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가운 착용 사례 칭찬한 케이스입니다. A+
본 내용은
"
AP가운 착용 사례 칭찬한 케이스입니다.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25
문서 내 토픽
-
1. 다제내성균 정의 및 종류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균에 감염되었을 때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거의 없는 세균을 말한다. 주요 종류로는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RAB) 감염증,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감염증,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감염증, 다제내성 녹농균(MRPA) 감염증 등이 있다.
-
2. 격리실격리실에서는 1인 또는 같은 동종균 환자끼리 격리하며, 접촉 시 장갑과 가운을 착용하고, 의료기구와 물품의 공용사용을 피한다. 격리실 소독은 1:10 물과 락스로 희석하여 2일마다 실시한다.
-
3. AP 가운 착용, 탈의AP 가운 착용법은 병실 밖 배치된 가운의 겉 포장지를 제거하고 개인 보호용 비닐 가운을 꺼낸 후, 가운의 안쪽이 몸쪽을 향하게 펼치고 천천히 가운 안으로 넣는다. 허리 부분의 끈을 묶어 몸이 충분히 보호되도록 착용하고, 일회용 비닐장갑을 착용하여 마무리한다. 가운 탈의법은 오염이 안 된 목 부분을 잡고 장갑을 벗은 후, 목 부분을 잡고 가운이 찢어지도록 당겨 가운 바깥쪽이 안쪽으로 가도록 둘둘 말면서 벗는다.
-
4. 보호구 착용 목적CRE 확진 환자의 경우 격리실에서 보호구 착용이 필요하다. 환자 접촉 시 AP 가운과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고, 처치 시에도 보호구를 착용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감염 예방과 환자 간 교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
1. 다제내성균 정의 및 종류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으로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다제내성 녹농균(MDR-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DR-AB)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기존 항생제로 치료가 어려워 환자의 예후가 좋지 않으며, 병원 내 감염 확산 위험이 높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다제내성균 감염 예방을 위해 적절한 손위생, 격리 조치, 보호구 착용 등의 감염관리 지침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격리실격리실은 다제내성균 감염 환자를 다른 환자들과 분리하여 관리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격리실에는 음압 시설이 갖춰져 있어 공기 중 미생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용 세면대, 화장실, 의료폐기물 처리함 등이 구비되어 있어 다제내성균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격리실 입실 시에는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해야 하며, 격리실 내부에서 사용한 물품은 소독 후 재사용하거나 의료폐기물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처럼 격리실은 다제내성균 감염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AP 가운 착용, 탈의AP(Antimicrobial Protective) 가운은 다제내성균 감염 예방을 위해 착용하는 보호구입니다. AP 가운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며, 전면이 덮이고 긴 소매가 있어 피부와 의복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AP 가운 착용 시에는 가운 앞면과 소매 부분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탈의할 때는 오염된 부분을 안쪽으로 말아서 벗어야 합니다. 탈의 후에는 반드시 손위생을 실시해야 합니다. AP 가운의 적절한 착용과 탈의는 다제내성균 전파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보호구 착용 목적보호구 착용의 목적은 의료진과 환자 간 감염 전파를 차단하는 것입니다. 다제내성균 감염 환자를 돌볼 때 마스크, 장갑, AP 가운 등의 보호구를 착용하면 의료진의 피부와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의료진이 오염된 물품을 만지거나 환자와 직접 접촉할 때 다제내성균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보호구 착용은 의료진 자신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다른 환자들에게 다제내성균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