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방광경검사, 경피적 신루 삽입술, 요관 스텐트 삽입술 케이스 간호진단/3간호과정/3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방광경검사, 경피적 신루 삽입술, 요관 스텐트 삽입술 케이스 간호진단/3간호과정/3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3
문서 내 토픽
-
1.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 통증통증의 형태와 정도(위치, 양상, 빈도, 지속시간)를 사정하고, 통증척도(NRS)를 활용하여 통증의 정도를 평가한다. 통증에 대한 대상자의 느낌과 통증을 말하도록 하여 간호를 받음으로써 불안과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근육긴장을 완화하여 근육의 이완증진, 경축이나 경직으로 인한 통증을 경감시키도록 한다. 이완요법(음악감상, tv 시청, 책 등)을 시행하고, 4시간 마다 V/S을 측정한다. 금기가 아닐 시 편안한 체위를 취하고 심호흡을 격려한다. 통증은 일시적이며, 진통제 투여 후 사라짐을 대상자에게 자주 알려준다. 대상자의 복부 통증이 경감될 때까지 환자 곁에서 지지한다.
-
2.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대상자가 하루에 2000ml 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하여 탈수를 예방한다. 체온을 매 1시간 마다 재고 37.5'C 이상이 되면 미온수찜질을 한다. 입안이 건조할 때마다 구강 내 건조를 완화하기 위해 물로 입을 헹구도록 교육한다. 열이 38'c 이상일 때 일시적인 해열효과를 위해 tepid massage를 실시한다. 처방에 따른 Denogan 0.5g을 투여한다. 두꺼운 이불보다 얇은 천을 덮어주도록 하고, 오한이 나타나면 두껍게 덮어준다.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지하며, 환자의 머리, 액와 부위에 아이스백을 대준다. 환의는 느슨하게 입도록 한다.
-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삽입 부위 관리 시 무균술을 유지하고, 간호 전후에 손 씻기를 시행한다. 드레싱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수시로 확인하여 감염의 징후를 확인한다. PCN 배액주머니를 시술부위보다 아래로 내리도록 교육한다. 4시간 마다 V/S을 측정한다. 대상자에게 시술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교육한다. CBC, CRP 수치를 모니터링 하고,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D-J catheter 삽입부위를 주기적으로 관찰하며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처방된 Istillagel 연고를 카테터 삽입부위의 피부에 바른다.
-
1.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 통증수술 후 발생하는 급성 통증은 환자의 회복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먼저 수술 전부터 통증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수술 중 통증 완화를 위한 마취제 사용과 수술 기법 개선이 필요합니다. 또한 수술 후에는 환자의 통증 수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진통제 투여와 함께 물리치료, 심리적 지지 등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를 병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감염과 관련된 고체온은 환자의 건강과 회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먼저 감염 예방을 위한 철저한 위생 관리와 감염 관리 프로토콜 준수가 중요합니다. 또한 감염 징후 발현 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투여, 그리고 환자의 전신 상태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나아가 고체온 관리를 위한 물리적 중재와 함께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은 환자의 안전과 건강에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의 철저한 감염 관리 수칙 준수와 함께 의료기관 차원의 감염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합니다. 먼저 의료진은 손 위생, 무균술, 개인보호장비 착용 등 기본적인 감염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의료기관은 감염 감시 체계를 구축하고, 주기적인 교육과 모니터링을 통해 감염 관리 역량을 강화해야 합니다. 나아가 의료기기와 환경 관리, 환자 격리 등 다각도의 감염 예방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침습적 처치로 인한 감염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성인간호학실습 TURB 방광암 수술실 케이스 A+ 간호진단 및 과정1. 방광, 요관, 요도 해부생리 방광은 골반 내, 치골 뒤쪽에 위치하며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좌/우 요관을 통해 들어와 소변을 저장하고 요도를 통해 바깥으로 배출하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이다. 요관은 신우와 연결되는 속이 빈 관이며 요도는 소변을 배설하기 위한 관으로 소변이 통과할 때 요도로부터 박테리아가 정상적으로 제거된다. 2. 방광암 방광암은 소변...2025.01.20 · 의학/약학
-
뇌혈관질환의 최신 중재적 시술1. 뇌혈관 해부학 뇌는 두개강의 앞쪽으로 들어오는 내경동맥과 대후두공으로 들어오는 척추동맥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는다. 대체적으로 전체 뇌혈액의 80%는 내경동맥으로부터, 20%는 척추동맥으로부터 공급받는다. 척추동맥과 내경동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고, 쇄골하동맥에서 기시하여 목으로 척추를 따라 올라오는 척추동맥은 Pons 아래의 뇌저동맥으로 합쳐진다. 이...2025.05.14 · 의학/약학
-
신규간호사를 위한 검사 및 시술 간호1.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 PCD(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경피적 농양 배액술)은 몸 안에 농양이 있는 환자에게 카테터(catheter)라는 가늘고 긴 관을 초음파 및 투시 촬영술을 이용하여 몸 밖에서부터 고름집 안으로 넣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시술입니다. 농양에 의해 생기는 증상(고열, 발한 등)이 없어지고 혈액 검사 ...2025.01.10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실습 비뇨의학과 환자 case study1. 방광경부 경화증 방광경부 경화증은 전립샘비대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증후군으로 방광경부가 협소화되어 배뇨 시 충분히 확대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배뇨곤란과 배뇨 감퇴가 있다. 2. 배뇨곤란 배뇨 곤란은 배뇨 시 통증을 느끼거나 배뇨가 힘든 경우를 말한다. 요로감염, 요도 협착, 방광과 요도의 손상으로 동반되며, 대상자는 소변을 보기...2025.01.16 · 의학/약학
-
Hydronephrosis1. 수신증 수신증은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모이는 부분인 신우에 소변이 과다하게 모여 확장된 상태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신우 요관 이행부 협착이며, 여성의 경우 임신 중 자궁팽창에 의해 요관이 눌려 수신증이 생길 수 있다. 증상으로는 급성 수신증의 경우 옆구리나 등 뒤의 통증, 복부 부종, 구토, 발열 및 빈뇨가 나타나며, 만성으로 진행되면 증상이 서...2025.01.12 · 의학/약학
-
간호교육팀_요로전환술 및 요루 간호_교육간호사1. 비뇨기계 진단검사 비뇨기계 진단검사에는 소변 검사, 요도 분비물 검사, 신장 기능 검사, 혈액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소변 검사에는 단순 소변 검사, 배양 검사 등이 있으며, 신장 기능 검사에는 요비중, 혈청 크레아티닌,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청소율 등이 포함됩니다. 혈액 검사에는 전혈구 계산, 혈액응고검사, 전해질검사, 전립선 암표지자 검사, 호...2025.05.06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실습 케이스 스터디 (liver cirrhosis 간경화 간경변증)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개 14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A+Liver cirrhosis 케이스Ⅳ. 간호 과정1. 간호 사정1) 개인력52세 남자 임OO 님은 2007년 크론병 진단을 받고 2008년 ileocecectomy(회맹장절제술)을 시행했다. 당시 오른쪽에 hydronephrosis(수신증) 소견이 보여 D-J stent 를 삽입했다. 4주 후 D-J stent 제거 예정이었으나 이후 해외로 나가 약 15년 동안 D-J stent를 제거하지 않았다. 2023년 한국에 돌아와 8월부터 발생한 혈뇨 및 우측 옆구리 통증으로 고대안산병원 응급실을 내원해 진행한 CT상 D...2024.03.06· 14페이지 -
A+ [성인] renal stone case study 9페이지
[성인간호학]Renal Stone목차Ⅰ. Case Critical Thinking Questions.........................................................11. Descibe the pathophysiology of renal stone formation......................................12. What diagnostic tests should be performed to confirm the diagnosis?...............23. What...2020.05.21·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