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보장!! 여성건강간호학실습 케이스 / 제왕절개 간호과정 / C-sec 간호과정 / 간호과정 3개
본 내용은
"
A+보장!! 여성건강간호학실습 케이스 / 제왕절개 간호과정 / C-sec 간호과정 / 간호과정 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4
문서 내 토픽
-
1. 제왕절개 간호과정나○○님은 IUP at 39+6/wks 된 초산모로써 10/23일 Induction예정으로 10/22일에 Admission하셨고, 입원당시 BP:120/80mmHg, P:94회/min, R:20회/min T:37.0도이고 FHT는 139회/min였다. 다음날(10/23) IUP at 40wks로 induction labor을 진행하기 위해 oxytocin을 투여하였으나 의사의 CPD 판단과 산모가 진통을 참지 못하겠다는 이유로 c/sec으로 변경을 결정하여 oxy 스탑 후 H/S 1L IV 투여하였다. Gomtian 1.0g AST 음성 나와서 1pm Gomtian 1.0g 1@ IV 투여하였고, 이 때 FHR은 146회/min이였다. 산모는 OR에서 Epidural 후 Foley insert 하였다. 2시 11분에 수술이 시작되었고 10/23일 2시 19분에 Ht: 49cm Wt: 2.88kg의 남아를 출산하였다. 신생아는 아프가점수 10으로 양호한 상태였다. 태반이 2시 20분에 만출 되고 후처치까지 진행하니 3시 5분에 수술이 마무리 되었다.
-
2. C-sec 간호과정오후 3시 20분에 산모가 병동으로 돌아와 무통주사 투여하였고 의식 있는 상태였다. abdomen binder 적용하였고 fluid H/S는 600ml 남아있었다. urine bottle 교체하여 200cc 확인하였고, Botropase 1@ IV 투여하였다. vaginal bleeding 확인했는데 출혈은 없었고 5% D/S 1L IV 연결하였다. 6시에 urine bottle 교체하였더니 100cc가 체크되었다. 수술 부위의 분비물이나 출혈은 없었고 peniramin 1A을 근육주사하였다. Epidural PCA는 유지하고 계시며 미지근한 물부터 조금씩 드시라고 설명드렸다. 케어아민 250ml IV side 연결하고 침상안정 상태로 fluid urine dropping 잘 되고 있으며, 수술 부위를 재 확인하자 분비물과 출혈은 없고 자궁저부 촉진 하여 자궁복구가 잘 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3. 간호과정1) 간호진단 1 -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대상자는 PCA 사용법에 대해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대상자는 3일 이내 NRS 3점 이하로 내려간다. 2) 간호진단 2 - 모유수유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 모유수유: 모아는 퇴원 시까지 성공적인 모유수유를 경험한다. 대상자는 1일 이내 유방울혈 시 대처방법을 2가지 이상 설명한다. 3) 간호진단 3 - 수술 절개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절개부위의 감염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대상자는 감염 징후에 대해 교육 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
1. 제왕절개 간호과정제왕절개 수술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시행되는 중요한 의료 절차입니다. 이에 따른 간호과정은 수술 전부터 수술 후 회복기까지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간호사는 산모의 활력징후, 출혈 여부, 통증 관리, 상처 관리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지속적인 상담과 교육을 제공해야 합니다. 태아의 경우에도 활력징후와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 발견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처럼 제왕절개 간호과정은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활동이 요구됩니다.
-
2. C-sec 간호과정C-sec(제왕절개술)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시행되는 중요한 의료 절차입니다. C-sec 간호과정은 수술 전부터 수술 후 회복기까지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간호사는 산모의 활력징후, 출혈 여부, 통증 관리, 상처 관리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지속적인 상담과 교육을 제공해야 합니다. 태아의 경우에도 활력징후와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 발견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처럼 C-sec 간호과정은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활동이 요구됩니다.
-
3. 간호과정간호과정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사정하고, 간호 진단을 내리며,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며, 그 결과를 평가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문제 해결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간호과정은 대상자 중심의 간호를 실현하고,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간호사의 전문성을 발휘하고, 간호 실무를 체계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간호과정은 간호 실무의 근간이 되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모성간호학실습 A+ 분만실 실습일지, 주간보고서(아주 구체적)1. 분만 단계 분만 과정은 분만 1기, 2기, 3기로 구분되며 초산부의 경우 분만까지 평균 9~14시간, 경산모의 경우 평균 5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분만 1기는 진통이 시작되고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는 시기, 분만 2기는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고 태아가 만출되기까지의 시기, 분만 3기는 태아 만출 후 태반이 나올 때까지의 시기이다. 2. NST와...2025.01.20 · 의학/약학
-
모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제왕절개_ 둔위 분만1. 제왕절개 수술 제왕절개 수술(Cesarean section)은 자연분만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산모의 복부를 절개하여 태아를 출산하는 것으로 의료기술과 장비, 항생제의 발전으로 사망률이 낮아져 심각한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은 더 크다. 가급적 자연분만으로 유도하되 부득이 제왕절개 수술을 해야만 하는 경우는 산모...2025.01.13 · 의학/약학
-
[A+자료] 여성간호학 실습 제왕절개(C-sec) Case Study (간호진단4개)(간호과정3개)1. 제왕절개(C-sec)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이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 시키는 것으로 미국의 경우 1970년도에는 5.5%였던 것이 1990년도에는 전체 분만의 10~40%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조사 결과에 의하면 전체 분만의 41.5%를 차지하며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2025.01.16 · 의학/약학
-
[모성간호학 A+ CASE] c/sec 제왕절개 케이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포함1. 수술 후 절개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 후 절개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에 대한 간호진단을 내리고, 통증 사정, 진통제 투여, 자세 변경 등의 간호중재를 수행하였다. 통증 관리를 통해 대상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2. 수술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수술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에 대한 간호진단을 내리고, 혈액검사 모니터링, 오로 관찰, 자궁저부 마...2025.05.10 · 의학/약학
-
수술실 자궁선근종 자궁절제술 간호진단1. Adenomyosis 자궁선근증은 자궁근층 내로 자궁내막 샘조직과 실질조직이 침투하는 질환으로 생기는 원인은 현재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원인에 대한 두 가지 가설이 있는데, 첫째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근층으로 스며들어 생긴다는 가설이고, 둘째는 자궁근층의 조직이 변화하여 자궁내막조직과 유사해진다는 가설이 있다. 2. Bilateral salp...2025.01.18 · 의학/약학
-
A+ !! 교수님 칭찬 받은 CASE STUDY 여성간호학실습 - c-sec 제왕절개(간호진단3, 간호과정3)1. 제왕절개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C/S)은 복벽과 자궁을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으로, 자연분만에 비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30대 이상의 산모가 제왕절개 분만을 많이 한다는 통계자료도 나와 있다. 또한, 30대가 아니라도 다양한 적응증으로 제왕절개를 시행한다. 제왕절개에 대해 더욱더 많은 정보를 학습하고...2025.05.03 · 의학/약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