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회로실험] 연산증폭기의 비이상적 특성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전자회로실험] 연산증폭기의 비이상적 특성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5
문서 내 토픽
-
1. 옵셋 전압실험 결과 입력 옵셋 전압이 매우 작기 때문에 출력 옵셋 전압에 1000을 나누는 식으로 입력 옵셋 전압을 구했다. 출력 옵셋 전압을 측정할 때도 값이 큰 폭으로 널뛰어서 측정에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직접 측정한 출력 옵셋 전압에 1000을 나눈 값은 각각 –1.867mV와 –1.787mV로, opamp 제작사에서 배포한 입력 오프셋 전압인 0~6mV 범위 안에 포함된다.
-
2. 입력 바이어스 및 옵셋 전류입력 전류는 저항을 크게 설정해도 직접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아서, 출력 전압에 저항 값 200k Ω 을 나누어 구했다. 표의 값을 이용해 구한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각각 104.962nA와 96.15775nA로, opamp 제작사에서 배포한 입력 바이어스 전류인 80~500nA 범위 안에 포함된다. 표의 값을 이용해 구한 입력 오프셋 전류는 각각 1.084nA와 0.0795nA로, opamp 제작사에서 배포한 입력 오프셋 전류 20~200nA 범위보다 작다.
-
3. 슬루율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값을 이용해 구한 슬루율은 0.466666... ≃ 0.47V/us로, opamp 제작사에서 배포한 슬루율인 0.5V/us와 유사하다.
-
4. 실험 과정지난 주 실험에 비해 회로 설계나 측정 등 전반적인 과정이 모두 간단해서 지난 주 보다 훨씬 빠른 시간 내에 실험을 마무리 할 수 있었다. 디지털 멀티미터로 측정한 값이 불안정하게 널뛰어서 스탑 기능을 필수적으로 이용해야 했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할 때는 커서 기능을 사용해 두 지점의 시간, 전압을 측정하는 기능과 측정한 화면을 원하는 만큼 확대하는 기능을 새로 배웠다.
-
5. 실험 결과 비교실험에 사용한 ua741을 제작한 제작사에서 배포한 자료와 PSPICE 시뮬레이션 값, 그리고 실제 측정한 값을 각각 비교해 보며 이론값과 실험값이 얼마나 차이가 있는 지 비교해 보았다.
-
6. 실험 결과 요약이 실험을 통해 앞으로 진행하게 될 여러 실험에 사용하게 될 opamp의 여러 가지 특징을 이해하게 되었다. 아무런 입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opamp는 이론적으로 입력 부분의 전압과 전류가 0이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고 아주 작은 값의 전압과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입력 옵셋 전압과 입력 옵셋 전류를 배움으로서 이후의 실험들에서 생길 오차의 원인을 파악하거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슬루율에 대해 배움으로서 구형파를 입력했을 때 opamp를 거치면서 파형이 사다리꼴 형태로 지연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1. 주제2: 입력 바이어스 및 옵셋 전류입력 바이어스 전류와 옵셋 전류는 연산 증폭기의 또 다른 중요한 특성입니다.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연산 증폭기의 입력 단자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의미하며, 옵셋 전류는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에서 입력 단자에 0V를 가하면 출력 단자에 0V가 나와야 하지만, 실제로는 약간의 전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입력 바이어스 전류와 옵셋 전류는 연산 증폭기의 입력 임피던스, 온도, 시간 경과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입력 바이어스 전류와 옵셋 전류는 연산 증폭기의 정밀도와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정확히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주제4: 실험 과정실험 과정은 연산 증폭기의 특성을 정확히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실험 과정에는 연산 증폭기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전류 등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옵셋 전압, 입력 바이어스 전류, 슬루율 등의 특성을 계산하는 단계가 포함됩니다. 이 과정에서 측정 장비의 정확도, 실험 환경의 안정성, 데이터 분석 방법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험 과정을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은 연산 증폭기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3. 주제6: 실험 결과 요약실험 결과 요약은 연산 증폭기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실험 결과 요약에는 옵셋 전압, 입력 바이어스 전류, 슬루율 등의 주요 특성 값과 이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연산 증폭기의 성능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특정 응용 분야에 적합한 연산 증폭기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실험 결과 요약은 연산 증폭기의 설계 및 제조 과정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내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험 결과 요약은 연산 증폭기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매우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주차_28장_예비보고서_연산증폭기특성 7페이지
28. 연산증폭기의 특성실험 개요실험목적2학년 때 회로이론으로 배웠던 opamp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중 연산 증폭기(UA741)의 슬루율과 공통모드 제거비를 계산하면서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실험목표1. uA741 연산 증폭기의 슬루율을 측정하고 공통모드 제거비(CMR)을 계산한다.2. PSpice 해석을 통하여 uA741 연산 증폭기의 슬루율과 CMR을 구한다.3. 이들 PSpice해석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한다.4. 우리가 구한 데이터들 출판된 값, 즉 데이터시트 상의 값과 비교한다.실험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슬루율(sle...2023.11.30· 7페이지 -
[전자회로실험 결과보고서]연산 증폭기의 비이상적 특성(A+) 9페이지
전자회로실험 결과보고서2장. 연산 증폭기의 비이상적 특성실험 2. 연산 증폭의 비이상적 특성1. 사용 장비 및 부품? 직류 전원 공급 장치 (TESTLINK사 VS-220Q)? 오실로스코프 (RIGOL사 DS2102)? 함수 발생기 (RIGOL사 DG4062)? 디지털 멀티 미터 (RIGOL사 DM306)? 연산 증폭기 : 741(2개)? 저항 : 100?(2개), 1k?, 10k?, 100k?, 200k?(2개)2. 실험 방법 및 결과2.1 입력 옵셋 전압2.1.1 실험 회로도그림 2-1. 브레드보드에 구현한 옵셋 전압 측정 회로...2022.03.04· 9페이지 -
전자회로실험 예비보고서 - 부귀환과 기본적인 연산증폭기 회로 ( A+ 퀄리티 보장 ) 9페이지
예비보고서실험 13.부귀환과 기본적인 연산증폭기 회로1. 실험목적1) 폐루프 전압이득을 측정한다2) 이득-대역폭 곱을 계산한다3) 이득과 대역폭간의 절충점 알아본다.4) 전압-전류 변환기와 전류-전압 변환기를 분석한다5) 전류 증폭기를 시험한다2. 기초 이론연산증폭기연산증폭기는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전자 부품 중의 하나이며, 소비자 디바이스, 산업용 디바이스, 공학용 디바이스로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많은 표준적인 IC 연산증폭기의 가격은 일반적인 생산품에서는 몇 센트 수준이다. 그러나 특별한 기능을 가진 집적화된 연산증폭기, ...2020.12.03· 9페이지 -
전자공학실험 23장 연산 증폭기 응용 회로 1 A+ 결과보고서 6페이지
결과 보고서실험 23_연산 증폭기 응용 회로 1과 목 명:전자공학실험1 실험 개요-이 실험에서는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응용 회로를 분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연산 증폭기를 이용하여 비반전 증폭기, 반전 증폭기, 아날로그 전원 덧셈기 등의 피드백 회로를 구성하고, 연산 증폭기의 특성이 응용 회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2 실험 절차 및 결과 보고 (아날로그 전압 덧셈기 실험은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실험회로 1 :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반전 증폭기 회로■ 실험회로 2 :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비반전 증폭기 ...2024.05.13· 6페이지 -
전자공학실험 24장 연산 증폭기 응용 회로 2 A+ 예비보고서 9페이지
예비 보고서실험 24_연산 증폭기 응용 회로 2과 목 명:전자공학실험1 실험 개요-이 실험에서는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응용회로를 분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연산 증폭기를 이용하여 비반전 증폭기, 반전 증폭기, 아날로그 전압 덧셈기 등의 피드백 회로를 구성하고, 연산 증폭기의 특성이 응용 회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2 실험 기자재 및 부품-DC 파워 서플라이, 디지털 멀티미터, 오실로스코프, 함수 발생기, 연산 증폭기(LM741), 저항3 배경 이론[그림 24-11은 복소수 임피던스를 이용한 피드백 회로이다...2024.04.09·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