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2024 [liver failure, 간부전] 성인간호학 / 간호진단 8개 / 간호과정 2개
본 내용은
"
A+ 2025 [liver failure, 간부전] 성인간호학 / 간호진단 8개 / 간호과정 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7
문서 내 토픽
-
1. 혈중 암모니아 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성혼돈대상자는 간성 혼수로 인한 급성 혼돈 상태를 보이고 있다. 혈중 암모니아 수치가 상승하여 뇌에 독성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Dulackhan syr.과 Uni-Infusion 5g 등의 약물 투여, 활력징후 및 의식수준 모니터링, 낙상 예방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보호자 교육을 통해 간성 혼수의 원인, 진행, 치료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
-
2. 간기능 저하와 관련된 출혈위험성대상자는 간기능 저하로 인해 출혈 위험성이 높은 상태이다. PT, INR, aPTT, Plt, Hct, Hb, RBC, PCT 등의 혈액검사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피부 및 점막에 출혈 소견이 관찰되고 있다. 이를 위해 Esomach, Vitamine K1 등의 약물 투여, 위장관 출혈 증상 모니터링, 변비 완화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출혈 위험성에 대한 환자와 가족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교육이 중요하다.
-
3. 복수, 부종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대상자는 복수와 부종으로 인해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호흡 양상이 비효율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체위 변경, 산소 공급, 호흡운동 격려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복수와 부종의 원인인 간기능 저하에 대한 치료도 병행해야 한다.
-
4. 부종,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대상자는 전신 부종과 소양감으로 인해 피부 손상 위험이 높은 상태이다. 이를 위해 피부 관리, 소양증 완화를 위한 약물 투여, 피부 상태 모니터링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5.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대상자는 중심정맥관, 도뇨관 등의 침습적 처치를 받고 있어 감염 위험이 높은 상태이다. 이를 위해 무균술 준수, 드레싱 관리, 감염 징후 모니터링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6. 알부민 수치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대상자는 간기능 저하로 인해 알부민 수치가 낮아 체액과다 상태에 있다. 이를 위해 수분 섭취량 및 배설량 모니터링, 알부민 투여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7.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대상자는 간성 혼수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로 낙상 위험이 높은 상태이다. 이를 위해 낙상 위험 요인 평가, 안전한 환경 조성, 보호대 적용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8.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대상자는 간성 혼수로 인한 의식수준 저하로 자가간호가 어려운 상태이다. 이를 위해 기본적인 간호 제공, 보호자 교육 및 협조 구득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1. 주제2: 간기능 저하와 관련된 출혈위험성간기능 저하는 혈액 응고 인자 생성 저하로 이어져 출혈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피부 점막 출혈, 위장관 출혈, 수술 후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기능 저하 환자의 경우 출혈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 시 혈액 응고 인자 보충, 내시경적 지혈술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출혈 위험이 높은 경우 약물 투여, 침습적 시술 등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출혈 예방과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
2. 주제4: 부종,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간기능 저하로 인한 부종과 소양감은 피부 손상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부종으로 인한 피부 팽창과 소양감으로 인한 긁힘은 피부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종과 소양감 관리를 위한 적절한 약물 치료와 함께 피부 관리가 중요합니다. 피부 청결 유지, 보습제 사용, 긁힘 방지 등의 간호 중재를 통해 피부 손상을 예방하고 관리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피부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3. 주제6: 알부민 수치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간기능 저하로 인한 알부민 수치 저하는 체액 과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알부민은 혈관 내 삼투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알부민 수치 저하 시 체액이 혈관 밖으로 유출되어 부종, 복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호흡 곤란, 심부전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부민 수치 보충을 위한 치료와 함께 수분 섭취 제한, 이뇨제 투여 등의 체액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체액 과다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증상 악화 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4. 주제8: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간기능 저하로 인한 의식수준 저하는 자가간호 능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혼돈, 기면, 혼수 등의 증상으로 인해 환자가 자신의 건강 관리를 스스로 수행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투약, 식이, 개인위생 등의 기본적인 자가간호가 이루어지지 않아 건강 상태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식수준 저하 환자의 경우 가족 및 의료진의 적극적인 간호 지원이 필요합니다. 투약, 식이, 위생 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환자 상태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가족 교육을 통해 환자 간호에 대한 이해와 참여를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
A+ 2024 [Fulminant hepatic failure, FHF 전격성 간부전] 성인간호학 / 간호진단 5개 / 간호과정 3개1. 전격성 간부전 전격성 간부전은 주로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독성이 강한 경우나 또 간의 저항일 경우에 볼 수 있는 것으로 증상외에 발열, 황달을 나타내고 또 불안, 불면, 흥분상태, 경련 등의 신경증상을 나타내고 이어서 간성혼수에 빠져 대개 2주 이내에 사망한다. 평균 생존율은 63%로 비전격성 간질환의 평균 생존율인 78%보다 다소 낮다. 이러한 이유로...2025.01.15 · 의학/약학
-
A++ pharyngeal Tonsilitis 성인간호학 후두염케이스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계획중재8개1. 급성 인두편도염 급성 인두편도염은 흔히 말하는 감기, 목감기, 상기도 감염에 해당하는 질병으로 다양한 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해 인두와 후두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급성의 경우 급격한 기온변화, 감기, 열성질환, 과로, 허약한 체질, 세균 감염 등이 원인이 되며, 만성의 경우 급성 인후염이 반복해서 재발하거나 흡연, 음주, 과로, 자극성 음식...2025.05.16 · 의학/약학
-
A++Acte Appendicitis 충수염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2개 계획중재8개1. 충수염(appendicitis) 충수염, 충수돌기염이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맹장염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잘못된 명칭이다.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도 발...2025.05.16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학실습 호흡기내과 만성호흡부전 Chronic respiratory failure CRF 간호과정2개 간호진단3개1. 만성호흡부전 만성호흡기질환은 6개월 혹은 1년 이상 지속되는 질환으로 급성 질환과는 다르며, 장기간 동안 서서히 진행되면서 전염되지 않는 비감염성 질환이다. 만성호흡기질환에는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폐기종, 만성기관지염) 등이 있으며 완전한 치료가 어렵고 증상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만성호흡부전은 일반적으로 폐로 공기를 운반하는 기도가 좁아지고 손상될 ...2025.01.2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심근경색 case study A+(간호진단 8개, 간호과정 2개, 급성통증+비효과적 건강관리)1. 심근의 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5일 전부터 목 부위에 숨이 막히는 듯한 느낌, 가슴이 답답한 느낌이 들면서 가슴 통증이 20분 이상 지속되었다. 정신과에서 처방받은 공황장애약을 먹은 뒤로 어제저녁 6시부터 왼쪽 가슴, 어깨, 목, 머리 등 온몸이 찌르듯이 아프고, 오늘 새벽 1시에 못 참을 정도로 가슴을 조이는 느낌이 들었다. 간호사는 대상자...2025.04.27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학 실습 만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chronic renal failure CRF case study 진단 2개, 과정 2개1. 만성 콩팥기능상실(chronic renal failure) 만성 콩팥기능상실은 콩팥단위가 파괴되어 기능이 소실됨으로써 사구체여과율과 청소율이 감소하여 혈액 내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이 상승한다. 콩판단위는 비대해지고 요 농축 능력이 감소하여 다량의 희석된 요를 배출시키므로 체액이 부족해진다. 만성 콩팥기능상실의 합병증은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쇼크, 패...2025.05.05 · 의학/약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