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순환과 혈류역학의 기본 원리
본 내용은
"
혈액순환과 혈류역학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20
문서 내 토픽
-
1. 혈관의 구조와 기능순환계는 심장, 혈관, 모세혈관으로 구성되며 혈액을 조직으로 이동시켜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한다. 동맥은 산화된 혈액을 전달하고 압력저장고 역할을 하며, 외막·중막·내막의 3층 구조로 탄력성이 우수하다. 모세혈관은 단층내피세포로 구성되어 물질교환이 잘 일어나고, 정맥은 전체 순환계의 65~75%의 혈액을 보유하는 수용혈관이다.
-
2. 혈액순환의 경로체순환은 좌심실에서 출발하여 동맥·모세혈관·조직·정맥을 거쳐 우심방으로 돌아오는 대순환이다. 폐순환은 우심실에서 폐동맥을 통해 폐로 가서 폐정맥으로 좌심방으로 돌아온다. 미세순환은 모세혈관을 중심으로 조직에 영양물질과 산소를 공급하고 대사산물을 거두어들인다. 림프순환은 간질액을 거두어 방어기전에 관여한다.
-
3. 혈류역학의 기본 원리혈류량은 혈관의 단면적과 평균 혈류속도의 곱으로 계산되며, 혈류량은 혈압에 비례하고 혈류저항에 반비례한다. 혈관저항은 혈관의 길이, 지름, 혈액의 점성과 관련이 있으며, 혈관지름 변화에 의해 주로 조절된다. 혈액의 점성이 증가하면 혈류량은 감소하며, 점성이 정상의 6배 증가하면 혈류는 정지한다.
-
4. 혈압 조절 기전혈압은 심박출량과 말초혈관저항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신경성 조절은 자율신경을 통해 발현시간이 가장 짧으며, 교감신경은 소동맥의 저항을 조절하여 혈압을 조절한다. 체액성 조절은 혈액량 증감을 통해 장기간에 걸쳐 혈압을 조절하며, 레닌-앤지오텐신-알도스테론 기전과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
1. 혈관의 구조와 기능혈관은 심장에서 펌프질된 혈액을 신체 전역으로 운반하는 필수적인 통로입니다. 동맥, 모세혈관, 정맥으로 구분되는 혈관들은 각각 고유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들의 기능과 직결됩니다. 동맥의 두꺼운 근육층은 높은 혈압을 견디고 혈액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며, 모세혈관의 얇은 벽은 물질 교환을 용이하게 합니다. 정맥의 판막 구조는 역류를 방지하여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오도록 합니다. 이러한 구조적 다양성은 순환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진화적 적응으로 볼 수 있으며, 혈관 건강의 유지는 전체 심혈관 건강의 기초가 됩니다.
-
2. 혈액순환의 경로혈액순환은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경로를 따르는 폐쇄순환계입니다. 심장의 좌심실에서 출발한 혈액은 대동맥을 통해 신체 전역으로 분배되고, 모세혈관에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한 후 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돌아옵니다. 이후 우심실에서 폐동맥을 거쳐 폐로 이동하여 산소를 공급받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후,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복귀합니다. 이 순환 경로는 신체의 모든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고 대사 산물을 제거하는 생명 유지의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경로의 정확성과 연속성은 생존에 필수적입니다.
-
3. 혈류역학의 기본 원리혈류역학은 혈액이 혈관계를 통해 흐르는 방식을 설명하는 물리학적 원리입니다. 혈류량은 압력 차이와 혈관 저항의 관계로 결정되며, 이는 옴의 법칙과 유사한 원리를 따릅니다. 혈관의 반경이 작아질수록 저항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므로, 세동맥의 수축은 혈류량을 크게 감소시킵니다. 혈액의 점도, 혈관의 길이, 그리고 혈관 내경은 모두 혈류 저항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기본 원리의 이해는 고혈압, 동맥경화증 등 순환계 질환의 병리 기전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이며, 임상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혈압 조절 기전혈압 조절은 신경계, 내분비계, 신장 등 다양한 생리 체계가 협력하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단기적으로는 교감신경계의 활성화가 심박출량과 혈관 저항을 증가시켜 혈압을 상승시키고, 부교감신경계는 이를 감소시킵니다. 장기적으로는 레닌-앙지오텐신-알도스테론 계통과 항이뇨호르몬이 체액량과 나트륨 재흡수를 조절하여 혈압을 유지합니다. 혈압 조절의 실패는 고혈압이나 저혈압을 초래하며, 이는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다층적 조절 기전의 이해는 혈압 이상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
CRRT 보고서1. CRRT 란? CRRT는 1977년 Kramer에 의해 임상에서 처음 시도되어 종래의 혈액투석에 비해 용질의 제거가 서서히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혈역동학적 상태가 불안정한 급성신부전 환자에게 보다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간헐적 혈액투석요법만큼이나 널리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산의 원리에 의해 용질의 이동이 일어나는 간헐적 혈액투석요법에 비해...2025.01.15 · 의학/약학
-
A+ 받았습니다. ICU(중환자실) 실습 사전학습 보고서(정말 상세)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의 상부기도와 하부기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상부기도에는 코, 부비동, 인두, 후두가 포함되며 하부기도에는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폐가 포함됩니다. 호흡기계의 주요 기능인 가스교환, 환기, 호흡 조절 기전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2025.01.22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심장의 구조와 기능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심장은 무게 250~300g이며 종격동 내 2~5번째 늑간에 위치한다. 심방과 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심방은 정맥혈을, 좌심방은 동맥혈을 받는다. 우심실은 폐동맥을 통해 폐로 혈액을 보내고, 좌심실은 대동맥을 통해 전신순환계로 혈액을 방출한다. 심장은 심낭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심외막, 심근, 심내막의 세 층으로 구성된다. 판...2025.11.14 · 의학/약학
-
CRRT 보고서1. 신장 기능 신장은 대사 산물 및 독소 제거, 체내 수분량과 삼투압, 전해질, 산염기 항상성 유지, 혈압 유지, 빈혈 교정, 칼슘과 인 대사와 관련된 호르몬 활성화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신장 손상 시 핍뇨, 부종, 피로, 고혈압 등이 발생하고 빈혈이 악화될 수 있다. 2. 급성 신장 손상(AKI) AKI는 신장 기능이 빠르게 감소되어 질소혈증과 수분,...2025.01.13 · 의학/약학
-
중환자실 사전과제1. 혈역학 감시 혈역학 감시란 환자의 혈역학 상태 평가 및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진단과 지침(치료 및 중재)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혈역학 감시의 측정 지표로 심박수, 동맥압,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심박출량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지표 유지를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동맥 내 카테터, 중심정맥관, 폐동맥 카테터 등을 통해 혈역학 지표를 측정하고 관리한다....2025.01.28 · 의학/약학
-
신부전, CRRT, 지속적신대체요법 3페이지
CRRT(지속적 신대체요법)1. CRRT(continuos renal replacement therapy)란?? 특수한 혈관통로를 통하여 몸 밖으로 유도된 혈액이 기계장치와 연결된 체외순환 라인을 거쳐 다시 몸 안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투석이 이루어지는 것.? 투석기(dialyser)또는 혈액여과기(hemofilter)를 이용함.2. CRRT의 원리? 혈액을 이용한 투석요법의 적용 사유가 소멸될 때까지 24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투석치료를 시행하는 방법.? 패혈증, 중증 화상, 뇌손상, 간부전, 외상 등과 함께 신부전을 가진 위중한 ...2020.12.23· 3페이지 -
CRRT ward class 5페이지
Ward classCRRT(Contin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실습병원실습부서실습기간지도교수제 출 자제 출 일CRRT : 지속적 신대체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1)정의저하된 신장 기능을 장기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체외 순환 혈액 정화 요법을 통칭하는 용어이며, 혈액을 이용한 투석요법의 적용 사유가 소멸될 때까지 24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투석치료를 시행하는 방법->목적: 수분조절, 산염기 균형, 전해질 조절, 고질소혈증 관리, 면역 조정 등혈액투석(HD:he...2022.04.18· 5페이지 -
ARDS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 폐렴 case study 30페이지
성인간호학Ⅱ[Case study]목차1. ARDS 문헌고찰---------------32. Pneumonia 문헌고찰----------53. 사례연구--------------------84. 임상검사--------------------105. 대상자 약물-----------------176. 간호과정--------------------22?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1. 병태생리ARDS란 기왕의 폐질환이 없던 환자가 원인에 의해 활성화된 염증세포(호증구, 단핵구 ...2024.05.26· 30페이지 -
심장초음파(Echocardiography) 20페이지
1장 심장초음파 검사를 위한 해부생리1. 심장의 구조?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 정도 이며 성인의 주먹 크기만 함.- 위치 : 세로칸(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있음.- 아래쪽에는 가로막(횡경막)이 있고, 가로막 위에 심장끝(심첨, apex)이 앞쪽을 향하고 있음.- 심장의 기저부(base)는 약 3번째 갈비뼈 정도에 위치?심장은 좌우 사이막(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함.- 박동시 1회 70ml 정도의 혈액을 내보내...2023.07.18· 20페이지 -
ecmo 간호 발표자료 입니다. 39페이지
1. ECMO 정의 2. 원리와 금기증 3. ECMO mode 와 weaning 4. 간호와 합병증 5. Alarm 해결 방법 6. 참고문헌 ECMO contents1. ECMO 란 ? 내용 입 ECMO E xtra C orporeal M embrane O xygenation ( 체외막 산소 공급 ) 인체 밖에서 심폐기능을 보조하는 체외순환장치1. ECMO 의 목표 Tissue oxygen delivery 상승 Remove CO2 - Cardiac assist 정상적인 호기성 대사 (aerobic metabolism) - 폐의 휴식...2022.04.16· 39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