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iO3 구조 분석 및 상전이 온도 측정
본 내용은
"
A+ 받은 X선 회절법과 DSC로 BaTiO3 구조 및 상전이 온도측정 신소재 실험 결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9
문서 내 토픽
-
1. X선 회절법(XRD)X선 회절법은 결정면 사이의 경로차를 이용하여 물질의 결정구조를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Bragg의 법칙을 만족할 때 보강간섭이 발생하여 회절 피크가 나타나며, 피크의 위치와 강도는 물질의 고유한 특징입니다. 본 실험에서 BaTiO3는 1100°C에서 24시간 가열하여 입방정 구조를 확인했으며, 격자상수 a값은 약 4.0Å로 JCPDS 표준값과 일치했습니다. 피크의 예리함으로부터 시료의 결정성과 순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2. 시차 주사 열량계(DSC)DSC는 온도 변화에 따른 시료의 에너지 변화를 측정하는 분석 기법입니다. 상전이 발생 시 시료의 온도가 변하지 않으므로 열흐름에 변화가 생기며, 이는 흡열 또는 발열 피크로 나타납니다. 본 실험에서 BaTiO3의 큐리온도는 124.78°C로 측정되었으며, 이 온도에서 강유전성을 잃고 정방정 구조에서 입방정 구조로 상전이가 발생합니다.
-
3. 강유전체 BaTiO3의 상전이BaTiO3는 온도에 따라 결정구조가 변하는 강유전체입니다. 큐리온도(약 120°C) 이하에서는 정방정 구조(a=b=3.9940Å, c=4.0380Å)를 가지며 강유전성을 나타내고, 큐리온도 이상에서는 입방정 구조(a=b=c=4.0Å)로 변하며 강유전성을 잃습니다. 이는 격자 내 이온들의 운동성 증가로 자발분극과 도메인 구조가 파괴되기 때문입니다.
-
4. BaTiO3 합성 및 특성분석BaTiO3는 BaCO3와 TiO2를 정확한 몰비로 혼합하여 고온 소성으로 합성됩니다. 본 실험에서는 BaCO3 508.4mg과 TiO2 207.4mg을 사용하여 1100°C에서 24시간 가열했습니다. XRD와 DSC 분석을 통해 결정구조와 상전이 온도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으며, 불순물 제거를 위해 에탄올로 세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 X선 회절법(XRD)X선 회절법은 물질의 결정 구조를 분석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강력한 도구입니다. 원자 배열의 주기성을 이용하여 격자 상수, 결정 구조, 결정성 정도 등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분말 시료 분석에 매우 효과적이며, 정량 분석도 가능합니다. 다만 비정질 물질이나 매우 미세한 결정에 대해서는 해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현대 재료 과학에서 신소재 개발 및 품질 관리에 필수적인 분석 기법이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으로 더욱 정밀한 분석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
2. 시차 주사 열량계(DSC)시차 주사 열량계는 물질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는 중요한 열분석 기법입니다. 상전이, 결정화, 분해 등의 열적 현상을 감지하고 정량화할 수 있어 물질의 안정성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빠른 측정 속도와 높은 감도가 장점이며, 소량의 시료로도 분석 가능합니다. 다만 측정 조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표준화된 절차 준수가 중요합니다. 재료 과학, 약학, 고분자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3. 강유전체 BaTiO3의 상전이바륨 티타늄 산화물(BaTiO3)의 상전이는 강유전체 물질의 특성을 이해하는 핵심입니다. 온도 변화에 따라 정방정계, 정방정계, 능면체정계 등 다양한 결정 구조로 변환되며, 각 상에서 서로 다른 유전 특성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상전이는 전자 장치 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상전이 온도와 메커니즘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BaTiO3 기반 소자의 성능 최적화에 필수적입니다. 미세 구조와 도핑 원소가 상전이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
4. BaTiO3 합성 및 특성분석BaTiO3의 합성 방법은 최종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고온 고상 반응, 졸-겔 방법, 수열 합성 등 다양한 합성 기법이 있으며, 각 방법은 입자 크기, 결정성, 순도 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합성된 BaTiO3의 특성분석을 위해 XRD, DSC, SEM, 유전 특성 측정 등 다양한 분석 기법이 필요합니다. 이들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면 합성 조건과 최종 특성 간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습니다. 고품질 BaTiO3 개발은 커패시터, 센서,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중요합니다.
-
X선 회절법을 이용한 강유전체 BaTiO3의 구조 분석과 시차 주사 열량계를 이용한 상전이 온도 측정 (결과)1. BaTiO3 합성 BaTiO3의 합성 반응식은 BaCO3 + TiO2 → BaTiO3 + CO2↑이며, 고상 합성법을 이용하여 BaTiO3 분말을 제조하였다. 합성 과정에서 불균일하게 진행되거나 반응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중간상이 잔류할 수 있어 오랜 시간 동안 갈아주어야 한다. 2. XRD를 통한 BaTiO3 분석 XRD 측정 결과, 합성된 BaTi...2025.05.12 · 공학/기술
-
X선 회절법을 이용한 강유전체 BaTiO3의 구조 분석과 시차 주사 열량계를 이용한 상전이 온도 측정 (예비)1. 강유전체 BaTiO3 BaTiO3는 대표적인 강유전체로, 온도에 따라 결정 구조가 변화한다. 상온에서는 tetragonal 구조이며, 120°C 이상에서는 cubic 구조로 변화한다. 이러한 상전이 과정에서 열 출입 현상이 발생하므로 DSC 분석을 통해 상전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2. X선 회절법(XRD) X선 회절법은 물질의 결정 구조를 분석할...2025.05.12 · 공학/기술
-
X선 회절법과 DSC를 이용한 강유전체 BaTiO3 분석1. 강유전체 BaTiO3의 구조 및 특성 BaTiO3는 대표적인 강유전성 물질로 Perovskite 구조를 가지며 상온에서 정방정 결정구조를 갖습니다. 외부 전기장 없이 자발분극을 가지는 특징이 있으며, 양이온 Ti4+가 음이온 O2- 중심보다 다른 위치에서 자발분극이 생깁니다. 120°C 이상의 온도에서는 열진동 에너지가 증가하여 쌍극자 배열이 방해받고...2025.11.18 · 자연과학
-
Crystal growth & X-ray diffraction, structure transition of BaTiO3 예비보고서1. 고상소결법 고상소결법을 통해 BaTi, CaTi, SrTi를 제작하고 X-ray diffraction을 이용하여 시료를 관측함으로써 XRD의 원리를 이해한다. 고상소결법은 불순물이 없는 순수한 원료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처리하는 소결 방법으로, 시간, 온도, 압력 등의 영향을 받는다. 2. X-ray diffraction X-ray diffraction...2025.05.05 · 공학/기술
-
강유전체 BaTiO3의 합성과 상전이 예비보고서 9페이지
1. 실험제목강유전체 BaTiO3의 합성과 상전이2. 실험목적- 대표적인 강유전성 물질인 BaTiO3를 합성하고 TG, DSC, XRD 분석을 하여 큐리 온도(Curie temperature)와 상변화에 대하여 알아본다.3. 실험원리-유전체: 전기장 안에서 극성을 지니게 되는 절연체이다. 인가된 전압 하에서 전하를 축적한다. 따라서 전자기장 안에 있는 물질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압전체: 외부의 압력이나 전압에 의하여 분극 변화가 발생하는 물질이다. 대표적으로, 수정 등이 있다.-압전효과: 전기 쌍극자를 가진 재료에 ...2021.11.17· 9페이지 -
강유전체 BaTiO3의 합성과 상전이 결과보고서 5페이지
1. 실험제목 강유전체 BaTiO3의 합성과 상전이 2. 실험목적 대표적인 강유전성 물질인 BaTiO3를 합성하고 TGA, DSC, XRD 분석을 하여 큐리 온도(Curie temperature)와 상변화에 대하여 알아본다. 3. 결과분석 이번 실험은 고체상반응법을 사용하여 BaTiO3를 합성하였다. 이 방법은 고상의 Ba 및 Ti 원을 기계적으로 혼합하고 고온에서 고상 확산 반응시켜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BaCO3 + TiO2 → 2BaTiO3 + CO2 (1) 2BaCO3 + BaTiO3 → Ba2...2021.11.17· 5페이지 -
BaTiO3의 제조 및 평가 5페이지
BaTiO3 제작 및 평가이론적 배경- BaTiO3BaTiO3는 온도에 따라서 고체결정의 구조가 달라지며, 밝혀진 것만 5가지로, bcc를 비롯한 hcp, tetragonal, orthorhombic, 그리고 rhombohedral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BaTiO3는 Perovskite 구조의 예로 쓰이곤 하는데, 러시아의 광물학자 페로브스카이트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결정구조명이라고 한다.BaTiO3는 강유전성을 띠는 산화물로 알려져 있다. 온도가 1460도 이하일 때에는 육방정 구조를 취하다가 1460도 이상일 때에는 ...2020.12.22· 5페이지 -
Crystal growth X-ray diffraction, structure transition of BaTiO3 결과보고서 7페이지
Crystal growth & X-ray diffraction, structure transition of BaTi실험 목적고상소결법을 통해 BaTi, CaTi, SrTi를 제작하고 X-ray diffraction을 이용하여 시료를 측정함으로써 회절패턴을 관측해보았다. 이를 통해 시료의 격자구조를 분석하고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한 원인을 고찰해본다. 끝으로 BaTi의 온도에 따른 전기용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유전상수를 계산하여 상전이가 일어나는 지점을 파악해본다.Experiment실험 방법1. Crystal...2023.04.05· 7페이지 -
강유전체 BaTiO₃의 합성과 상전이 36페이지
강유전체 BaTiO₃의 합성과 상전이실험목적 대표적인 강유전성 물질인 BaTiO3 를 합성하고 TG/DSC/XRD 분석을 하여 큐리 온도 (Curie temperature) 와 상변화에 대하여 알아본다 .실험이론유전체 전기적으로는 중성이나 외부에서 전기장을 걸어주면 분극이 발생하는 물질E=qv, q=CV, q=Ne, e= 1.602×10 −19 C E(N+1)= qV /2=q^2/2C=(N+1)^2e^2/2C E(N)=N^2e^2/2C-eV(V=- eN /C) =N^2e^2/2C+2Ne^2/2C=N(N+1)e^2/2C E=E(N+1...2019.12.23· 3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