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재고관리 및 생산계획 통제
본 내용은
"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생산계획 및 통제 11주차 강의내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0
문서 내 토픽
  • 1. 수량기반 재고모델(Quantity-based Inventory Model)
    수량기반 재고모델은 재고수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재고가 재주문점(Reorder Point)에 도달하면 EOQ만큼 발주하는 방식입니다. 재주문점은 R = d̄L 공식으로 계산되며, 여기서 d̄는 일일 평균수요, L은 리드타임입니다. 안전재고(Safety Stock)는 SS = zσL로 계산되어 수요변동성과 고객서비스수준에 대응합니다. 이 모델은 리드타임이 일정하고 공급품질이 완벽하다는 가정 하에 작동하며, 실시간 재고파악이 가능한 환경에서 효과적입니다.
  • 2. 시간기반 재고모델(Time-based Inventory Model)
    시간기반 재고모델은 정해진 주기마다 재고를 확인하고 필요한 수량을 주문하는 방식입니다. 재고파악 주기는 Time Interval = (365일 × EOQ) / 연간총수요로 계산됩니다. 이 모델은 재고파악 주기 내 수요급증 시 조기품절 위험이 있어 더 높은 안전재고가 필요하며, 현대에는 실시간 재고파악 시스템의 발전으로 실무에서 덜 사용됩니다.
  • 3. 재고데이터 정확도 관리
    재고데이터의 정확도는 회계적 관점이 아닌 계획·통제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합니다. 전산재고와 실물재고의 불일치는 과도한 안전재고 증가, 긴급운송비용 증가, 공정 비정상 가속화, 생산로트 분리 등의 비용을 초래합니다. ERP 등 현대 시스템은 90%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며, 정확한 위치기록과 함께 실제 품목 총수량 기준의 정확도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 4. 창고 물품보관 위치전략
    창고 물품보관의 3가지 접근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ome base는 각 품목을 지정된 장소에만 보관하여 찾기는 쉽지만 공간활용도가 낮습니다. Random은 빈 공간에 자유롭게 보관하여 공간활용도는 높지만 위치기록 오류 위험이 있습니다. Zoned random은 같은 특징의 품목을 Zone으로 구분하고 그 안에서 랜덤 배치하는 방식으로, 두 방법의 장점을 결합하여 대부분의 상황에 적용 가능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수량기반 재고모델(Quantity-based Inventory Model)
    수량기반 재고모델은 특정 재고 수준에 도달했을 때 발주하는 방식으로, 수요가 불규칙한 환경에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 모델의 장점은 재고 부족으로 인한 기회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EOQ(경제적 주문량) 개념을 활용하면 발주비용과 보관비용의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다만 수요 예측이 부정확하거나 리드타임이 길어지면 안전재고를 과도하게 유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현대의 IoT 기술과 결합하면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더욱 정교한 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2. 시간기반 재고모델(Time-based Inventory Model)
    시간기반 재고모델은 정기적인 주기로 재고를 검사하고 발주하는 방식으로, 정규적인 공급망 관리에 적합합니다. 이 모델의 강점은 발주 일정이 예측 가능하여 공급자와의 협력이 용이하고, 여러 품목을 함께 발주할 수 있어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반면 수요 변동이 큰 제품의 경우 재고 부족이나 과잉 보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계절성이 있는 상품이나 유행 상품에는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수량기반 모델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3. 재고데이터 정확도 관리
    재고데이터 정확도는 효율적인 재고관리의 기초이며, 부정확한 데이터는 과잉 발주나 재고 부족을 초래합니다. 정기적인 실사(Physical Inventory Count)와 시스템 데이터의 대조를 통해 오차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바코드, RFID 등 자동화 기술의 도입은 인적 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입력 시점의 표준화와 직원 교육도 중요합니다. 클라우드 기반 재고관리 시스템을 활용하면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해져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4. 창고 물품보관 위치전략
    창고 물품보관 위치전략은 작업 효율성과 비용 절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ABC 분석을 통해 회전율이 높은 상품을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하면 피킹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게, 크기, 온도 요구사항 등을 고려한 구역 배치는 작업 안전성을 높입니다. 슬로우 무빙 상품은 창고 상층부에, 패스트 무빙 상품은 하층부에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자동화 창고 시스템과 AI 기반 최적화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보관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전체 운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