁨, 어지러움 등이 있습니다. 심방조동은 심장 기능 저하, 혈전 형성, 심부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로는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이 있습니다.
  • 8.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심방에서 발생하는 불규칙적이고 빠른 심장 박동을 말합니다. 정상 심박수는 분당 60~100회이지만, 심방세동은 분당 100~175회의 매우 빠르고 불규칙한 심박수를 보입니다. 심방세동의 원인으로는 고혈압, 심장 질환, 폐 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심장 두근거림, 가슴 통증, 숨가쁨, 어지러움, 피로감 등이 있습니다. 심방세동은 혈전 형성, 뇌졸중, 심부전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로는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이 있습니다.
  • 9.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심방 또는 방실 결절에서 발생하는 빠른 심장 박동을 말합니다. 정상 심박수는 분당 60~100회이지만,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분당 150~250회의 매우 빠른 심박수를 보입니다.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의 원인으로는 심장 질환, 전해질 불균형, 약물 부작용,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심장 두근거림, 가슴 통증, 숨가쁨, 어지러움 등이 있습니다.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심장 기능 저하, 혈전 형성, 심부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로는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이 있습니다.
  • 10. 심실조기수축
    심실조기수축은 정상적인 심장 박동 리듬에 앞서 발생하는 심실 수축을 말합니다. 이는 정상적인 심장 박동 리듬을 방해하여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실조기수축의 원인으로는 심장 질환, 전해질 불균형, 약물 부작용,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무해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되는 경우 심장 기능 저하, 부정맥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실조기수축이 지속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의사의 진찰을 받아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