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목표 표현을 설정하고 해당 표현에 대한 교수 학습안(교안) 작성
본 내용은
"
하나의 목표 표현을 설정하고 해당 표현에 대한 교수 학습안(교안)을 작성해보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3
문서 내 토픽
  • 1. A/V -(으)ㄴ 나머지의 의미, 형태, 기능 이해
    학습자가 'A/V -(으)ㄴ 나머지'의 의미, 형태, 기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문법은 어떤 행위나 상태가 지나쳐서 예상하지 못한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형태적으로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에 '-은 나머지', '-ㄴ 나머지'가 붙는다. 교사는 다양한 예문을 통해 의미와 형태를 제시하고, 연습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2. A/V -(으)ㄴ 나머지를 사용한 부정적 결과 말하기
    학습자가 'A/V -(으)ㄴ 나머지'를 사용하여 어떤 행위나 상태가 지나쳐서 예상하지 못한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했음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교사는 다양한 상황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이 문법을 사용하여 대답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으)ㄴ 끝에'와의 비교를 통해 문법의 의미와 사용법을 명확히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A/V -(으)ㄴ 나머지의 의미, 형태, 기능 이해
    A/V -(으)ㄴ 나머지는 한국어에서 중요한 문법 구조 중 하나입니다. 이 구조는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완료된 후 남은 부분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의미적으로는 '나머지', '남은 것' 등의 의미를 가지며, 형태적으로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에 -(으)ㄴ 나머지가 붙어 구성됩니다. 기능적으로는 완료된 행동이나 상태에서 남은 부분을 강조하거나 그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해와 사용이 쉽지 않은 문법 구조이지만, 한국어 학습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므로 충분한 연습과 학습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 A/V -(으)ㄴ 나머지를 사용한 부정적 결과 말하기
    A/V -(으)ㄴ 나머지 구조는 부정적인 결과를 표현하는 데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공부를 하지 않은 나머지 시험에 떨어졌다', '약속을 지키지 않은 나머지 친구들과 멀어졌다' 등과 같이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완료된 후 남은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은 행동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거나, 부족한 점을 인정하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으)ㄴ 나머지 구조를 사용하여 부정적인 결과를 표현할 때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어휘와 문맥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