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종류
본 내용은
"
컨퍼런스_다제내성균의 정의와 종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0
문서 내 토픽
-
1. 다제내성균다제내성균은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MRSA, VRE, ESBL, CRPA, CRAB, CRE 등이 있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의료관련 감염의 주요 원인균이 되었으며, 환자의 사망률, 재원일수, 비용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감염관리의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 다제내성균의 출현을 억제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예방지침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2. MRSA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는 메티실린 대신 옥사실린으로 판독하며, 반코마이신과 같은 더 높은 등급의 약물을 사용한다.
-
3. VRE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는 항생제 선택의 폭이 어려워 반코마이신 내성이 나오지 않는 약물을 병용 투여하는 경우가 많다.
-
4. ESBLESBL(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은 광범위 베타락탐계 항생제를 분해하는 효소로, 카바페넴,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플루오로퀴놀론 등의 약물을 선택하게 된다.
-
5. MRAB/MRPAMRAB(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와 MRPA(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는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루오로퀴놀론계 약물에서 모두 내성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 내성이 나오지 않는 약물을 병용 투여한다.
-
6. CRECRE(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는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장내세균속 균종으로, 이미페넴, 메로페넴, 에르타페넴 등의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인다.
-
1. 다제내성균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을 말합니다. 이러한 세균은 치료가 어려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다제내성균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항생제 사용 관리, 감염 예방 및 관리, 신규 항생제 개발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개인위생 및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강화, 항생제 처방 및 사용 지침 준수, 신규 항생제 개발 등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
2. MRSA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으로, 일반 항생제로는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균입니다. MRSA 감염은 피부 및 연조직 감염, 폐렴, 균혈증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면역저하자나 고령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MRSA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손 위생,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강화, 항생제 사용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통해 MRSA 감염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
3. VRE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으로, 일반적인 항생제로는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균입니다. VRE 감염은 요로감염, 균혈증, 수술 부위 감염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면역저하자나 중증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VRE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손 위생,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강화, 항생제 사용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통해 VRE 감염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
4. ESBLESBL(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은 광범위 베타락탐 효소를 생성하는 그람음성 세균으로, 대부분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ESBL 감염은 요로감염, 복강 내 감염, 균혈증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치료가 어려워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ESBL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손 위생,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강화, 항생제 사용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통해 ESBL 감염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
5. MRAB/MRPAMRAB(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와 MRPA(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는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와 다제내성 녹농균을 말합니다. 이들은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으로, 치료가 어려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MRAB와 MRPA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손 위생,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강화, 항생제 사용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통해 MRAB와 MRPA 감염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
6. CRECRE(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는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을 말합니다. CRE는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가 매우 어려운 다제내성균입니다. CRE 감염은 요로감염, 폐렴, 균혈증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면역저하자나 고령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CRE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손 위생,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강화, 항생제 사용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통해 CRE 감염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정의, 종류, 감염관리, 치료방법1.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정의 바이러스, 세균이나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감염으로부터 유발되는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 질환을 억제 또는 치유하기 위하여, 항생제와 같은 약제를 처리하는 화학요법을 사용하게 된다. 화학요법제나 항생물질을 처리하면 감염 미생물은 생육이나 증식이 저해 받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감수성이 있다'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반면에, 약제의...2025.05.05 · 의학/약학
-
감염관리실_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_병원1. 다제내성균 정의와 격리 다제내성균은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을 의미하며, 2급 및 4급 감염병으로 관리되고 있다. 다제내성균 환자 격리 시 접촉주의를 적용하며, 격리실 입실 우선순위, 격리 기준 및 해제 기준 등을 설명하고 있다. 2. 다제내성균 진단 검사 다제내성균 진단을 위해 원발부위와 보균검사를 동시에 시행하며, 검체 채취 부...2025.01.17 · 보건
-
AP가운 착용 사례 칭찬한 케이스입니다. A+1. 다제내성균 정의 및 종류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균에 감염되었을 때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거의 없는 세균을 말한다. 주요 종류로는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RAB) 감염증,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감염증,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2025.01.28 · 의학/약학
-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 보고서1. 다제내성균이란?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몇 안 되는 세균입니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계열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 다제내성이라고 합니다. 국가에서 지정한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MRSA, VRE, VRSA, CRE, MRPA, MRAB 등 6가지가 있습니다. 2. 다제내성균감염증 분류 다제내...2025.01.05 · 의학/약학
-
간호교육팀_교육 과정(커리큘럼)_교육 간호사1. 신입 간호사 교육 과정 신입 간호사(신규/경력)의 임상 현장 적응을 돕고 기본 간호 기술 및 지식을 습득하게 하며, 병원의 정책과 절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안전한 간호 실무를 수행하도록 교육한다. 신입간호사(신규/경력)의 직무 만족도와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환자 안전과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재직 간호사 교육 과정 재직(전체...2025.01.18 · 의학/약학
-
노인전문 시험간호사 공부(1차,2차) 결핵 정의, 증상, 검사, 사정 및 진단, 계획 및 간호중재, 약물치료, 요점1. 결핵 정의 결핵은 여러 종류의 미코박테륨, 특히 결핵균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흔하면서도 치명적일 수 있는 전염병이다. 2. 결핵 증상 결핵의 증상에는 호흡기 증상(2-3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 흉막삼출, 호흡곤란, 흉통)과 전신증상(발열, 전신무력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야간발한)이 있다. 3. 결핵 검사 결핵 진단을 위해 흉부방사선 검사, 세균학적 ...2025.01.17 · 의학/약학
-
미생물학 레포트)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정의, 종류, 감염관리, 치료방법 9페이지
미생물학 레포트-다제내성 원내감염균-목차1.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정의.......32.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종류.......33.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감염관리.......54.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치료방법.......75. 참고문헌.......91.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정의바이러스, 세균이나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감염으로부터 유발되는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 질환을 억제 또는 치유하기 위하여, 항생제와 같은 약제를 처리하는 화학요법을 사용하게 된다. 화학요법제나 항생물질을 처리하면 감염 미생물은 생육이나 증식이 저해 받게 되는데 이...2023.03.31· 9페이지 -
간호-미생물학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 정리 A+ 9페이지
1. 항생제와 내성1) 항생제의 정의항생제란 해로운 병균을 죽이거나 번식을 억제하는 약물로, 병원균에 의한 감염증을 치료하며 감염 증세에 뛰어난 효능을 보인다. 2) 내성이란?내성이란 이러한 항생제의 공격에 대해 병균이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2.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종류1)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정의항생제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균주들이 살아남거나 돌연변이를 통하여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균주들이 생겨난다. 따라서 점점 더 항생제에 내성력이 강해진 병원균들이 생겨나며 이 때문에 치료를 위하여 ...2023.12.18· 9페이지 -
간호학과 미생물학 과제_병원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감염균 종류와 치료방법 12페이지
병원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 종류와 감염관리 치료방법이름학과학번제출일자과목명교수명목 차Ⅰ.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종류31. 다제내성균의 정의31) 다제내성균의 사전적 정의32) 다제내성균의 발생원인3(1) 주요메커니즘3(2) 균의 항생제 내성을 갖는 유전적 특징3(3) 기본적인 기작 5가지32.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종류 4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42) VRE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43) VRSA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54) MRAB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 55) ...2025.01.29· 12페이지 -
간호학과 과제) 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 정의 4페이지
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 정리입니다!!!- 목차 -?접촉주의란??다제내성균이란??다제내성균의 종류?다제내성균의 정의, 유발요소, 증상, 치료1.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MRSA2.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상구균(VRSA3.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VRE4.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 (MRAB)5.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CRE6. 다제내성 녹농균 (MRPA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 정리? 접촉주의란?전파경로별 주의에는 ①?접촉주의, ② 비말주의, ③ 공기주의가 있다. 이 중?접촉주의(contact precaution)는 역학적으...2023.02.24· 4페이지 -
다제내성균 환자관리 16페이지
다제내성균 환자 관리정의 감염경로 종류 contents 증상 환자관리다제내성균의 정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균 세 가지 계열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 다제내성 (multidrug resistant) 1-2 가지 계열을 제외한 모든 항생제 에 내성을 가지면 광범위내성 (extensively drug resistant) 모든 계열 항생제 에 내성을 가지면 범약제내성 ( pandrug resistant )다제내성균의 정의 진단 및 검사 혈액 및 기타 검체 ( 객담 , 소변 , 대변 , 피부 , 상처 , 농양 , 뇌척수액 , 기...2025.05.31· 1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