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년도 총신대학교 구약의 세계와 인성(임창일 교수님) 기말고사 대체
본 내용은
"
20년도 총신대학교 구약의 세계와 인성(임창일 교수님) 기말고사 대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2
문서 내 토픽
-
1. 욥기의 중보자 사상욥기의 주제는 하나님의 주권 사상입니다. 욥기는 하나님의 공의를 근거로 모든 인간을 '하나님의 주권' 아래 보종시킵니다. 욥기는 '중보자 사상'을 제시하는데, 이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 구속자가 땅 위에 서서 자기를 변호할 것이라는 내용입니다.
-
2. 히브리 시의 특징과 평행법히브리 시의 특징은 리듬과 평행법입니다. 리듬은 악센트의 강세로 표현되며, 평행법은 사상을 진술하는데 반복, 변화, 대조를 통해 강화시킵니다. 평행법에는 동의적, 반의적, 종합적 평행법이 있습니다.
-
3. 지혜의 근본은 여호와를 경외함잠언의 본질은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원리들에 대한 가르침입니다. 잠언 1:7은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라고 말하며, 지혜를 여자로 의인화하여 음녀와 대조시킵니다. 잠언에서 지혜는 윤리적 특성을 가지며, 이는 구약성경에서 독특한 용법입니다.
-
4. 아가서의 해석 이론아가서에 대한 해석 이론에는 알레고리적, 드라마적, 예표적, 자연적 또는 문자적 해석이 있습니다. 개혁주의 신학은 자연적 또는 문자적 해석을 취할 수 있는데, 이는 아가서를 인간의 사랑을 극찬하는 시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
5. 미래 예언을 해석하는 일반적 원리미래 예언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예언이 가까운 미래인지 먼 미래인지, 조건적인지 무조건적인지, 이미 성취되었는지 아직 성취되지 않았는지, 복합적인지 이중적인지 등입니다. 선지서 연구를 통해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메시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
6. 이스라엘 멸망 후 유다의 선지자들이스라엘 멸망 후 유다에서 활동한 선지자들은 나훔, 스바냐, 하박국, 오바댜입니다. 이들은 유다의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경고하고, 회개와 하나님께로의 돌아옴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하박국서는 '의인은 그의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
1. 욥기의 중보자 사상욥기의 중보자 사상은 구약성서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욥기에서는 인간이 겪는 고난과 고통의 문제를 다루며, 이 과정에서 중보자의 역할이 부각됩니다. 욥기의 중보자 사상은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을 예시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를 통해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화해와 구원의 길이 열리게 됩니다. 이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성찰은 구약신학과 기독교 신학 전반에 걸쳐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
2. 히브리 시의 특징과 평행법히브리 시의 특징과 평행법은 구약성서 해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히브리 시는 운율과 리듬, 그리고 평행법을 통해 독특한 문학적 특성을 드러냅니다. 평행법은 히브리 시의 핵심적인 구조로서, 동의적 평행, 대조적 평행, 종합적 평행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히브리 시의 특징과 평행법에 대한 이해는 구약성서 본문의 의미와 메시지를 깊이 있게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 주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분석은 구약성서 해석학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3. 지혜의 근본은 여호와를 경외함구약성서에서 지혜의 근본은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라고 강조됩니다. 이는 지혜가 단순한 지식이나 기술이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과 순종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혜의 근본이 여호와를 경외함이라는 사상은 잠언, 전도서, 욥기 등 지혜 문학 전반에 걸쳐 나타납니다. 이는 지혜가 단순한 인간의 능력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시는 은총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성찰은 구약신학과 기독교 윤리학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
4. 아가서의 해석 이론아가서의 해석 이론은 구약성서 해석에 있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주제입니다. 아가서는 신비로운 사랑의 노래로 알려져 있지만, 그 해석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아가서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또는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해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아가서를 순수한 인간적 사랑의 노래로 보는 해석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해석 이론들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분석은 구약성서 해석학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
5. 미래 예언을 해석하는 일반적 원리구약성서에는 다양한 미래 예언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를 해석하는 일반적 원리를 정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미래 예언을 해석할 때에는 문맥, 역사적 배경, 문학적 특성, 상징적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예언의 성취 시기와 방식,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일반적 원리를 바탕으로 구약성서의 미래 예언들을 해석하는 것은 구약신학과 기독교 신앙 전반에 걸쳐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
6. 이스라엘 멸망 후 유다의 선지자들이스라엘 왕국의 멸망 이후 유다 왕국에서 활동한 선지자들의 역할과 메시지는 구약성서 해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이 시기의 선지자들은 이스라엘 멸망의 원인을 진단하고,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메시지를 선포했습니다. 또한 그들은 유다 백성들의 회개와 신실한 삶을 촉구하며, 메시아 왕국의 도래를 예언했습니다. 이러한 선지자들의 활동과 메시지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분석은 구약신학과 기독교 신앙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