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_IVH case study(진단 및 과정 2가지)_비효과적인 뇌조직 관류의 위험,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_IVH case study(진단 및 과정 2가지)_비효과적인 뇌조직 관류의 위험,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4
문서 내 토픽
-
1.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IVH는 뇌실 또는 맥락총의 혈관이 파열되어 뇌실 내에 출혈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IVH의 단계는 1단계: 출혈이 뇌실 벽에 국한된 경우, 2단계: 출혈이 뇌실 내에서만 있는 경우, 3단계: 출혈이 많아 뇌실이 팽창된 경우, 4단계: 출혈이 뇌실을 넘어 뇌 조직 안에도 생긴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원인으로는 고혈압, 동정맥 기형, 뇌동맥류 파열, 시상부 출혈, 대뇌기저핵출혈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운동기능 손상, 언어장애, 지각장애, 집중력 장애, 학습능력 및 기억력 저하, 연하곤란, 방광기능 장애, 안면신경 마비, 의식변화, 오심, 구토 등이 있다. 진단은 CT, MRI, 혈관촬영술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
2. 비효과적인 뇌조직 관류의 위험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한 비효과적인 뇌조직 관류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의식수준, 활력징후, 혈액검사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세미파울러 체위, 항고혈압제 투여, 해열제 투여, 발살바 수기 금지, 수분 제한 및 이뇨제 투여, 객담 제거 및 구강간호, 과다환기, 절대안정 등의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
3.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이뇨제 투여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활력징후, 의식수준, 전해질 수치와 심전도를 모니터링하고, 수액요법, KCL 투여, Spironolactone 투여 고려, 혈변 관찰 및 피부간호, 사지 거상 등의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
1.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is a serious medical condition that occurs when there is bleeding into the ventricles of the brain, which are the fluid-filled cavities within the brain. This condition is most commonly seen in premature infants, as their blood vessels in the brain are still developing and are more fragile. IVH can lead to a range of complications, including hydrocephalus, developmental delays, and even death. Early detection and prompt treatment are crucial in managing IVH and minimizing its long-term effects. Healthcare providers must closely monitor premature infants for signs of IVH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and manage this condition. Additionally, ongoing research and advancements in medical technology are essential to improve the outcomes for infants with IVH.
-
2. 비효과적인 뇌조직 관류의 위험비효과적인 뇌조직 관류는 뇌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입니다. 이는 뇌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며,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뇌세포가 손상되거나 사멸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영구적인 뇌 손상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신속하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예방을 위해 뇌혈관 건강 관리, 혈압 조절, 금연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비효과적인 뇌조직 관류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전해질 불균형은 신체 내 전해질 농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전해질 불균형은 신경계, 근골격계, 심혈관계 등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심한 전해질 불균형은 부정맥, 근육 경련,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의 전해질 수치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전해질 불균형을 해결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 개인도 식단 관리, 수분 섭취 등의 생활 습관 개선으로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전해질 불균형에 대한 관심과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지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
A+ 신경계 중환자실 CASE 뇌실내출혈(IVH) 사례보고서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3개(문헌고찰O)1. 뇌실내출혈(IVH) 뇌실 내에 출혈이 일어난 것을 말한다. 뇌실질내에서는 일정량 이상이 출혈하면 혈종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조직을 압박하고, 나아가 뇌실 안이나 연뇌막강에까지 출혈이 미치는 수도 있다. 갑작스런 의식장애, 이완성 반신불수 등이 나타나는 뇌졸중을 일으키는 대표적 질환이다. 2. 병태생리 뇌실 내 일정 부분의 혈관 발달이 미숙해서 혈관이...2025.05.11 · 의학/약학
-
A+ 경막하혈종 사례보고서 31쪽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2개, 진단검사 O, 약물 O, PBL O, 문헌고찰 O)1. 경막하혈종 경막하혈종은 외상으로 인한 충격으로 뇌 표면 혈관이 파열과 외상 시 뇌관성력으로 인한 가교정맥 파열, 이 두가지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외상성 급성 경막하 혈종은 전체 두부 외상으로 인해 발생된 환자의 12~30% 정도를 차지한다. 이러한 경막하 혈종은 조직 변화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된다. 특히, 급성 경막하 혈동은 중증 뇌...2025.01.1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실습] 뇌내출혈 간호과정1. 자발성 두개강 내 출혈 자발성 두개강 내 출혈은 뇌의 안쪽에 있는 가느다란 혈관이 터져서 뇌 속에 피가 고이고, 이로 인해 뇌가 손상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대부분 고혈압이 조절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고혈압이 오래되면 비교적 작은 직경의 뇌혈관 벽을 손상시켜서 혈압 증가 시 혈압이 터져 버린다. 뇌 내 출혈은 뇌출혈의 가장 흔한 형태이기 때문에 말...2025.01.17 · 의학/약학
-
장중첩증 케이스, intussusception CASE, 아동간호학, 간호진단6개, 간호과정2개1. 장중첩증 장중첩증은 장관 내에서 한 부분의 장이 다른 부분 속으로 밀려 들어가는 질환으로, 주요 증상으로 주기적인 복통, 구토, 혈변 등이 나타난다. 이 환자의 경우 22개월 남아로 갑자기 복통이 발생하였고, 주기적으로 아픈 증상이 있었으며, 초음파 검사 결과 회맹판에서 장중첩증이 의심되었다. 간호사는 통증 관리, 전해질 불균형 예방, 피부 손상 예방...2025.01.11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학실습 ICU, SDH(경막하출혈)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및 과정 3개1. 외상성 경막하 출혈 외상성 경막하 출혈은 교통사고와 같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 안쪽 뇌혈관이 터지면서 뇌와 뇌의 바깥쪽 경막 사이에 피가 고이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두통, 한쪽의 위약감, 경련, 시야 장애, 언어 장애 등이 있으며, 출혈이 계속되어 뇌압이 증가하면 의식 장애가 악화되면서 반신 마비, 동공 확대, 호흡 곤...2025.01.1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실습] 폐색전증(pulmonary thromboembolism) 간호과정 +교육간호중재안1. 폐색전증의 원인과 위험요인 폐색전증은 심부정맥혈전증의 합병증이다. 치료하지 않은 심부정맥혈전증의 30%에서 폐색전증이 발생한다. 위험요인으로는 장기간의 부동으로 정맥혈이 정체되는 상황, 최근 30분 이상 전신마취를 한 수술, 엉덩관절 또는 넙다리골절, 과응고력, 폐색전증의 과거력, 심부정맥혈전증 과거력, 화상, 임신, estrogen 치료, 심근경색증...2025.04.28 · 의학/약학
-
A+) 성인 ICH케이스스터디 15페이지
성인간호학3 실습 Case study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 뇌 내 출혈 )Ⅰ. 문헌고찰1. 정의------------------------------------------------P. 32. 원인------------------------------------------------P. 33. 병태생리------------------------------------------------P. 34. 증상------------------------------------------------P. 35. ...2023.04.26· 15페이지 -
성인간호학 경막하출혈, SDH case A+자료 41페이지
SDH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수업 과목명 담당교수님 학과 이름 학번 제출 일자 실습기간 실습기관 목 차 I. 문헌고찰4 1. SDH(spontaneous subdural hemorrhage)4 ① 정의4 ② 유형4 ③ 임상증상5 ④ 원인6 ⑤ 진단7 ⑥ 치료9 ⑦ 예후10 2. burr hole trephination10 ① 용어정의: burr hole trephination(천두술)10 ② burr hole trephination(천두술)의 목적10 ③ burr hole(천두공)이란?10 ④ burr hole t...2022.02.05· 4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