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기준회계 방식의 문제점
본 내용은
"
발생기준회계가 아닌 현금기준회계 방법으로 수익 및 비용을 인식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게 되면 어떠한 문제점이 나타나게 될지 구체적 사례를 들어 기술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5
문서 내 토픽
  • 1. 현금기준회계
    현금기준회계는 기업의 실제 현금 유입과 유출을 기준으로 수익과 비용을 인식하는 방식입니다. 이와 달리 발생기준회계는 거래나 사건의 발생 시점에 수익과 비용을 인식합니다. 현금기준회계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째, 실제 현금흐름과 다르게 영업이익이 과소계상되어 이익잉여금이 과대계상될 수 있습니다. 둘째, 매출액에서 판매비와 관리비만 차감하여 순이익이 부풀려질 수 있습니다. 셋째, 재고자산 등 유동자산 항목이 제외되어 부채비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넷째, 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 처리에 문제가 있습니다. 다섯째, 자산 처분 손익 등의 처리에 문제가 있습니다. 여섯째, 충당금 설정 등으로 인해 금융비용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현금기준회계
    현금기준회계는 기업의 현금흐름을 중심으로 회계처리를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기업의 실제 지급능력을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발생주의 회계에 비해 수익과 비용의 대응 원칙이 잘 지켜지지 않아 재무제표의 정보 가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현금 수취 및 지급 시점에 따라 회계 정보가 달라지므로 기업의 실제 경영 성과를 정확히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금기준회계는 기업의 단기적인 지급능력 파악에는 유용하지만, 장기적인 경영 성과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발생주의 회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