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간호학 정신약물치료 요약 정리
본 내용은
"
정신간호학 정신약물치료 요약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2
문서 내 토픽
-
1. 항정신병 약물항정신병 약물은 정신증, 정서장애, 중독장애 등 다방면의 정신질환의 증상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환자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정형 항정신병 약물(1세대)은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작용하며,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2세대)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를 동시에 차단하여 양성증상과 음성증상 모두에 효과적이다.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3세대)은 도파민 시스템을 조절하여 부작용이 거의 없다. 항정신병 약물은 다양한 부작용이 있어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
2. 항우울 약물우울증은 신경전달물질인 아민(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의 부족으로 발생한다. 항우울제는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의 시냅스 내 이용률을 증가시켜 항우울 효과를 나타낸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부작용이 적고 효과적이어서 일차적으로 선택되는 약물이다. 삼환계 항우울제(TCA)는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막아 효과를 나타내지만 부작용이 많다.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는 부작용이 많아 다른 약물 치료에 실패한 경우에 사용된다.
-
3. 기분안정제기분안정제는 양극성 장애 치료의 일차적인 약물이다. 리튬은 급성 조증과 우울삽화를 모두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며, 항경련제인 발프로에이트, 카르바마제핀, 라모트리진도 조증 치료에 사용된다. 기분안정제는 혈중 농도 모니터링과 부작용 관찰이 중요하다.
-
4. 항불안제벤조디아제핀계 항불안제는 불안, 알코올 금단, 불면증 등에 사용되며 GABA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작용한다. 부스피론은 벤조디아제핀과 달리 진정작용이 없고 의존성이 낮다. 가바펜틴, 하이드록시진, 프로프라놀롤 등의 기타 항불안제도 사용된다.
-
5. 인지기능개선제알츠하이머병은 신경세포의 사멸과 신경전달물질 결핍으로 인한 퇴행성 질환이다. 아세틸콜린 회복 약물은 콜린분해효소를 억제하여 아세틸콜린의 활성을 높이고, 신경퇴화 지연 약물은 NMDA 수용체 차단이나 아밀로이드 생성 억제로 작용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스타틴, 에스트로겐, 비타민 등도 알츠하이머병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1. 항정신병 약물항정신병 약물은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등의 정신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들은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정신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 복용 시 부작용으로 운동장애, 체중 증가, 고혈당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신질환 치료에 있어 약물 치료와 더불어 심리치료, 사회복귀 프로그램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2. 항우울 약물항우울 약물은 우울증, 불안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들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 균형을 조절하여 우울감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초기 사용 시 불면, 불안, 자살 충동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장기 복용 시 성기능 저하, 체중 변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약물 치료와 더불어 심리치료, 운동 등 다양한 치료법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
3. 기분안정제기분안정제는 양극성 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기분의 극단적인 변화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분안정제로는 리튬, 발프로산, 카르바마제핀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을 조절하여 기분 변화를 안정화시키지만, 장기 복용 시 갑상선 기능 저하, 신장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혈액 검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약물과 용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심리치료, 생활습관 개선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4. 항불안제항불안제는 불안장애, 수면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인 항불안제로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을 조절하여 불안감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장기 복용 시 의존성, 인지기능 저하, 낙상 위험 증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약물과 용량을 선택하고, 단기 처방을 원칙으로 하며, 약물 치료와 더불어 심리치료, 운동 등 다양한 치료법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5. 인지기능개선제인지기능개선제는 치매, 주의력 결핍 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인 인지기능개선제로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 NMDA 수용체 길항제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을 조절하여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부작용으로 오심, 구토, 설사, 두통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 복용 시 간 기능 저하, 심장 부작용 등이 나타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약물과 용량을 선택하고, 약물 치료와 더불어 인지 훈련, 운동, 사회활동 등 다양한 치료법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정신간호학 요약정리본(노인정신간호, 약물치료, 신체치료, 정신치료, 활동치료, 환경치료, 가족치료, 정신과적 응급, 자살예방과 간호, 위기 및 재난간호, 취약집단 간호)/중요한 내용 위주로 정리해놓은 것으로 국가고시, 중간/기말고사 준비 모두 유용한 자료입니다! 17페이지
1. 불안장애1) 유병률: 신경인지장애의 2배, 주요 우울 장애의 4~8배2) 범불안장애: 노인에게 가장 흔한 불안장애/낙상에 대한 공포 불안2. 우울장애1) 정동(불쾌감, 피로)/인지(기억력 저하, 편집증)/행동(불면증, 에너지 저하)/신체 증상(근육통, 두통)2) 신경인지장애와 섬망과의 구별 필수3. 자살1) 위험요인: 최근의 개인적 상실(1년 이내 배우자 사망)2) 수동적 자살: 투약 거부, 무모한 운전 등3) 자살 사정: 노인의 자살 성공률은 1:14. 조현병>환각과 망상이 흔하지 않음/무감동과 언어의 빈곤이 흔함5. 망상장...2022.12.21· 17페이지 -
신경생물학적 이론과 정신약물 요약정리 보고서 12페이지
신경생물학적 이론과 정신약물 요약정리수강분반조이름학번성명제출일? 정신질환은 복잡한 신경전달 체계 내에서 신경전달이 과도하거나 부족해서 유발된다고 봄? 약물관리는 많은 정신질환자들의 치료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함? 효능(efficacy): 약이 달성할 수 있는 최대 효과? 역가(potency): 최대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약물의 양 / 저역가 약물은 효능을 갖기 위해서 용량을 더 높여야 하는 반면 고역가 약물은 저용량으로도 효능을 갖는다.? 반감기(half-life): 약물의 반이 혈류에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2024.01.09· 12페이지 -
정신간호 약물 정리 보고서(항정신병약물, 항우울제, 기분안정제 등등)_정신간호 A+과제 9페이지
정신 약물분반조학번성명제출일▶약물요법1. 항정신병 약물 (Antipsychotics)1) 기전 : 뇌의 감정작용 부분인 limbic system에서 dopamine receptor를 차단하여 dopamine 활성을 감소시킴.2) 적응증 : 정신병적 증상(양성, 음성 증상), 조현형 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는 우울, 불안, 정동 장애 등.3) 분류① 정형적 항정신병 약물 : 도파민 비선택적 차단제, 양성증상 효과적, 추체외로계 증상 등 부작용이 심함 (클로로프로마진, 페노티아진)② 비정형 항전신병 약물 : ...2021.12.13· 9페이지 -
정신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의 간호 중재관련 논문 요약 5페이지
정신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의 간호 중재관련 논문 요약정신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의 간호 중재관련 논문 요약Ⅰ. 논문 명1. 사회불안장애의 인지행동집단치료에서 자기 초점 적 주의와 지각된 사회적 위험의 변화가 증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2016)-남유진, 김소정, 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6(2): 85~102.2. Trauma-focu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r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what works in children with...2023.10.18· 5페이지 -
정신간호학 13장 신경발달장애~ 28장 위기와 재난까지 내용정리 18페이지
중간고사 ? 정신간호학 현문사 요약정리13장 신경발달장애(p221) - 7문제정신질환을 앓는 초기 성인의 75%이상 -> 11~18세에 첫 진단받음⇒ 장애의 발병은 아동기 정상적 발달에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학습 · 사회 · 심리적 기능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나이가 어린 아동일수록 언어, 인지 및 정서 발달이 제한되어 있어 진단이 매우 어려움.신경발달장애 임상양상★ 의사소통장애- DSM-5(의사소통장애는 언어장애, 말소리장애, 아동기 발병 유창성장애[말더듬], 사회적(실용적)의사소통장애, 명시되지 않는 의사소통장애로 구분)- 언어...2021.07.05· 1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