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5개
-
마태복음 3장: 그리스도 사역의 준비2025.11.151. 세례자 요한의 역할과 사역 세례자 요한은 단순한 예수님의 선행자가 아니라 구약에서 예언된 엘리야의 역할을 성취하는 선지자였습니다. 그는 낙타 털옷과 가죽 띠로 엘리야의 외모를 반영하며,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다'는 메시지를 선포했습니다. 유대인들은 주의 날 앞서 나타날 엘리야를 기대했으며, 요한의 출현은 그들에게 큰 의미를 가졌습니다. 그는 의인의 구원과 악인의 심판이라는 두 가지 주제로 메시아의 도래를 준비시켰습니다. 2. 회개의 의미와 실천 마태복음에서 회개는 단순한 죄에 대한 통회의 감정이 아니라 인격 전체가 하나...2025.11.15
-
마태복음 1장: 예수는 누구이신가2025.11.151. 예수의 계보와 메시아성 마태복음 1장 1-17절은 단순한 족보가 아닌 예수께서 이스라엘에게 약속된 메시아임을 입증하는 신학적 선언서입니다. 마태는 예수님을 이스라엘 역사 전체와 긴밀하게 연관시키며, 아브라함에서 시작하여 다윗과 바벨론 포로라는 이스라엘 역사의 중대한 전환점을 거쳐 예수님에 이르는 계보를 제시합니다. 계보는 완성의 수 7의 곱을 세 번 반복한 3×14대로 구성되어 준비의 시대가 끝나고 완성의 때가 도래했음을 암시합니다. 2. 예수의 왕적 계보와 다윗의 자손 마태복음의 계보는 누가복음과 달리 왕적 계보로서 다윗의 ...2025.11.15
-
마태복음 5장 17-20절: 예수님과 율법2025.11.151. 예수님과 구약성경의 관계 마태복음 5장 17절에서 예수님은 율법과 선지자를 폐하러 온 것이 아니라 완전하게 하려 왔다고 선언합니다. 여기서 '율법과 선지자'는 구약성경 전체를 의미하며, 예수님이 구약에 예언된 메시아임을 나타냅니다. 예수님의 성취는 구약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구약의 궁극적 목표를 성취하신 분입니다. 2. 율법의 지속적 유효성 마태복음 5장 18절은 천지가 없어지기 전에 율법의 일점일획도 없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는 율법이 예수님의 지상 사역 시작과 함께 역할을 다했지만...2025.11.15
-
마태복음 2장: 예수의 출생지와 지리적 의미2025.11.151. 마태복음 2장의 구약 예언 성취 마태복음 2장은 예수께서 어디로부터 오셨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며, 구약의 네 가지 예언을 성취한다. 미가 5:2의 베들레헴 출생 예언, 호세아 11:1의 애굽 피난, 예레미야 31:15의 라헬의 통곡, 그리고 나사렛 거주에 관한 예언이 모두 예수님 안에서 성취되었다. 마태는 이러한 지리적 이동들이 자연발생적 사건이 아니라 하나님의 계획된 여정임을 강조하며, 요셉에게 나타난 꿈들을 통해 이를 입증한다. 2. 메시아의 지리적 범위와 보편성 마태복음 2장의 지리적 요소들은 예수가 이스라엘뿐 아니라 온 ...2025.11.15
-
예수님의 대제사장 되심과 우리의 구원2025.11.161. 예수님의 대제사장 직분 히브리서 4:14-5:10은 예수님이 승천하신 큰 대제사장이심을 강조합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연약함을 동정하시고 모든 일에 우리와 똑같이 시험을 받으셨으나 죄는 없으십니다. 구약의 인간 대제사장과 달리 예수님은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영원한 대제사장으로서 자신을 위해 제사를 드릴 필요가 없으며, 하나님의 명확한 부르심으로 임명되셨습니다. 2. 은혜의 보좌와 기도의 특권 히브리서 4:16에서 우리는 긍휼하심을 받고 때를 따라 돕는 은혜를 얻기 위해 은혜의 보좌 앞에 담대히 나아갈 수 있습니다. 예수님을 ...2025.11.16
-
그레고리빌 - 신약성경신학 서평2025.05.021. 구약 이 책에서 저자 빌은 신약성서의 유리한 입장에서 성경 전체의 전개되는 신학적 통일성을 탐구합니다. 그는 신약성서의 모든 주요 개념은 구약성서의 개념의 발전이며, 후기 새로운 창조와 왕국의 시작의 한 측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2. 신약 저자 빌은 신약성서 줄거리가 구약성서 줄거리와 어떻게 관련되고 발전하는지 조사합니다. 그는 신약성서의 내용이 구약성서의 '구원-역사적 줄거리'에 기반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3. 종말론적 관점 빌은 성경을 종말론적 관점에서 바라봅니다. 그는 구약성서의 특정한 예언을 고려하고, ...2025.05.02
-
20년도 총신대학교 구약의 세계와 인성(임창일 교수님) 기말고사 대체2025.01.131. 욥기의 중보자 사상 욥기의 주제는 하나님의 주권 사상입니다. 욥기는 하나님의 공의를 근거로 모든 인간을 '하나님의 주권' 아래 보종시킵니다. 욥기는 '중보자 사상'을 제시하는데, 이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 구속자가 땅 위에 서서 자기를 변호할 것이라는 내용입니다. 2. 히브리 시의 특징과 평행법 히브리 시의 특징은 리듬과 평행법입니다. 리듬은 악센트의 강세로 표현되며, 평행법은 사상을 진술하는데 반복, 변화, 대조를 통해 강화시킵니다. 평행법에는 동의적, 반의적, 종합적 평행법이 있습니다. 3. 지혜의 근본은 여호와를 경외함 잠...2025.01.13
-
구약 역사서의 신학적 이해와 해석2025.11.121. 약속의 땅과 언약의 성취 여호수아서에서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을 차지하는 것은 하나님이 족장들에게 맹세한 약속의 성취이다. 이는 단순한 정복이 아니라 노예 상태에서 해방된 백성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선물이며, 받은 땅에서 여호와만을 섬기고 언약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정체성을 담고 있다. 땅을 받은 백성은 그 땅을 지혜롭게 정복하고 다스리며 사회적 약자를 구제해야 한다. 2. 샬롬(평화)의 신학적 의미 샬롬은 단순한 평화가 아니라 하나님의 질서에 순응하며 사는 삶에서 주어지는 하나님의 선물이다. 여호수아 시대의 샬롬은 하나님이 이...2025.11.12
-
구약성서의 형성과 구조에 따른 히브리성서(타나크)와 기독교 구약성서의 차이2025.01.201. 히브리성서(타나크)의 구조 히브리성서(타나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율법서인 토라, 예언서인 네비임, 성문서인 케투빔으로 나뉩니다. 토라는 모세 5경, 네비임은 8권의 역사서와 예언서, 케투빔은 11권의 시가서와 기타 저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은 하나님의 말씀이 율법을 통해 주어지고, 역사와 예언자를 통해 계시되며, 개인의 삶 속에서 예배와 신앙생활로 이어지는 신학적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2. 기독교 구약성서의 구조 기독교 구약성서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모세오경, 역사서, 시가서, ...2025.01.20
-
마태복음 5장 21-48절: 이혼, 맹세, 보복의 대조법2025.11.151. 이혼(마 5:31-32) 신명기 24:1의 이혼 허용 규정을 배경으로 예수님의 가르침을 비교합니다. 구약에서는 '부정한 것'을 발견할 때 이혼을 허용했으나, 해석에 따라 보수적 학파는 성적 죄만, 진보적 학파는 모든 불평을 이유로 했습니다. 예수님은 '음행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혼할 수 없다고 선언하며, 창세기 2:24의 결혼 원리로 돌아갈 것을 교훈합니다. 이는 구약 율법보다 훨씬 엄격한 기준으로, 메시아적 성취를 통해 제자들이 하나님의 이상적 뜻에 도달하도록 합니다. 2. 맹세(마 5:33-37) 구약에서는 거짓 맹세를 ...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