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획증후군 환자 간호
본 내용은
"
브이심(Vsim)_Marilyn Hughe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4
문서 내 토픽
-
1. 구획증후군구획증후군은 구획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근육, 신경, 혈관 등이 손상받는 병적 현상입니다. 이 경우 통증, 감각 변화, 맥박 소실 등의 증상이 나타나므로 주기적인 V/S 확인과 함께 드레싱을 느슨하게 하고 사지를 심장 높이로 유지하여 동맥혈류를 촉진해야 합니다. 적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근육 괴사, 관절 운동 제한, 사지 절단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 통증 사정환자의 통증을 NRS 척도로 사정한 결과 8점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환자는 붕대가 너무 조인다고 호소하였고, 통증 악화 요인으로 다른 사람이 다리를 만질 때 통증이 증가한다고 하였습니다. 간호사는 지속적으로 통증을 사정하고 중재를 제공하여 NRS 5점으로 감소시켰습니다.
-
3. 신경혈관 사정환자의 신경혈관 사정 결과, 발을 움직일 수 없고 왼발이 저린다고 하였습니다. Pedal pulse는 100회/분으로 강하고 규칙적이었지만 왼쪽 맥박은 없었습니다. 왼쪽 다리는 창백하고 모세혈관 재충전이 지연되었으며 피부가 차갑고 땀이 많이 났습니다. 이를 통해 구획증후군이 의심되었습니다.
-
4. 간호중재간호사는 환자의 V/S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드레싱을 느슨하게 하여 사지 관류를 증진시켰습니다. 또한 베개를 제거하고 왼쪽 다리를 심장 높이로 유지하여 동맥혈류를 촉진하였습니다. 이러한 중재를 통해 환자의 통증이 감소하였습니다.
-
5. 인계보고인계 시 환자의 기본 정보, 현재 상태, V/S, 통증 및 신경혈관 사정 결과, 제공한 간호중재, 환자 반응 등을 ISBAR 형식으로 체계적으로 전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다음 간호사가 환자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1. 구획증후군구획증후군은 근육 내 압력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정확히 사정하고, 근막 압력 측정 등의 진단 검사를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신경혈관 기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근막절개술 등의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이 과정에서 환자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의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
2. 통증 사정통증 사정은 환자 간호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통증 양상, 강도, 지속 시간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통증 사정 도구를 활용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를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주관적 경험을 경청하고, 통증 관리에 대한 환자의 선호도와 반응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통증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신경혈관 사정신경혈관 사정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감각, 운동, 순환 기능을 정기적으로 사정하여 변화를 조기에 발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맥박, 체온, 피부 색깔 및 온도, 모세혈관 재충전 시간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근력, 감각, 반사 등을 평가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주관적 증상을 경청하고, 필요 시 추가 검사를 의뢰하는 등 다각도로 접근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신경혈관 기능 저하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함으로써 합병증 예방과 환자 예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4. 간호중재간호중재는 환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하기 위한 핵심적인 활동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사정하고, 근거 기반의 간호 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간호 과정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환자 중심의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다학제 팀과 협력하여 통합적인 접근을 하고, 환자와 보호자의 참여를 독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호중재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여 필요 시 수정 및 보완해 나가는 것도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5. 인계보고인계보고는 환자 간호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안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인계보고 절차를 통해 환자의 상태, 간호 계획, 향후 관리 방향 등을 명확히 전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SBAR 등의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하여 간결하고 정확한 정보를 공유해야 합니다. 또한 인계보고 시 환자의 존엄성과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환자 및 보호자와의 소통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환자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성인_골정과 구획증후군_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_급성통증1. 골절 골절은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대개의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한다. 골절의 증상으로는 통증, 압통, 부종, 변형, 감각이상 등이 나타나며, 치료는 정복, 고정, 재활 등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구획증후군은 심각한 골절의 합병증으로, 외부 압력에 의해 근육, 신경, 혈관이 압박되어 발생한...2025.05.06 · 의학/약학
-
ORIF 수술 후 구획증후군 관리1. 구획증후군 Marilyn은 ORIF 수술 후 왼쪽 다리에 구획증후군의 증상을 보였다. 이로 인해 무감각, 동맥관류 저하, 피부 창백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신속한 중재가 필요하며, 붕대를 느슨하게 풀어주고 다리를 심장보다 낮게 유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중재 후 통증 감소, 혈압 안정화, 맥박 회복 등의 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2025.04.29 · 의학/약학
-
마릴린 휴즈 Marilyn Hughes,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실습, 브이심, Vsim, Pre-Simulation Quiz 사전퀴즈, Vsim Simulation, Post-Simulation Quiz 사후퀴즈1. 신경혈관 평가 간호사는 신경혈관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골절된 사지에 고정 장치를 적용한 후 첫 24시간 동안 매시간 신경혈관 평가를 수행해야 합니다. 신경혈관 손상을 나타내는 소견에는 창백, 감각 이상, 마비 등이 포함됩니다. 2. 골절 환자 간호 골절된 사지를 스플린트나 깁스로 고정한 경우, 불편함을 조절하기 위한 초기 간...2025.05.05 · 의학/약학
-
성인 골절 간호과정2: 급성통증, 말초신경 혈관 기능이상 위험1. 골절 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골절의 원인으로는 직접적인 외상, 간접적인 외상, 병적 골절, 피로골절 등이 있다. 골절의 증상으로는 변형, 부종, 점상출혈, 근육경련, 압통, 통증, 감각변화, 정상 기능 상실, 비정상적인 움직임, 염발음, 쇼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골절의 치료는 정복, 고정, 재활 등의 단계로...2025.05.06 · 의학/약학
-
VSIM - Surgical Scenario 1 Marilyn Hughes(간호과정 2개, 문헌고찰, 퀴즈, 약물조사)1. 하퇴골절(lower leg fracture, fractures of tibia and fibula) 하퇴골(무릎 밑부터 발목까지의 다리뼈)은 경골과 비골로 구성되어 있다. 경골(정강이뼈)은 내측에 있는 굵은 뼈이며, 비골은 하퇴의 외측에 있는 가는 뼈다. 이 뼈들이 연속성을 잃은 상태를 골절이라고 한다. 경골과 비골이 골절되면 골절 부위에 심한 통증이...2025.05.08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근골격계 선행시험1. 뼈의 기능 뼈의 기능은 지지 기능, 보호 기능, 조혈 기능, 무기질 저장, 지방 저장 등이 있다. 2. 골절의 증상 골절의 증상에는 변형, 부종, 점상출혈, 근육경련, 압통, 통증, 감각 변화, 정상 기능 상실, 비정상적 움직임, 염발음, 쇼크 등이 있다. 3. 골절의 치료 골절의 수술적 치료방법에는 외부고정, 내부고정, 개방정복이 있으며, 비수술적 ...2025.04.30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A]구획증후군 환자의 CASE STUDY 15페이지
구획증후군 환자의CASE STUDY실습과목담당교수님학번이름목차1. 문헌고찰2. 간호사정3. 간호과정 적용: 사정/진단/계획/중재/평가4. 참고문헌1. 문헌고찰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1)정의근육들을 감싸는 질긴 막 조직인 근막이 연결되어 주머니를 형성하고 몇 개의 근육들이 모여을 둘러싼 덩어리를 구획이라고 한다. 여러 원인들로 근막 안의 압력이 증가하여 혈관을 압박하고 이로 인해 주머니안의 내용물인 근육, 신경, 혈관이 손상을 받아 생기는 병적인 현상을 구획증후군이라고 한다.(2)원인구획증후군은 구획 내의 ...2022.01.27· 15페이지 -
하지구획증후군 CASE STUDY 22페이지
Lower leg fracture compartment syndrome(하지구획증후군)실습과목 명:성인간호학 실습Ⅰ담당교수님:실습기간:학번 / 반:성명:ContentsⅠ. 서론1. 대상자 선정 이유 3Ⅱ. 본론1. 문헌고찰 4▷ 정의, 원인, 증상, 진단과 검사, 치료2. 간호력 63. 간호과정 17Ⅲ. 결론1. 실습 후 느낀점 22Ⅵ. 참고문헌 23Ⅰ. 서론1. 대상자 선정 이유몇년 전, 한 연예인이 이 질환을 진단받고 세번의 응급수술을 받았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당시에는 ‘그렇구나’하고 넘어갔었던 질환이었지만 브이심 시나리...2022.12.17· 22페이지 -
혈전과 색전, 구획증후군 간호과정 30페이지
진단명1. embolism and thrombosis of iliac artery장골동맥 혈전과 색전2. Compartment?syndrome ? 구획증후군(수술명 : fasciotomy)선정 이유 : 간호사 선생님께서 추천해주신 케이스 사례이기도 하고 심혈관계에 관심이 항상 있었고 혈관에 혈전과 색전이 생겨서 혈액순환이 안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수업을 들어서 이미 알고 있었지만 실제 사례로 알 수 있어서 깊게 알아보고자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심장은 우리 몸에서 정말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고 심장과 혈관에 문제가 생겼을 때 우리 몸...2021.05.01· 30페이지 -
구획증후군 케이스 스터디(사레보고서) A+ 28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 Lower Leg Fracture [Compartment Syndrome] -실습교과목실습기간담당교수학 번학년 반이 름제출일목차Ⅰ. 서론11. 대상자 선정 이유12. 구획증후군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13. 시나리오 소개2Ⅱ. 본론31. 문헌고찰31) 정의32) 원인33) 증상 44) 치료45) 간호52. 간호력63. 간호과정17Ⅲ. 결론+추가과제26Ⅳ. 참고문헌26Ⅰ. 서론1. 대상자 선정이유구획증후군은평소에 접하기는 어려운 질병이다. 작년 성인간호학2 시간에 구획증후군이라는 질병을 처음알게 되어서 잘 모르는 질병이기...2022.09.20· 28페이지 -
구획증후군 28페이지
근골격간호구획증후군 Compartment syndrome목 차Ⅰ.서론 -------------------------------------------------p41. 연구의 필요성2. 연구의 목적Ⅱ. 문헌고찰 --------------------------------------------p5?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1. 정의2. 원인3. 병태생리4. 증상5. 진단/검사6. 치료7. 경과/합병증8. 예방방법9. 생활가이드Ⅲ. 본론(간호사정) ------------------------------------p...2022.04.10· 2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