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고혈압제 약물의 분류와 약물의 작용 및 부작용
본 내용은
"
항고혈압제 약물의 분류와 약물의 작용 및 부작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5
문서 내 토픽
-
1. 이뇨제이뇨제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신장에서 혈액 중의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소변을 통해 배설을 촉진함으로써 체액량 자체를 감소시켜 혈압을 강하시킨다. 이때, 칼륨이 함께 배설되어 전해질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혈당, 총 콜레스테롤 수치, 요산 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나치게 수분이 많이 빠져 탈수, 저혈압이 오거나, 전해질 이상으로 인한 근경련, 부정맥 등이 동반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2. 교감신경억제제교감신경억제제는 아드레날린성 차단제로도 불리는데, 아드레날린성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과 에피네프린이 알파-1과 베타-1 수용체를 자극하여 혈관수축과 심박출량 증가를 일으킨다. 알파-차단제와 베타-차단제는 신경계의 일부로 혈압을 증가시켜 스트레스에 빠르게 반응하는 교감신경계의 활동을 저지함으로써 혈압을 하강시킨다. 부작용으로 어지러움, 서맥증, 발기부전 등을 호소할 수 있다.
-
3. 혈관확장제혈관확장제는 혈관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혈관을 이완시킴으로써 혈관을 확장되고 혈압이 내려가 저항이 감소되므로 심장 부담이 가벼워진다. 관동맥에 작용하면 혈액순환을 개선해 협심증 등의 발작을 억제한다. 혈관확장제는 체액저류와 반사성 빈맥을 초래할 수도 있어서 주로 이뇨제 및 베타-차단제와 병용하여 사용한다.
-
4. 칼슘통로차단제칼슘 통로 차단제는 세포막의 칼슘통로를 차단하여 심장 근육세포 및 혈관 평활근 세포 내로의 칼슘 유입을 억제하는 효과를 통해, 혈관을 확장시키고 말초 저항을 감소시키며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키는 약물이다. 주로 동맥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확장되지 못한 정맥 내에 남지 못한 체액이 혈관 외 공간에 남아 말초부종을 일으킬 수 있고, 두통, 안면홍조, 변비 등의 부작용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
5.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의 활성을 방해하는 약물로 고혈압 치료에서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중요한 약물이다. 안지오텐신 I을 안지오텐신 II로 바꾸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의 작용을 방해하고 세동맥 수축을 일으키는 안지오텐신 II 형성을 막아 세동맥을 확장시키고 알도스테론과 항이뇨호르몬의 방출을 감소시킨다.
-
6.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는 안지오텐신I 수용체에 결합하여 안지오텐신II의 작용을 결쟁적으로 길항한다. 따라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의 활성을 억제하고 혈관확장 및 나트륨과 수분의 배설을 야기하며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의 기전과 유사한 기전을 사용하여 혈압을 내린다.
-
7. 레닌 억제제레닌 억제제는 레닌 활성을 억제하여 안지오텐신I과 안지오텐신II의 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혈관을 확장하고 말초저항과 혈압을 감소시킨다. 부작용으로는 두통, 설사, 현기증, 피로감 등이 있다.
-
1. 이뇨제이뇨제는 신장에서 수분과 전해질의 배출을 증가시켜 체내 수분량을 감소시키는 약물입니다. 이는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부종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뇨제는 신장 기능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장기 사용 시 전해질 불균형, 탈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른 약물과 병용 투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2. 교감신경억제제교감신경억제제는 교감신경계의 활성을 억제하여 혈압, 심박수, 호흡 등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이는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교감신경억제제는 전신 작용으로 인해 피로감, 어지러움,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병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점진적인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주의해야 합니다.
-
3. 혈관확장제혈관확장제는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이는 고혈압, 협심증, 말초혈관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혈관확장제는 직접 혈관에 작용하거나 신경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두통, 홍조,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병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점진적인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주의해야 합니다.
-
4. 칼슘통로차단제칼슘통로차단제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칼슘 유입을 억제하여 혈관을 이완시키고 혈압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이는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칼슘통로차단제는 선택성에 따라 심혈관계 부작용의 발생 위험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병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점진적인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주의해야 합니다.
-
5.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는 혈관 수축 물질인 안지오텐신 II의 생성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이는 고혈압, 심부전, 신장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는 기침, 저혈압, 신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병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점진적인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주의해야 합니다.
-
6.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는 혈관 수축 물질인 안지오텐신 II의 작용을 차단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이는 고혈압, 심부전, 신장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는 기침, 저혈압, 신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병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점진적인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주의해야 합니다.
-
7. 레닌 억제제레닌 억제제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이는 고혈압, 심부전, 신장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레닌 억제제는 기침, 저혈압, 신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병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점진적인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주의해야 합니다.
-
성인간호학 고혈압 약물정리1. 고혈압의 정의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내보낼 때의 압력을 수축기혈압이라고 하고, 심장이 확장하여 혈액을 받아들일 때의 압력을 확장기혈압이라고 한다. 고혈압은 수축기혈압 140mmHg 이상, 이완기혈압 90mmHg 이상의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2. 고혈압의 원인 및 분류 고혈압은 원인 질환이 분명한 이차고혈압과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본태고혈압...2025.01.21 · 의학/약학
-
[약리학 A+] 고혈압의 치료(약물요법) 레포트1. 고혈압의 기본적인 고려 사항 고혈압의 분류, 유형(원발성 및 속발성),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고혈압의 진단, 혈압 강하의 효과, 환자 평가, 치료 목표 및 중재 방법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2. 생활방식 수정 나트륨 제한, DASH 식단, 음주 제한, 유산소 운동, 금연, 체중 감량, 칼륨 및 칼슘 섭취 관리 등 고혈압 관리를 위한 생활방식...2025.05.08 · 의학/약학
-
[정신간호 실습, 폐쇄병동 실습] 범불안장애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 간호진단, 간호과정 2개(낙상의 위험, 낙상 교육안 포함, 불면증, 스트레스 중재안 포함, 교수님의 극찬받음)1. 불안의 정의와 수준 불안은 경증, 중등도, 중증 불안 그리고 공황으로 단계별 수준이 있으며, 각 단계별 불안의 수준에 따른 간호중재가 달라지므로 효과적인 중재를 위해서 간호사는 우선적으로 환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해야 한다. 2. 불안장애 정의 불안장애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 병적인 불안과 공포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장애를 일으키는 정신 질환을 통칭한...2025.01.12 · 의학/약학
-
HTN 고혈압 케이스 스터디 입니다 (성인간호학). A+ 받은 자료입니다!!1. 고혈압의 정의와 분류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 벽에 가하는 힘을 말한다.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고혈압은 원인질환이 밝혀진 이차성 고혈압과 원인질환이 발견되지 않는 본태성(일차성) 고혈압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의 원인에는 심혈관 질환의 가족력, 흡연, 고지...2025.01.12 · 의학/약학
-
자간전증 preeclampsia 문헌고찰1. 자간전증의 정의 임신 전 정상이던 여성에게 임신 20주 후 발생되는 고혈압으로 고혈압과 단백뇨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정확한 원인은 없으나 비정상적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작용, 혈관내피세포 기능부전, 비정상적인 응고, 심혈관계 부작용, 식이결핍 또는 과잉 등의 다양한 가능성이 이론화 되고 있다. 2. 자간전증의 분류 1) 임신성 고혈압(PIH): BP...2025.01.28 · 의학/약학
-
임신성고혈압,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PIH) 문헌고찰 A+1. 임신성 고혈압의 정의 및 분류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 나타나는 고혈압으로, 분만 후 3개월 이내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신기간 중 140mmHg/90mmHg 이상의 혈압 상승이 있으며, 경증 자간전증, 중증 자간전증, 자간증으로 분류된다. 2. 임신성 고혈압의 병태생리 임신성 고혈압의 병태생리는 심혈관 체계, 혈액응...2025.05.06 · 의학/약학
-
항고혈압제 약물의 분류와 약물의 작용 및 부작용 4페이지
항고혈압제 약물의 분류와 약물의 작용 및 부작용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을 항고혈압제라고 한다. 시판 중인 다양한 항고혈압제를 사용하여 거의 모든 사람의 고혈압을 조절할 수 있지만 치료의 경우 개인별 맞춤 치료가 되어야 한다. 환자와 의사가 계속 연락하면서 치료 프로그램에 관해 협력하는 경우 치료의 효과가 가장 커진다.다양한 종류의 항고혈압제는 다양한 기전으로 혈압을 내리므로 많은 다양한 치료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의사는 어떤 사람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단계별 약물 치료 방법을 사용한다. 한가지 종류의 항고혈압제부터 시작하여 필...2021.10.28· 4페이지 -
항고혈압제 약물의 분류와 약물의 작용 및 부작용 16페이지
항고혈압제 약물의 분류와 약물의 작용 및 부작용목차가. 고혈압의 정의 및 원인나. 이뇨제(diuretics)다. 교감신경억제제(drugs that reduce sympathetic activity)라. 혈관 확장제 (vasodilator drugs)마.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gibitor(ACEI))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ARB))사. 소감아. 참고문헌가. 고혈압의 정의와 원인.혈압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2021.11.18· 16페이지 -
항고혈압제 약물 레포트 6페이지
약리학 레포트-항고혈압제 약물--차례-1.고혈압이란2.항고혈압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3.느낀점4.출처1.고혈압이란(1)고혈압-고혈압이란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고혈압은 관상동맥질환과뇌졸중, 신부전 등 전신에 걸쳐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며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증상이 없으므로 혈압을 측정해 보기 전까지는 진단이 되지 않고, 진단이 되더라도 증상이 없으므로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정상혈압140/901기 고혈압1...2021.10.11· 6페이지 -
[약리학 A+] 심혈관계 약물 기전과 부작용 정리_ 간호학과 과제 5페이지
심혈관질환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은 고혈압이다. 고혈압을 발생시키는 요인인 심박출량 증가, 말초저항 증가, 혈액량 증가를 제거하여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으며 혈압을 정상범위로 조절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약물에 따른 기전과 부작용, 종류는 다음과 같다.1. 이뇨제(1) 기전: 수분과 나트륨, 칼슘, 염소, 칼륨과 같은 전해질을 소변으로 배설시켜 혈액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압을 낮출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나트륨의 재흡수를 막아 더 많은 나트륨을 소변으로 배설하는 작용이 핵심이다. Cl-(염화 이온)와 물 분자는 나트륨을 따라...2022.09.17· 5페이지 -
고혈압, 정의, 작용기전, 분류, 약물 분류, 단계별 사용, 종류, 12페이지
고혈압 ( 약물과 기전 ) 8 동 신규간호사 이지수01. 정의 02. 항고혈압제의 작용 기전 03. 약물의 분류 (ABCD) 04 . 단계별 약물 사용 05. 약물의 종류별 특징 INDEX1. 고혈압의 정의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정상 120 80 고혈압 전 단계 120-139 80-89 고혈압 1 단계 140-159 90-99 고혈압 2 단계 =160 =100 1-2 주 간격으로 3 회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 혈압 수치가 고혈압 범위에 있을 때 고혈압이라고 ...2020.12.07·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