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스와 허스트의 교육관 비교 분석
본 내용은
"
피터스의 허스트의 교육관에 대해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01
문서 내 토픽
-
1. 피터스의 교육에 대한 관점피터스는 교육을 단순한 생활 준비가 아닌 인간다운 생활을 위한 성인식으로 봅니다. 진정한 교육은 세 가지 준거를 충족해야 합니다: 규범적 준거(가치 있는 일), 인지적 준거(지식과 이해), 과정적 준거(도덕적으로 온당한 방법). 도덕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학습은 교육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
2. 지식의 형식영국의 피터스와 허스트는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반발로 전통적 주지 교과를 옹호했습니다. '지식의 형식'은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인간의 경험을 일반화한 것으로, 이론적 실체뿐만 아니라 인간이 배우고 느끼고 경험함으로써 알게 된 모든 총체를 포함합니다.
-
3. 허스트의 교육관허스트는 교육의 최종 목적을 좋은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인도하는 것으로 봅니다. 아동을 사회적 실제로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이며, 실천적 이성 발달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인간의 이해적 측면뿐만 아니라 욕구 충족과 풍성한 삶을 위해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
4. 허스트의 자유교육 비판허스트는 자유교육이 오로지 이론적, 이해적 합리성만을 강조하여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합니다. 이론적 합리성이 좋은 삶의 필수조건이 아니며, 실천적 삶을 등한시한다고 지적합니다. 교육은 이론적 합리성뿐만 아니라 실천적 합리성도 발달시켜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5. 허스트의 실천적 이성허스트는 실천적 이성 발달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인간은 실천적 이성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고 사회적 실제에 입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신의 욕구 충족과 풍족한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1. 피터스의 교육에 대한 관점피터스는 교육을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인간의 전인적 발달을 추구하는 과정으로 봅니다. 그의 관점에서 교육은 학습자의 이성적 사고능력을 계발하고 도덕적 가치를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특히 피터스는 교육이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이어야 하며, 단순한 수단이 아닌 그 자체로 목적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와 자율적 판단능력을 갖추도록 격려하는 현대 교육의 방향성과 맥락을 같이합니다. 다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이상을 완전히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육 환경, 자원, 교사의 역량 등 다양한 현실적 제약을 극복해야 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
2. 지식의 형식지식의 형식은 인간이 세계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다양한 방식을 의미합니다. 과학, 수학, 역사, 예술 등 각각의 지식 형식은 고유한 개념, 방법론, 검증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형식의 지식을 이해하는 것은 학습자가 세계를 더욱 풍부하고 깊이 있게 인식하도록 돕습니다. 교육에서 여러 지식 형식을 균형 있게 다루는 것은 학생들의 종합적 사고능력 발달에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교육과정에서 모든 지식 형식을 동등하게 다루기는 어려우며, 사회적 요구와 개인의 관심사 사이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한 과제입니다.
-
3. 허스트의 교육관허스트는 교육을 인간의 이성적 능력을 계발하고 지식의 다양한 형식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이해합니다. 그는 교육이 실용적 목적보다는 지식 자체의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정신적 성장과 자유로운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고 봅니다. 허스트의 교육관은 학문적 엄밀성과 지적 자율성을 강조하는 점에서 높이 평가됩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교육이 직면한 다양한 사회적 요구와 개인의 실질적 필요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균형 잡힌 교육은 지식의 내재적 가치와 사회적 실용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
4. 허스트의 자유교육 비판허스트의 자유교육 비판은 교육의 본질과 목적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제공합니다. 그는 진정한 자유교육이 단순한 자유로운 선택이 아니라 이성적 사고와 지식의 형식을 통한 정신적 해방을 의미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무분별한 자유나 개인의 즉각적 욕구 충족만을 추구하는 교육은 진정한 자유를 가져올 수 없다고 봅니다. 허스트의 비판은 교육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는 데 기여하지만, 동시에 개인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존중하는 현대 교육의 요구와 어느 정도 긴장관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성적 기초 위에서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
5. 허스트의 실천적 이성허스트의 실천적 이성은 추상적 지식을 실제 삶의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능력이 아니라 도덕적 판단과 가치 판단을 포함하는 종합적 사고능력입니다. 실천적 이성을 발달시키는 것은 학습자가 복잡한 현실 상황에서 책임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준비시킵니다. 이러한 능력은 민주시민으로서의 역할 수행과 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실천적 이성의 발달을 위해서는 단순한 이론 교육을 넘어 실제 경험과 성찰의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교육 환경과 방법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됩니다.
-
교육학 서브 노트 104페이지
교육의 기초■ 피터스 교육의 준거① 규범적 준거 (목적)a. 교육은 가치 있는 것을 전달하는 것b. 교육의 개념 속에 들어 있는 바람직함, 규범성, 가치성, 좋음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c. 내재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② 인지적 준거 (내용)a. 내재적인 가치의 구체적인 내용을 명시하는 것b. 교육은 지식과 이해 그리고 모종의 인지적 안목을 포함해야 함c. 지식의 형식을 형성시켜야 함③ 과정적 준거 (방법)a. 내재적 가치를 실현하는 방법상의 원리를 밝힌 것b. 교육은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식으로 전달되어야 함c. 학습자의 의식과 자발성을...2015.12.10· 104페이지 -
교육철학 요약 32페이지
일 반 교 육 학01.교육기초와 교육철학1. 교육 철학의 모형기능(방법)교육철학교육현상철학적 수준철학적 방법연구영역① 분석적 방법② 통합적 방법③ 사변적 방법④ 평가적 방법① 교육의 정의② 교육의 목적③ 교육의 내용④ 교육의 사상사2. 교육의 어원적 정의(1) 서양① Education의 어원은 라틴어의 Educo, Educare인데 이것은 밖으로(E)+끌어낸다(duco)가 결합된 말로써 인간 속에 지니고 있는 것을 밖으로 끄집어낸다는 의미이다.② 교육은 채워주는 과정으로서 습관의 형성, 이념의 형성을 꾀하는 것이며, 또한 이끌어 내...2013.08.05· 32페이지 -
교과 연구의 방법론적 관점 10페이지
교과의 연구에서는 교과의 논리적 구조에 의한 분류를 강조한 피터스와 허스트의‘지식의 형식’에 대한 견해(규범적 접근방법), 영(Young)과 번스타인(Bernstein)의 학교교육내용의 지식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해석적 접근방법) 그리고 굿슨(Goodson)과 팝케위츠(Popkewitz)가 제시하고 있는 학교 교과에 대한 대안적인 설명방식으로써의 사회역사적 접근이 대표적이다. 여기서는 교과의 연구에 있어서의 세 가지 접근방법을 살펴본다.Ⅰ. 규범적 접근방법학교지식에 대한 보수적인 견해에 따르면 교과란 합리적 정신을 발달시키는 것이며...2012.05.31· 10페이지 -
[ 현대 교육철학 탐구 - 자유교육에 대한 비판 및 대안 탐색 ] 서평 6페이지
서평제1장 피터스와 허스트의 자유교육론피터스와 허스트는 자유교육이론을 대표하는 인물로서 서로 같은 자유교육을 주장하지만 다소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자유교육과 교육의 비교를 통해 그 위치를 알아보았으며, 피터스와 허스트 둘의 차이점은 역시 자유교육과 교육의 개념 동일시와 비동일시에 있다고 한다. 자유교육론의 두 차이점을 드러냄으로써 두 교육 사상사의 교육 아이디어를 부당하게 동일시하는 것을 시정해주었다. 피터스의 교육과 자유교육에서 개념은 그다지 다르지 않다. 그에게 있어 자유교육이란, 올바른 교육을 실현하는 데 장애 혹은 제약이...2011.09.14· 6페이지 -
최근의 교육쳘학 24페이지
최근의 교육 철학최근의 교육 철학 20세기 중반으로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교육이론 및 교육실제에 영향을 끼쳐 온 교육 철학들분석교육철학현상학적 교육철학비판적 교육철학낭만주의 교육철학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최근의 교육 철학1.분석 교육철학분석교육철학논리실증주의 학파 -카르납, 에이어 슐리크-논리적 분석학파 -무어 , 러셀-일상언어학파 -라일 , 오스틴 비트겐슈타인-하이디(C.D.Hardie) 피터스(R.S.Peters) 허스트(P.H.Hirst) 오코너(D.J.O' Connor) 솔티스(J.F.Soltis) 셰플러(I.Scheffler...2012.09.04· 2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