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케이스스터디
본 내용은
"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4
문서 내 토픽
  • 1. 조현병의 이해
    조현병은 심한 부적응적 신경생물학적 반응 형태이므로 대상자는 현실을 건강한 사람처럼 똑같이 경험하지 못한다. 특히 환각과 망상, 가치와 능력의 그릇된 자각이 현저하다. 조현병은 개인이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뇌질환으로 인지, 지각, 감정, 행동, 사회화 등의 장애를 동반한다. 이러한 증후군들은 대개 이해하기 어렵고 증상이 심하기 때문에 대상자들은 당황하게 되고 대인관계를 잘 유지하지 못하며 심한 무능력상태가 되어 사회로부터 소원해지고 고립된다.
  • 2. 조현병의 원인 및 역동
    조현병은 다양한 원인이 관련된 매우 복잡한 장애이다. 조현병의 원인은 아직도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뇌의 화학작용, 구조, 활동이 일반인과는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유전적 요인과 바이러스 감염, 출생 시 손상, 스트레스, 출생 전 영양불량 등 다양한 비유전적 요인이 병합되어 뇌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주며 뇌를 손상시킴으로써 조현병이 발생한다.
  • 3. 조현병 대상자의 행동특성
    조현병 대상자들은 개인위생과 의복상태가 불량하고 계절, 상황에 맞는 의복을 입지 못하거나 주거환경이 정리정돈이 안 될 수 있다. 또한 일상적으로 하던 일을 지속적으로 하지 못하고 의욕이 상실되어 사회적 활동이 감소된다. 상동증, 기행증, 반향행동, 거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증상이 조절되지 않거나 투약 중지 시에는 초조, 공격성, 폭력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 4. 조현병 대상자의 정동장애
    정동둔마, 감정표현상실증, 쾌감상실증, 무감동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대상자가 슬픈 주제를 이야기하면서 웃는다든가 하는 정동불일치는 이상의 여러 가지 감정 장애 증상과 함께 뇌신경활동장애나 뇌기능장애로부터 생긴 결과이다.
  • 5. 조현병 대상자의 지각장애
    대상자에게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지각장애는 환각이며 그 중 70%는 환청, 20%는 환시, 환촉, 환후, 운동환각 등의 순서이다. 환각 이외에 조현병 대상자가 경험하는 지각장애는 착각, 연성 신경학적 징후, 통증인식장애, 좌우인식장애, 얼굴 지각과 얼굴 인식장애 등이 있고 이런 장애가 있는 대상자는 자해행위, 두려움, 인간관계 위축 등을 수반할 수 있다.
  • 6. 조현병 대상자의 언어 및 사고장애
    언어장애는 연상이완, 언어의 해체 또는 언어의 와해, 지리멸렬, 말비빔, 신어조작증, 사고이탈, 음연상, 비논리성, 반향언어증, 언어 빈곤증, 사고 차단, 함구증 등이 있다. 조현병에서 잘 나타나는 사고 장애로는 망상(관계망상, 피해망상, 과대망상, 신체망상, 종교망상, 허무망상, 성적 망상)이 있다.
  • 7. 조현병 대상자의 인지장애
    조현병 대상자들은 가끔 복잡하고 논리적인 사고와 문장을 표현할 수 없을 때가 있다. 뇌의 정보체계 기능부전 때문에 대상자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못하게 하여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하기 쉽게 하고 급성기 동안에 병식결여를 갖도록 한다. 인지장애는 기억장애, 주의집중력장애, 판단력과 병식, 의사결정장애 등이 있다.
  • 8. 조현병 대상자의 사회화와 대인관계 장애
    사회화 장애와 대인관계 장애는 직접적으로는 증상 때문에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일상생활과 활동을 기피하고 장기간 격리된 생활을 함으로써 나타난다. 간접적으로는 질병 때문에 모든 활동에서 실패를 거듭하여 자신감을 잃고 열등감이 높아져서 포기하고 정신질환자라는 낙인을 두려워하여 사람들과의 대화나 관계를 단념하기 때문이다.
  • 9. 조현병 대상자의 주요 간호문제 및 중재
    주요 간호문제로는 언어소통장애, 무력감, 가족의 대응 증진 가능성, 가족의 대응 불능, 비효율적 대응, 방어적 대응, 급성 혼돈, 사회적 상호작용장애, 자살 위험성, 의사결정 갈등, 자가간호 결핍, 영양 불균형, 성기능장애, 사회적 고립, 자아정체성 장애, 자/타해 위험성, 불이행, 기억장애, 역할수행장애 등이 있다. 이에 대한 중재로는 안전관리, 외모와 개인위생 및 영양관리, 투약관리, 망상과 환각의 관리, 정상적 수분균형 유지와 수분중독 예방, 인지행동치료, 재발예방, 대상자와 가족교육프로그램, 일치되는 정서반응의 증진, 사회적 활동과 상호작용의 증진 등이 있다.
  • 10. 대상자 정보 요약
    정oo님 24세 남자로 진단명은 paranoid schizophrenia이고 주증상은 환청, 불안, 피해사고로 대학 졸업 후 아르바이트하며 공무원 시험 준비 중 불안, 환청 증상 있어 증상 악화 우려해 정신건강과 외래 거쳐 자의 입원하였다. 2019.~ 입원으로 약물 Zoloft, Clozapine 복용하고 있다. 입원 후 clozapine 25mg부터 시작하여 현재 100mg로 용량 증량하였고 주호소는 변비, 주간 졸림이다. 현재 병동에서 매일 낮병동 등원하고 있으며 2019. 낮병동 프로그램 중 의식 잃고 1~2초 쓰러진 적 있다. 약물중단으로 조현병 재발한 적 있으며 다음 주 퇴원 예정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조현병의 이해
    조현병은 정신 질환 중 가장 심각하고 복잡한 질환 중 하나입니다. 이 질환은 환자의 사고, 지각, 정서, 행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장애를 일으키며, 환자와 가족들에게 큰 고통을 줍니다. 조현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뇌 구조 및 기능의 이상,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조현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환자와 가족들을 지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2. 조현병의 원인 및 역동
    조현병의 원인은 복합적이며, 유전적 요인, 뇌 구조 및 기능의 이상, 환경적 요인 등이 상호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은 조현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높습니다. 또한 뇌 구조 및 기능의 이상, 특히 도파민 체계의 불균형이 조현병 증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트레스, 약물 남용, 외상 등의 환경적 요인도 조현병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조현병이 발병하고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3. 조현병 대상자의 행동특성
    조현병 환자들은 다양한 행동 특성을 보입니다. 환각, 망상 등의 양성 증상으로 인해 부적절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무감동, 무의욕, 사회적 철회 등의 음성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저하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행동 특성은 환자의 사회적 기능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중재가 필요합니다. 특히 환자의 안전과 타인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합니다.
  • 4. 조현병 대상자의 정동장애
    조현병 환자들은 다양한 정동 장애를 경험합니다. 환각이나 망상으로 인한 불안, 공포, 분노 등의 정서 불안정성이 나타나며, 무감동, 무쾌감 등의 정서 둔마도 관찰됩니다. 이러한 정동 장애는 환자의 대인관계와 사회적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중재가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와 더불어 정서 조절 기술 훈련, 사회적 기술 훈련 등의 심리사회적 중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5. 조현병 대상자의 지각장애
    조현병 환자들은 다양한 지각 장애를 경험합니다. 환각은 가장 대표적인 지각 장애로, 청각 환각, 시각 환각, 체감 환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각은 환자의 현실 인식을 왜곡시키고, 부적절한 행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망상은 비정상적이고 고정된 신념으로, 환자의 지각과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지각 장애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며, 약물 치료와 더불어 현실 검증 훈련, 인지행동치료 등의 심리사회적 접근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6. 조현병 대상자의 언어 및 사고장애
    조현병 환자들은 언어 및 사고 장애를 경험합니다. 언어 장애로는 와해된 언어, 빈곤한 언어, 언어 생산의 어려움 등이 나타나며, 사고 장애로는 와해된 사고, 비논리적 사고, 사고 차단 등이 관찰됩니다. 이러한 언어 및 사고 장애는 환자의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에 큰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중재가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와 더불어 언어 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의 심리사회적 접근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7. 조현병 대상자의 인지장애
    조현병 환자들은 다양한 인지 장애를 경험합니다. 주의력, 기억력, 집중력, 정보 처리 속도, 문제 해결 능력 등의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인지 장애는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과 사회적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가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와 더불어 인지 재활 훈련, 인지행동치료 등의 심리사회적 접근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들에게 인지 장애에 대한 이해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 8. 조현병 대상자의 사회화와 대인관계 장애
    조현병 환자들은 사회화와 대인관계 장애를 경험합니다. 환각, 망상, 정동 장애, 인지 장애 등으로 인해 사회적 기술과 대인관계 능력이 저하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들은 사회적 고립, 낮은 자아 존중감, 취업 및 직업 유지의 어려움 등을 겪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화와 대인관계 장애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중재가 필요합니다. 사회적 기술 훈련, 직업 재활, 가족 교육 및 지지 등의 심리사회적 접근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9. 조현병 대상자의 주요 간호문제 및 중재
    조현병 환자들의 주요 간호문제로는 안전 문제, 자해 및 타해 위험, 약물 부작용 관리, 일상생활 수행 능력 저하, 사회적 기능 저하, 가족 지지 부족 등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간호 중재로는 환자 및 가족 교육, 약물 관리, 증상 모니터링, 일상생활 기능 향상 훈련, 사회적 기술 훈련, 가족 지지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조현병 환자의 증상 관리, 기능 향상,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10. 대상자 정보 요약
    조현병은 정신 질환 중 가장 심각하고 복잡한 질환 중 하나로, 환자의 사고, 지각, 정서, 행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장애를 일으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환자와 가족들에게 큰 고통을 줍니다. 조현병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 뇌 구조 및 기능의 이상,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자들은 다양한 행동 특성, 정동 장애, 지각 장애, 언어 및 사고 장애, 인지 장애, 사회화와 대인관계 장애 등을 경험합니다. 이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며, 약물 치료와 더불어 다양한 심리사회적 접근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들에 대한 지원과 교육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