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상황이론(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
본 내용은
"
리더십 상황이론(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8
문서 내 토픽
  • 1. 하우스의 경로-목표 이론
    하우스(House)는 오하이오 연구와 동기부여에 관한 기대이론(the expectancy theory of motivation)을 결합하여 경로-목표 이론(path-goal theory)을 제시하였다. 이 이론은 리더는 하위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행동경로를 명확하게 밝혀 주고, 원하는 보상을 더 쉽게 많이 받을 수 있다고 믿게 해야만 동기부여가 이루어져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상황이란 하위구성원의 능력, 성격 및 동기와 작업집단의 특성, 작업의 구조화 정도, 조직 내의 규칙과 절차 등을 포함한다. 하우스(House)는 상황적 특성에 따라 추종자의 동기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리더십 유형을 지시적 리더십, 지지적 리더십, 참여적 리더십, 성취지향적 리더십으로 제시하고 있다.
  • 2.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
    허시와 블랜차드(Hersey & Blanchard)의 상황이론은 리더가 어떤 리더십을 발휘할 때 다양한 상황 중에서도 하위구성원의 특성 및 성숙도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하위구성원의 성숙도(maturity)를 지식, 기술, 경험 등을 포괄하는 능력의 차원과 믿음, 헌신, 동기 등을 포괄하는 의지의 차원으로 나누고, 이 두 차원에 따라 상황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리더십을 설명하고 있다. 즉, 리더십의 유효성은 리더, 하위구성원, 환경을 이루고 있는 상황변수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하우스의 경로-목표 이론
    하우스의 경로-목표 이론은 리더십 이론 중 하나로, 리더가 부하들의 동기부여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부하들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리더는 부하들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행동을 하도록 격려하고, 부하들이 겪는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또한 리더는 부하들의 동기부여 수준과 과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이론은 리더십 발휘에 있어 상황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실제 조직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 이론은 리더 개인의 특성과 부하들의 개인차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2.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이론은 리더십 이론 중 하나로, 리더의 행동과 부하의 성숙도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리더는 부하의 성숙도에 따라 지시형, 설득형, 참여형, 위임형 등 다양한 리더십 스타일을 발휘해야 합니다. 부하의 성숙도가 낮은 경우에는 지시형 리더십이 효과적이며, 성숙도가 높아질수록 점차 참여형이나 위임형 리더십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이 이론은 리더십 발휘에 있어 상황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실제 조직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 이론은 리더와 부하 간의 상호작용 과정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