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 과제의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초·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 제시
본 내용은
"
말하기 과제의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초·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를 각 하나씩 제시하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5
문서 내 토픽
  • 1. Nunan(1989)의 과제 구성 요소
    Nunan(1989)은 의사소통 관련 과제를 수행하는 것에 있어서 목표(goals), 입력(input), 활동(activities)이라는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음을 주목했다. 목표는 의사소통적, 사회문화적, 학습방법, 언어문화적 목표로 구분되며 상호보완적이다. 입력은 실제적인 자료여야 하며, 활동은 학습자가 입력을 갖고 실제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과제의 구성요소로 교사의 역할, 학습자의 역할, 교실 환경을 제안했다.
  • 2. Nunan(1989)의 과제 구성 요소를 활용한 말하기 과제
    초급 학습자의 경우 OO 지역의 여행안내서에 나오는 한 장소를 골라 그 장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소개하는 과제를 제안할 수 있다. 중급 학습자는 해당 여행지를 어떻게, 어떤 순서로 여행하는 것이 좋은지, 그것이 왜 좋은지를 친구에게 소개하는 말하기 과제를 제안할 수 있다. 고급 학습자의 경우 OO 지역의 여행안내서를 참고하여 자신이 직접 방문해 본 지역에 대한 여행안내서를 제작하고, 그곳을 여행할 때 유의사항, 여행 순서, 방문 이유 등을 설명하는 과제를 제안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Nunan(1989)의 과제 구성 요소
    Nunan(1989)은 과제 구성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습니다. 첫째, 목표(goal)는 과제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학습 목표를 의미합니다. 둘째, 투입물(input)은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언어적 자료를 말합니다. 셋째, 활동(activities)은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구체적인 행동을 의미합니다. 넷째, 교사의 역할(teacher role)은 과제 수행 과정에서 교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다섯째, 학습자의 역할(learner role)은 과제 수행 과정에서 학습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설정(setting)은 과제가 수행되는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과제 구성 요소는 과제 설계 및 수업 계획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 2. Nunan(1989)의 과제 구성 요소를 활용한 말하기 과제
    Nunan(1989)의 과제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말하기 과제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먼저, 목표(goal)는 학습자가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입물(input)은 말하기 주제와 관련된 어휘, 문법, 담화 구조 등의 언어적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활동(activities)은 말하기 연습, 역할극, 토론 등의 구체적인 행동이 될 수 있습니다. 교사의 역할(teacher role)은 학습자를 격려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역할(learner role)은 적극적으로 말하기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설정(setting)은 말하기 활동이 이루어지는 교실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Nunan(1989)의 과제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말하기 과제를 설계하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말하기 수업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