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기전 7단계
본 내용은
"
분만기전 7단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0
문서 내 토픽
  • 1. 진입(Engagement)
    아두의 대횡경선이 골반 입구를 통과하였음을 의미. 초산부는 대부분 분만시작 2주전에, 경산부는 분만시작과 함께 진입. 진입여부는 복부검진이나 질검진으로 알 수 있음. 진입시 엄마 골반의 횡경선에 태아의 전후경선이 놓임. 왼쪽 70%, 오른쪽 30%. 시상봉합이 골반입구와 전후경선에 평행하게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횡경) 기울어진 각도로 진입하게 됨.
  • 2. 하강(Descent)
    선진부가 골반 출구를 향해 내려가는 과정으로, 특히 양막이 파열된 후에는 속도가 더 빨라짐. 선진부의 하강 속도는 분만 2기에 증가. 중력, 양수의 압력, 자궁저부의 압력, 복근의 수축, 태아 몸체의 신전 등에 의해 일어남. 선진부의 하강정도는 모체의 좌골극을 기준으로 표시함.
  • 3. 굴곡(Flexion)
    태아의 선진부가 하강을 시작하면 골반의 연조직과 골반저근육, 자궁경부의 자극을 받아 굴곡이 일어나는 것. 턱이 가슴쪽으로 바짝 붙음. 아두의 가장 짧은 경선인 소사경(9.5cm)이 골반출구에 놓임.
  • 4. 내회전(Internal rotation)
    후두가 골반상에 도달하면 전방으로 45°C 회전하여 치골결합 직하연에 놓임. 태아의 어깨는 그대로인 상태에서, 아두의 내회전이 일어나 태아의 목이 뒤틀림. 내회전은 좌골극 수준에서 시작되나 선진부위가 골반하부에 도착할 때까지 완전히 이루어지지는 않음.
  • 5. 신전(Extension)
    회음부에 이르게 되면 만출됨. 아두가 고개를 들면서 만출되는데 먼저 후두, 진정, 눈, 코, 입, 턱의 순서로 만출됨. 골반저근육의 저항과 질구를 향한 기계적인 움직임에 의해 아두가 신전하여 치골결합 아래쪽을 통과하는 것.
  • 6. 외회전과 복구
    태아의 앞쪽 어깨가 골반상에 도착하여 산도의 저항을 받게 되면 앞쪽 어깨가 출구의 전후경선에 일치하여 치골결합 직하연에 놓임. 아두는 원상복구 되고 원래와 동일한 방향으로 다시 회전하여 외회전이 발생. 외회전: 아두 만출 후 어깨의 횡경선이 골반 출구의 전후경선을 빠져나오게 하도록 돌리는 것. 복구: 외회전 후 원래의 방향으로 원상복구를 위해 돌리는 것.
  • 7. 태아만출(Explusion)
    어깨가 만출된 후 아두와 어깨는 모체의 치골쪽으로 올려지면서 태아의 몸은 측면으로 만출됨.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진입(Engagement)
    진입은 출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태아의 머리가 골반 입구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며, 이 단계에서 태아의 위치와 자세가 적절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태아의 머리가 골반 입구에 잘 맞아야 하며, 태아의 자세가 적절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산모의 골반 구조와 태아의 크기 및 자세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입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분만 과정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적절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 2. 하강(Descent)
    하강은 진입 단계 이후 태아가 골반 내로 내려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태아의 머리가 골반 내로 점진적으로 내려오면서 회전하게 됩니다. 하강 과정에서 태아의 자세와 위치가 적절한지, 산모의 골반이 충분히 열리고 있는지 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만약 하강이 지연되거나 태아의 자세가 부적절하다면 분만 과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하강 단계에서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3. 굴곡(Flexion)
    굴곡은 태아의 머리가 골반 내에서 앞으로 구부러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태아의 머리 크기가 줄어들어 골반 통과가 용이해집니다. 적절한 굴곡은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데, 만약 굴곡이 부족하다면 태아의 머리가 크게 남아 분만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과도한 굴곡은 태아에게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태아의 굴곡 정도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4. 내회전(Internal rotation)
    내회전은 태아의 머리가 골반 내에서 회전하여 앞으로 향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태아의 머리가 골반 출구에 맞게 위치하게 됩니다. 내회전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태아의 머리가 잘못된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분만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내회전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분만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5. 신전(Extension)
    신전은 태아의 머리가 골반 출구에 도달했을 때 뒤로 젖혀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태아의 머리가 골반 출구를 통과할 수 있게 됩니다. 신전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태아의 머리가 골반 출구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분만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신전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분만 과정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6. 외회전과 복구
    외회전은 태아의 머리가 골반 출구를 통과한 후 다시 원래의 자세로 돌아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태아의 어깨와 몸통이 골반 출구를 통과할 수 있게 됩니다. 외회전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태아의 어깨와 몸통이 골반 출구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분만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외회전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분만 과정을 안전하게 완료할 수 있습니다.
  • 7. 태아만출(Explusion)
    태아만출은 태아의 몸통과 다리가 완전히 분만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태아의 어깨와 몸통, 다리가 순차적으로 분만되어야 합니다. 만약 태아만출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태아에게 심각한 위험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태아만출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태아와 산모 모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