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산 분해 및 케톤체 생성 대사
본 내용은
"
레닌져 생화학 17단원 총정리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08
문서 내 토픽
-
1. 지방의 소화 및 동원담즙염에 의해 형성된 미셀에서 장 리파아제가 중성지방을 이지방글리세롤과 일지방글리세롤로 분해한다. 이들은 확산으로 상피세포에 진입하여 재구성되고, 아포지단백질, 콜레스테롤과 함께 유미크론을 형성해 림프관으로 진입한다.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와 지방산 트리글리세롤 리파아제가 저장 지방을 동원하며, 유리 지방산은 알부민에 결합하여 운반된다.
-
2. 지방산의 β-산화지방산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아실-CoA 탈수소효소, 에노일-CoA 수화효소, β-하이드록시아실-CoA 탈수소효소, 티올라아제의 네 단계 반응을 거친다. 장쇄 지방산은 카르니틴 셔틀을 통해 미토콘드리아로 운반되며, 각 사이클에서 아세틸-CoA 한 분자가 생성된다. 불포화 지방산은 추가 이성질화 효소와 환원효소가 필요하다.
-
3. 케톤체 생성 및 대사케톤체(아세톤, 아세토아세테이트, D-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는 간의 미토콘드리아에서만 생성되며, 주로 기아 상태에서 뇌의 연료로 사용된다. 간은 β-케토아실-CoA 전이효소가 없어 케톤체를 연료로 사용하지 않는다. 케톤체는 산증과 케톤증을 유발할 수 있다.
-
4. 지방산 산화 조절 및 질환인슐린은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를 탈인산화하여 지방산 합성을 촉진하고, 말로닐-CoA는 카르니틴 셀셔틀을 억제한다. PPAR 전사인자는 기아 시 발현되어 지방산 산화를 활성화한다. 악성 빈혈, 프로피온산혈증, 젤웨거 증후군, X-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등이 지방산 대사 장애로 발생한다.
-
1. 지방의 소화 및 동원지방의 소화 및 동원은 인체의 에너지 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담즙산에 의한 지방의 유화와 췌장 리파아제에 의한 분해는 효율적인 지방 흡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소장에서 흡수된 지방은 키로미크론으로 포장되어 혈액을 통해 운반되며, 필요시 호르몬 감응성 리파아제에 의해 지방조직에서 동원됩니다. 이 과정은 글리세롤과 유리지방산을 방출하여 에너지 기질로 활용되도록 합니다. 특히 금식 상태에서 지방 동원의 증가는 혈당 유지와 에너지 공급에 필수적이며, 이러한 조절 메커니즘의 이상은 비만이나 대사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2. 지방산의 β-산화지방산의 β-산화는 세포 에너지 생산의 핵심 경로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효율적인 대사 과정입니다. 장쇄 지방산은 카르니틴 셔틀 시스템을 통해 미토콘드리아로 운반되며, 반복적인 4단계 반응을 거쳐 아세틸-CoA로 분해됩니다. 각 사이클마다 NADH와 FADH2가 생성되어 ATP 합성에 기여하므로, 지방산 산화는 탄수화물 산화보다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이 과정은 에너지 상태에 따라 정교하게 조절되며, 특히 저혈당이나 금식 상태에서 활성화됩니다. β-산화의 효율성은 운동 능력과 대사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3. 케톤체 생성 및 대사케톤체 생성은 지방산 β-산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중요한 대사 과정으로, 특히 금식이나 저탄수화물 상태에서 두드러집니다. 간에서 생성된 아세토아세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아세톤은 뇌와 근육을 포함한 말초 조직에서 에너지 기질로 활용됩니다. 케톤체는 포도당이 부족할 때 뇌의 주요 에너지원이 되어 신경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과도한 케톤체 생성은 케톤산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 과정의 적절한 조절이 중요합니다. 최근 케톤식이의 건강상 이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개인의 대사 상태와 건강 조건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4. 지방산 산화 조절 및 질환지방산 산화의 조절은 호르몬, 에너지 상태, 효소 활성도에 의해 복잡하게 이루어지며, 이 조절 메커니즘의 이상은 다양한 질환을 초래합니다. AMP-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와 마론일-CoA는 지방산 산화를 정교하게 조절하는 핵심 인자들입니다.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 비만에서는 지방산 산화 능력이 감소하여 지방이 축적되고 대사 이상이 심화됩니다. 반대로 일부 유전 질환에서는 지방산 산화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저혈당과 근육 약화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지방산 산화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대사 질환의 예방과 치료 전략 개발에 매우 중요합니다.
-
중앙대학교 동물영양학 기말예상문제1. 혈중 glucose level 유지의 중요성 혈중 glucose level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합니다. 고혈당과 저혈당의 차이를 설명합니다. 2. 지방 합성 용어 지방 합성과 관련된 용어를 설명합니다. 3. Gluconeogenesis 조절 효소 및 기질 Gluconeogenesis를 조절하는 4가지 주요 효소와 Gluco...2025.01.16 · 농수산/해양
-
식품생화학 지방산 분해, 생합성 및 지단백 대사1. 지방산 분해과정 지방산 분해과정에는 지방지방의 분해, 지방산의 흡수 및 미토콘드리아로의 이동, 지방산 β-산화, 케톤체의 형성 등이 포함됩니다. 지방산 분해를 통해 다량의 전자수용체와 아세틸 CoA가 생성되어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지방산 생합성 지방산 생합성은 아세틸 CoA를 전구물질로 하여 미토콘드리아 아세틸 CoA를 세포질로 ...2025.05.07 · 자연과학
-
당뇨병성케톤산증에 대해 알아보자1. 당뇨병성케톤산증의 정의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급성 대사성 합병증으로 신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당보다 지방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지나친 혈류속의 산대사물의 축적과 수분과 당의 손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 2. 당뇨병성케톤산증의 원인 인슐린의 용량이 부적당한 경우, 인슐린을 투여 받지 않은 경우, 수술이나 외상, 임신, 스트레스, 사춘기,...2025.01.18 · 의학/약학
-
[간호학과 CASE STUDY] A+ 성인간호학 케이스 CASE 응급실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DKA) 진단3개1. 당뇨병성 케톤산증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인슐린 부족, 수분 결핍, 산-염기 불균형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심한 급성 대사성 합병증입니다. 주로 제1형 당뇨병에서 발생하지만, 인슐린 투여를 하는 제2형 당뇨병이나 당뇨병의 과거력이 없던 사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케톤체인 아세톤이나 acetoacetic acid, ß-hysroxyb...2025.05.08 · 의학/약학
-
식품생화학 대사의 통합1. 호르몬 호르몬은 내분비선이나 세포에서 분비되고 혈액을 통해 작용대상이 되는 세포로 이동하여 호르몬의 수용체에 결합하면서 생체 조절 기능(몸의 항상성 유지)을 하는 물질이다. 호르몬은 구성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아민,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호르몬의 작용은 매우 정교한 조절 시스템이 관여하는데 특히 시상하부, 뇌...2025.05.07 · 자연과학
-
영양대사와 간호: 탄수화물의 특징과 소화과정1. 탄수화물의 종류 및 분류 탄수화물은 탄소, 수소, 산소 원소로 구성되며 단순당과 복합당으로 분류된다. 단당류는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등 한 개의 당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이당류는 자당, 맥아당, 유당 등 단당류 2개가 결합한 것이며, 다당류는 전분, 글리코겐, 섬유소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분류는 탄수화물의 구조적 복잡성에 따른 것으로 소화 및...2025.11.12 · 의학/약학
-
식품생화학 지방산 분해, 생합성 및 지단백 대사 7페이지
0. 지방의 소화, 동원, 및 운반ü 체내에서 산화분해 되거나 합성되는 지방산은 에너지 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ü 지질은 수화되지 않은 형태로 저장되므로 질량당 많은 에너지를 저장하기에 유리하며, 지방산의 탄소는 주로 알칸(alkane) 형태로 알코올 (CH3OH) 형태인 탄수화물보다 더 환원형으로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산화과정을 거쳐 많은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ü 이러한 지질성분은 조직 간에 이동하기도 하고 저장되기도 하는 등 조직 간혹은 세포 내 에서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역동적인...2023.05.01· 7페이지 -
영양생화학 요점정리 11페이지
객관식 25 단답형 5 한문제?1.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차이, 세포소기관의 역할1) 원핵세포: 핵이 없고 막으로 둘러싸인 소기관들이 없는 미생물(1) 세포막(인지질이중층)과 세포벽(2) 세포질 내부에 리보솜(단백질합성), 핵양체(유전물질)(3) 유전물질: dna가 환상(4) 플라스미드: 세포내 dna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해 독자적 증식 가능2) 진핵세포: 핵이 있고 막으로 둘러싸인 소기관들이 있는 생물체 (ex. 식물, 동물세포 차이)(1) 큼, 핵, 세포막, 세포질(2) 식물세포: 세포벽, 액포, 엽록체① 액포: 물질의 분해, 물...2024.03.13· 11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임상포트폴리오 당뇨성케톤산증 (DKA) 6페이지
임상포트폴리오주제 :‘ 당뇨병성 케톤산증 (DKA) ’Ⅰ. Story: 김OO 님은 70세 남성으로, 10년 전 제2형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 과거에는 식이 조절과 약물 치료로 혈당을 관리했으나 최근 들어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고, 병원 방문도 점차 줄어들었다. 가족들이 걱정하여 병원에 다시 방문했을 때, 그의 혈당은 위험 수치까지 상승해 있었고, 당뇨병성 케톤산증(DKA)으로 응급실에 입원하게 되었다.김 씨는 자신의 상태를 부정하며 의료진의 권고를 따르기 어려워했다. 정기적인 혈당 체크를 거부하고, 식사 조절과 운동도 크게 신경...2025.10.03· 6페이지 -
당뇨병성케톤산증에 대해 알아보자 6페이지
ReportDKA과목담당교수학과학번이름제출일DKA1. 정의-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급성 대사성 합병증으로 신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당보다 지방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지나친 혈류속의 산대사물의 축적과 수분과 당의 손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인슐린에 대한 저항이나 인슐린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데, 인슐린이 적으면 포도당이 세포 내로 들어갈 수 없어 혈중에 축적된다. 그 결과 세포는 포도당을 공급받지 못하여 에너지원으로 지방을 사용하게 된다.지방대사는 지방산과 글리세롤을 만드는데, 글리세롤은 세포에 약간...2024.07.15· 6페이지 -
A+, 교수님 원픽, 당뇨병, DM 문헌고찰 15페이지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DM)목차Ⅱ. 췌장의 구조와 기능 ----------------------------------p.3Ⅲ.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p.4정의.......................................................................................p.4병태생리.................................................................2024.03.09· 1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