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선 회절법과 DSC를 이용한 강유전체 BaTiO3 분석
본 내용은
"
A+ 받은 X선 회절법을 이용한 강유전체 BaTiO3의 구조 분석과 시차 주사 열량계를 이용한 상전이 온도 측정 신소재 예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9
문서 내 토픽
-
1. 강유전체 BaTiO3의 구조 및 특성BaTiO3는 대표적인 강유전성 물질로 Perovskite 구조를 가지며 상온에서 정방정 결정구조를 갖습니다. 외부 전기장 없이 자발분극을 가지는 특징이 있으며, 양이온 Ti4+가 음이온 O2- 중심보다 다른 위치에서 자발분극이 생깁니다. 120°C 이상의 온도에서는 열진동 에너지가 증가하여 쌍극자 배열이 방해받고 결정구조가 입방정으로 변하며 자발분극이 사라집니다.
-
2. X선 회절법(XRD)의 원리 및 응용X선 회절 분석은 결정성 물질의 내부 미세구조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강해 투과가 잘되며 비파괴 분석이 가능합니다. 브래그 법칙(nλ=2dhklsinθ)을 이용하여 면간 거리를 구할 수 있고, 회절 패턴의 피크 위치와 강도로부터 물질의 결정계, 격자상수, 결정성 물질의 양과 종류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3.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한 상전이 분석DSC는 온도 변화에 따라 시료와 기준 물질 사이 흐르는 열의 양을 측정하는 기법입니다. 전력보상 원리를 이용하여 두 물질의 온도차를 0으로 유지하면서 필요한 에너지를 측정합니다. 그래프의 위로 볼록한 형태는 흡열반응, 아래로 볼록한 형태는 발열반응을 나타내며, 유리전이온도(Tg)와 결정화온도(Tc)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4. BaTiO3 합성 및 열처리 공정BaTiO3 합성을 위해 BaCO3와 TiO2를 계량하여 막자사발에서 충분히 분쇄한 후 퍼니스에서 1100°C에서 24시간 반응시킵니다. 퍼니스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고온에서 시료를 열처리하는 장비로, 저항체와 발열체를 통해 열을 생성하고 열 교환기를 통해 전달하며 제어 장치로 온도를 조절합니다.
-
1. 강유전체 BaTiO3의 구조 및 특성BaTiO3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중요한 강유전체 재료로, 그 구조적 특성이 우수한 전기적 성질을 결정합니다. 정방정계 상태에서 Ba2+ 이온의 비중심 위치 점유로 인한 자발 분극이 강유전성을 나타내며, 이는 압전 소자, 커패시터, 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핵심 역할을 합니다. 온도에 따른 상전이(정방정계↔입방정계)는 큐리 온도 근처에서 유전 상수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므로, 응용 분야에 맞는 최적의 구조 제어가 필수적입니다. 나노 크기로의 입자 축소는 표면 효과로 인해 강유전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입자 크기와 결정성 제어를 통한 특성 최적화가 중요한 연구 과제입니다.
-
2. X선 회절법(XRD)의 원리 및 응용X선 회절법은 결정 구조 분석의 가장 기본적이고 강력한 도구로, Bragg의 법칙에 기반하여 원자 배열 정보를 제공합니다. 결정면 간격과 회절각의 관계를 통해 결정계, 격자 상수, 결정성 등을 정량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미량의 불순물 상 검출도 가능합니다. BaTiO3 같은 강유전체 재료의 상 분석, 결정 구조 변화 추적, 입자 크기 계산(Scherrer 식) 등에 필수적입니다. 고분해능 XRD를 통해 격자 왜곡, 응력 상태, 원자 위치 정밀도 등 미세한 구조 정보도 얻을 수 있어, 재료 개발 및 품질 관리에 매우 유용한 분석 기법입니다.
-
3.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한 상전이 분석DSC는 시료와 기준물질 간의 열흐름 차이를 측정하여 상전이, 결정화, 분해 등 열적 현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중요한 열분석 기법입니다. BaTiO3의 경우 강유전-상유전 상전이에 따른 엔탈피 변화를 직접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큐리 온도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습니다. 가열/냉각 속도 변화에 따른 상전이 거동 분석으로 동역학적 정보도 획득 가능하며, 다양한 분위기(공기, 질소, 산소 등)에서의 측정으로 환경 의존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합성 공정 최적화 및 열처리 조건 결정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강력한 분석 도구입니다.
-
4. BaTiO3 합성 및 열처리 공정BaTiO3 합성은 고상 반응법, 졸-겔법, 수열합성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되며, 각 방법은 입자 크기, 형태, 결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고상 반응법은 경제적이지만 높은 온도와 긴 시간이 필요하고, 졸-겔법은 낮은 온도에서 균일한 나노 입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열처리 공정은 결정화, 입자 성장, 불순물 제거 등을 제어하는 핵심 단계로, 온도, 시간, 분위기 등의 조건이 최종 특성을 결정합니다. 적절한 열처리를 통해 강유전성, 유전 손실, 기계적 강도 등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응용 분야별 요구 특성에 맞는 공정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
X선 회절법을 이용한 강유전체 BaTiO3의 구조 분석과 시차 주사 열량계를 이용한 상전이 온도 측정 (예비)1. 강유전체 BaTiO3 BaTiO3는 대표적인 강유전체로, 온도에 따라 결정 구조가 변화한다. 상온에서는 tetragonal 구조이며, 120°C 이상에서는 cubic 구조로 변화한다. 이러한 상전이 과정에서 열 출입 현상이 발생하므로 DSC 분석을 통해 상전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2. X선 회절법(XRD) X선 회절법은 물질의 결정 구조를 분석할...2025.05.12 · 공학/기술
-
X선 회절법을 이용한 강유전체 BaTiO3의 구조 분석과 시차 주사 열량계를 이용한 상전이 온도 측정 (결과)1. BaTiO3 합성 BaTiO3의 합성 반응식은 BaCO3 + TiO2 → BaTiO3 + CO2↑이며, 고상 합성법을 이용하여 BaTiO3 분말을 제조하였다. 합성 과정에서 불균일하게 진행되거나 반응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중간상이 잔류할 수 있어 오랜 시간 동안 갈아주어야 한다. 2. XRD를 통한 BaTiO3 분석 XRD 측정 결과, 합성된 BaTi...2025.05.12 · 공학/기술
-
BaTiO3 구조 분석 및 상전이 온도 측정1. X선 회절법(XRD) X선 회절법은 결정면 사이의 경로차를 이용하여 물질의 결정구조를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Bragg의 법칙을 만족할 때 보강간섭이 발생하여 회절 피크가 나타나며, 피크의 위치와 강도는 물질의 고유한 특징입니다. 본 실험에서 BaTiO3는 1100°C에서 24시간 가열하여 입방정 구조를 확인했으며, 격자상수 a값은 약 4.0Å로 JCP...2025.11.18 · 자연과학
-
A+ 받은 X선 회절법과 DSC로 BaTiO3 구조 및 상전이 온도측정 신소재 실험 결과 5페이지
X선 회절법을 이용한 강유전체 BaTiO3의 구조 분석과 시차 주사 열량계를 이용한 상전이 온도 측정 1. 실험 결과 및 고찰 1) 실험 결과 A. BaTiO3 합성 BaTiO3 1g을 합성한다고 할 때 BaCO3 508.4 mg과 TiO2 207.4 mg을 사용했다. Top & bottom cap 무게는 52.1 mg이었고 시료의 양은 56.3mg으로 결론적으로 시료 + 캡 2개의 무게 즉, sample 무게는 108.4mg이었다. B. XRD 분석 결과 (별첨 참고) BaTiO3의 tetragonal 과 cubic 구조 각각의 ...2023.12.29· 5페이지 -
강유전체 BaTiO3의 합성과 상전이 예비보고서 9페이지
1. 실험제목강유전체 BaTiO3의 합성과 상전이2. 실험목적- 대표적인 강유전성 물질인 BaTiO3를 합성하고 TG, DSC, XRD 분석을 하여 큐리 온도(Curie temperature)와 상변화에 대하여 알아본다.3. 실험원리-유전체: 전기장 안에서 극성을 지니게 되는 절연체이다. 인가된 전압 하에서 전하를 축적한다. 따라서 전자기장 안에 있는 물질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압전체: 외부의 압력이나 전압에 의하여 분극 변화가 발생하는 물질이다. 대표적으로, 수정 등이 있다.-압전효과: 전기 쌍극자를 가진 재료에 ...2021.11.17· 9페이지 -
[신소재공정실험] X선회절법, DSC로 BaTiO3의 구조확인 및 상전이온도 측정 7페이지
1. 실험 목적 1-1. 강유전체 BaTiO3를 합성 대표적인 강유전성 물질인 BaTiO3 합성한다. 1-2. X선 회절법을 이용한 구조 분석 DSC, XRD 분석을 하여 상 변화, 큐리온도와 결정구조에 대하여 알아본다. 1-3. 시차 주사 열량계를 이용한 강유전체 BaTiO3의 상전이 온도 측정 2. 실험 원리 2-1. 강유전체(Ferroelectrics): BaTiO3 외부의 전기장이 없어도 스스로 분극을 가지는 재료로서 외부 전기장에 의하여 분극의 방향이 바뀔 수 있는 물질, 주로 산화물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BaTiO3...2019.04.09· 7페이지 -
강유전체 BaTiO₃의 합성과 상전이 36페이지
강유전체 BaTiO₃의 합성과 상전이실험목적 대표적인 강유전성 물질인 BaTiO3 를 합성하고 TG/DSC/XRD 분석을 하여 큐리 온도 (Curie temperature) 와 상변화에 대하여 알아본다 .실험이론유전체 전기적으로는 중성이나 외부에서 전기장을 걸어주면 분극이 발생하는 물질E=qv, q=CV, q=Ne, e= 1.602×10 −19 C E(N+1)= qV /2=q^2/2C=(N+1)^2e^2/2C E(N)=N^2e^2/2C-eV(V=- eN /C) =N^2e^2/2C+2Ne^2/2C=N(N+1)e^2/2C E=E(N+1...2019.12.23· 36페이지 -
[복합소재] 압전 세라믹 고분자 복합소재 8페이지
고분자계 복합소재『압전 세라믹 - 고분자 복합소재』교수님 :교수님학번 :이름 :◆ 목 차 ◆◇ 제1장 서론◇ 제2장 Matrix- PVdF⑴ PVdF 의 구조1) α-PVdF2) β-PVdF3) τ-PVdF 및 δ-PVdF⑵ PVdF의 특성◇ 제3장 강화재 – Pb(ZrxTi1-x)O3◇ 제4장 압전 복합소재의 제조⑴ 압전 복합소재의 제조⑵ 전극부착 및 분극처리◇ 제5장 압전 복합 소재의 성질 및 응용⑴ 압전 복합 소재의 성질⑵ 압전 복합 소재의 응용제1장 서론지난 40여 년 동안 압전재료에 대한 연구는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2004.10.29·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