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 부분을 재구성해 수업계획 수립
문서 내 토픽
  • 1. 세종 한국어 3권 11단원 날씨 - 듣고 말하기
    세종 한국어 3권 11단원은 날씨에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있다. '듣고 말하기'는 5개 문항으로, 3개의 듣기 활동과 2개의 말하기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듣기 1번은 간단한 회화를 듣고 올바른 그림을 고르는 유형, 2번은 들은 내용 O, X하기 유형, 3번은 들은 내용을 쓰는 유형에 해당한다. 1~3번 '듣고 말하기'를 '듣기 중 활동'으로 간주하여 문항별 '듣기 전 활동'의 학습 목표와 수업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2. 듣기 전 활동 -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식을 이끌어내, 다른 학습자들과 이를 공유하도록 하는 활동이다. 교사의 질문에 답하기, 그림이나 사진 도표와 같은 시각 자료 이용하기, 들을 내용에 나올 어휘를 예측하는 활동 등을 통해 동기를 유발하는 활동이다.
  • 3. 듣기 전 활동 - 정보 강화 활동
    학습자가 들을 내용에 나올 수 있는 문화, 어휘, 사회적 정보를 미리 배우는 활동을 의미한다. 어휘 표현 학습하기, 교사의 경험 들려주기, 들을 정보를 맥락을 통해 예측하여 빈칸 채우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듣기 전 활동 -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
    듣기 전 활동으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력과 집중력을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들을 내용과 관련된 기존 지식을 환기하고, 새로운 정보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듣기 과정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을 줄이고,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은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높여 듣기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특히 주제와 관련된 질문, 관련 어휘 확인, 주제에 대한 토론 등의 활동은 학습자들의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듣기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듣기 수업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 부분을 재구성해 수업계획을 수립하되, 학생에게 배부할 부교재 형태로 개발합니다. 또한 개발 자료의 듣기 전 활동의 의도와 수업 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해봅시다.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6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