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성간호학 교내실습] 핵심 술기 요약보고서, 모스비 요약보고서
본 내용은
"
[모성간호학 교내실습] 핵심 술기 요약보고서, 모스비 요약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9
문서 내 토픽
-
1. 전자태아감시무자극 검사(NST)는 자궁 수축이 없는 상태에서 태동 움직임에 대한 태아 심박동의 변화 양상을 측정하고, 자궁수축검사(CST)는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발시켜 자궁수축에 따른 태아의 심음양상을 살펴본다. 전자태아감시 그래프의 상단에는 태아심박동, 하단에는 자궁수축 그래프(기간, 강도, 간격)가 나타난다. 정상 범위는 서맥(110bpm 이하), 빈맥(160bpm 이상)이며, 주기적 변화 없는 경우엔 의미 없지만 하강 동반 시 중재가 필요하다.
-
2. 양막파열사정Nitrazine test는 나이트라진 페이퍼에 질 분비물을 묻혀 색상의 변화를 통해 pH를 추정하여 양막파열 유무를 판단하는 검사이며, ACTIM PROM test는 양수 중 인산화되지 않은 형태의 IGFBP-1을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하여 양수의 유출 유무를 측정한다.
-
3. 자궁저부높이측정태아 성장을 평가하기 위해 치골결합에서 자궁저부 높이까지 길이를 측정하며, 임신 2기에는 자궁저부 높이가 대략 임신 주수와 일치한다. 기대되는 높이보다 작을 경우 태아성장지연, 높이가 과할 경우 다태아, 양수과다증을 의심할 수 있다.
-
4. 레오폴트 복부촉진태향, 태위를 확인하기 위해 복부촉진법(레오폴드 수기)를 수행한다. 1단계에서는 자궁 저부를 확인하고, 2단계에서는 복부 양쪽 측면을 촉진하여 태아의 등, 손, 다리, 무릎, 팔꿈치 등을 평가하며, 3단계에서는 하복부를 촉진하여 선진부를 확인하고, 4단계에서는 아두의 신전 유무를 확인한다.
-
5. 분만기전분만은 규칙적인 자궁수축을 시작으로 태아가 자궁으로부터 세상에 나오는 생리적 과정이며, 만삭 분만은 37~42주 사이에 이루어진다. 분만기전 7단계는 진입, 하강, 굴곡, 내회전, 신전, 외회전, 만출이다.
-
6. 자궁수축사정자궁수축은 자궁에서 태아와 태반을 만출시키는 불수의적으로 작용하는 일차적인 힘이며, 효과적인 분만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자궁수축이 필요하다. 자궁수축의 특성에는 빈도, 강도, 기간, 자궁 이완 시 강도가 있다.
-
7. 분만진행사정내진(질 검진)을 통해 자궁경부의 개대, 소실, 위치, 선진부, 태향, 태아의 하강 정도, 양막의 상태, 양수의 양상 등을 사정한다. 초산부는 경관의 소실 후 개대가 나타나고, 경산부는 경관의 소실과 개대가 함께 일어난다.
-
8. 분만준비세트준비분만 2기를 위해 분만 준비 세트를 준비하며, 준비물에는 분만세트, 회음절개세트, 견인기, 바울, 고무 스포이드, 봉합사, 단순 도뇨관 등이 포함된다. 신생아 처치대에는 신생아 모니터, 산소포화도 측정기, 멸균포, 이름표 등을 준비한다.
-
9. 유도분만 간호유도분만은 자연적인 자궁수축 발생 전 자궁수축을 자극한 후 분만시키는 것으로, 약물 적용법(Oxytocin, Prostaglandin E2 질정이나 젤)과 인공양막파막술이 있다. 옥시토신 주입 중 주의사항에는 자궁의 과자극, 자궁파열, 양수색전증, 옥시토신 부작용 등이 있다.
-
10. 제왕절개 분만간호제왕절개 전 간호에는 전자태아 감시, 검사결과 확인 등이 포함되며, 제왕절개 당일 간호에는 V/S 측정, 태아심음 측정, 산모 수술 모자 착용 등이 포함된다. 제왕절개 후 간호에는 V/S 측정, 자궁수축 및 오로 사정, 모래주머니 및 복대 적용, 약물 투여, 통증 사정 및 자가조절진통법 설명 등이 포함된다.
-
11. 자궁퇴축사정산후 자궁퇴축은 자궁이 임신되기 전 크기와 상태로 회복되는 과정이며, 자궁저부 높이가 하루에 1cm씩 하강하여 9일째에는 자궁이 촉진되지 않는다. 자궁퇴축 사정 과정에는 자궁저부의 위치와 단단함을 촉진하고 배꼽을 중심으로 자궁저부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
1. 전자태아감시전자태아감시는 태아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태아의 안녕을 확인하고 위험 상황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산모 관리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보호하고 안전한 분만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자태아감시 기술의 정확성과 해석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되므로, 숙련된 의료진의 관찰과 판단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과도한 의존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전자태아감시 외에도 다양한 산모 및 태아 평가 방법을 병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양막파열사정양막파열 사정은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양막파열 시기와 양상을 정확히 파악하여 분만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감염 위험 등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숙련된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판단이 필요합니다. 또한 양막파열 사정 시 산모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양막파열 사정은 분만 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이지만,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세심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
3. 자궁저부높이측정자궁저부높이 측정은 태아의 성장과 자궁 내 위치를 확인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태아의 발육 상태와 분만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 산모와 태아의 건강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측정 방법과 해석에 숙련도가 필요하며, 측정 시 산모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자궁저부높이 측정 외에도 다양한 산전 검사와 평가 방법을 병행하여 종합적인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전문적이고 세심한 접근이 필요한 중요한 산모 관리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레오폴트 복부촉진레오폴트 복부촉진은 태아의 위치와 자세를 파악하는 중요한 산전 검사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분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안전한 분만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레오폴트 복부촉진은 숙련된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판단이 필요한 기술이며, 산모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레오폴트 복부촉진 외에도 다양한 산전 검사와 평가 방법을 병행하여 종합적인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전문적이고 세심한 접근이 필요한 중요한 산모 관리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분만기전분만기전은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자궁 수축의 강도와 빈도, 자궁 입구의 개대 정도, 태아의 하강 정도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분만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숙련된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판단이 필요하며, 산모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분만기전 외에도 다양한 산모와 태아 평가 방법을 병행하여 종합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분만 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이지만,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세심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
6. 자궁수축사정자궁수축 사정은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자궁수축의 강도, 빈도, 지속 시간 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분만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숙련된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판단이 필요합니다. 또한 자궁수축 사정 시 산모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자궁수축 사정은 분만 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이지만,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세심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
7. 분만진행사정분만 진행 사정은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자궁 입구의 개대 정도, 태아의 하강 정도, 자궁수축의 강도와 빈도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분만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숙련된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판단이 필요합니다. 또한 분만 진행 사정 시 산모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분만 진행 사정은 분만 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이지만,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세심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
8. 분만준비세트준비분만 준비 세트 준비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분만 과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필요한 의료 기구와 물품을 사전에 체계적으로 준비하여 분만 시 신속하고 원활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분만 과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며,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세심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또한 분만 준비 세트 구성 시 감염 예방, 편의성,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분만 준비 세트 준비는 안전한 분만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9. 유도분만 간호유도분만 간호는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도분만이 필요한 경우,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여 안전한 분만을 도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유도분만 과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며, 산모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유도분만 간호 외에도 다양한 분만 관리 기술을 병행하여 종합적인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유도분만 간호는 안전한 분만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10. 제왕절개 분만간호제왕절개 분만 간호는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수술 전후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간호 중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제왕절개 분만 과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며, 산모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제왕절개 분만 간호 외에도 다양한 분만 관리 기술을 병행하여 종합적인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제왕절개 분만 간호는 안전한 분만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11. 자궁퇴축사정자궁퇴축 사정은 분만 후 산모의 건강 관리에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자궁의 퇴축 정도와 출혈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여 산모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숙련된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판단이 필요합니다. 또한 자궁퇴축 사정 시 산모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자궁퇴축 사정은 분만 후 산모의 건강 관리에 필수적인 단계이지만, 산모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세심한 접근이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