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기준회계와 현금기준회계의 차이와 문제점
본 내용은
"
해커스 회계원리 만점 과제 / 2주 1강을 통해 발생기준회계 및 현금기준회계에 따른 수익과 비용인식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발생기준회계가 아닌 현금기준회계 방법으로 수익 및 비용을 인식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게 되면 어떠한 문제점이 나타날까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7
문서 내 토픽
  • 1. 발생기준회계
    발생기준회계는 현금의 유입, 유출과는 상관없이 수익이 실제로 발생한 시점을 인식해 기록하는 회계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해당 기간의 비용과 수익에 대한 수익성을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의 자산과 부채의 변동을 더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금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별도의 현금 흐름표를 작성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2. 현금기준회계
    현금기준회계는 현금의 유입 및 유출 시점을 기준으로 수입과 지출을 인식합니다. 따라서 재화나 용역의 인수나 인도 시점은 중요하지 않고 현금의 수취와 지급 시점만이 기준이 됩니다. 이로 인해 적절한 기간손익계산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예산통제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3. 현금기준회계의 문제점
    현금기준회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매출채권과 매입채무가 재무상태표 상 자산이나 부채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재무상태표가 왜곡되어 보일 수 있으며, 회계정보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하지 못합니다. 또한 현금의 수입, 지급 시기를 조정하여 재무제표를 임의로 작성할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발생기준회계
    발생기준회계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회계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수익과 비용을 실제 거래 시점에 인식하므로, 현금의 유출입 시점과 관계없이 기업의 경영 활동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생기준회계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보다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어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현금 유동성 관리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현금기준회계와의 적절한 균형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현금기준회계
    현금기준회계는 현금의 실제 유입과 유출을 기준으로 회계 처리를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기업의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회계 처리가 상대적으로 간단합니다. 또한 현금 기반의 성과 측정으로 인해 경영진의 단기적인 의사결정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금기준회계는 기업의 장기적인 경영성과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현금기준회계는 발생기준회계와 함께 사용되어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 3. 현금기준회계의 문제점
    현금기준회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기업의 장기적인 경영성과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현금기준회계는 현금의 실제 유입과 유출만을 기준으로 회계 처리를 하므로, 미수금이나 미지급금과 같은 발생주의 회계 항목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또한 현금기준회계는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관리에는 유용하지만, 장기적인 투자 의사결정이나 자원 배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현금기준회계는 발생기준회계와 함께 사용되어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