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분만(NSVD) - Case study 문헌고찰
본 내용은
"
여성건강간호학 - NSVD - Case study 문헌고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2
문서 내 토픽
  • 1. 정상분만(Normal Delivery, Eutocia)
    정상분만은 산부가 거의 만삭에 이르고 합병증 없이 한 명의 태아를 두정위로 24시간 이내에 질을 통해서 분만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분만과정은 규칙적인 자궁수축, 자궁경관의 소실과 기대, 선진부의 지속적인 하강 등 3가지 보조진행이 이루어진다.
  • 2. 분만 1기
    분만 1기는 규칙적인 자궁수축부터 경관의 완전개대(10cm)까지를 말한다. 분만 1기는 잠재기, 활동기, 감속기 또는 이행기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산부는 약 14시간, 경산부는 약 8시간이 소요된다.
  • 3. 분만 2기
    분만 2기는 경관의 완전개대부터 태아만출까지이며 평균 분만 소요시간은 초산부는 약 1시간 20분, 경산부는 약 30분이다.
  • 4. 분만 3기
    분만 3기는 태아만출부터 태반만출까지를 의미한다. 태반은 정상적으로 태아가 만출된 후 3 ~ 4회의 강한 자궁수축으로 박리되어 만출된다. 분만 3기는 평균 초산부의 경우 30 ~ 1시간, 경산부의 경우 5 ~ 30분이 소요된다.
  • 5. 분만 4기
    분만 4기는 태반만출 후 약 1 ~ 2시간까지를 의미한다. 이 시기는 항상성이 재설정되는 생리적 회복기이며 출혈, 소변정체, 마취 부작용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다.
  • 6. 분만기전
    분만기전에는 진입, 하강, 굴곡, 내회전, 신전, 복구 및 외회전 등의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전을 통해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여 만출된다.
  • 7. 간호과정
    분만 1기, 2기, 3기, 4기에 따른 간호과정에는 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및 중재, 평가 등이 포함된다. 각 단계별로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정상분만(Normal Delivery, Eutocia)
    정상분만은 임신 37주 이상, 37주 미만의 조산이나 42주 이상의 과숙 임신을 제외한 임신 기간 동안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분만 과정을 말합니다. 정상분만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가장 안전하고 바람직한 분만 방식으로 여겨집니다. 정상분만은 산모의 건강과 태아의 안녕을 최우선으로 하며, 산모의 능동적인 참여와 의료진의 전문적인 관리 하에 진행됩니다. 정상분만은 산모와 태아에게 최선의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분만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 2. 분만 1기
    분만 1기는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는 단계로, 자궁수축과 자궁경부 개대로 인해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게 되는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통증 관리와 함께 태아의 상태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산모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필요에 따라 진통 촉진제 투여나 진통 관리 등의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태아의 상태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여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합니다. 분만 1기는 분만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 3. 분만 2기
    분만 2기는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고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능동적인 노력과 의료진의 전문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산모는 자궁수축에 맞춰 힘주기를 해야 하며, 의료진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통증 관리와 함께 산모의 심리적 지지도 중요합니다. 분만 2기는 태아가 출생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이므로 산모와 태아의 안전이 최우선되어야 합니다.
  • 4. 분만 3기
    분만 3기는 태반이 분리되어 배출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태반 분리와 배출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태반 분리 및 배출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출혈 관리와 자궁 수축 촉진 등의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분만 3기는 분만 과정의 마지막 단계이지만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세심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 5. 분만 4기
    분만 4기는 태반 배출 후 2시간 동안의 회복기를 말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활력징후 및 출혈 상태, 자궁 수축 정도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통증 관리와 함께 수유 및 모아 애착 증진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분만 4기는 분만 과정에서 가장 위험한 시기일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산모와 신생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의 세심한 관리는 산모와 신생아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 6. 분만기전
    분만기전은 분만이 시작되기 전 준비 단계를 말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건강 상태 및 태아의 상태를 확인하고, 분만 진행을 위한 준비를 하게 됩니다. 의료진은 산모의 자궁경부 개대 정도, 태아의 위치와 상태, 산모의 진통 양상 등을 면밀히 관찰하며, 필요에 따라 진통 유도나 제왕절개 등의 중재를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와 가족에게 분만 과정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해를 구해야 합니다. 분만기전은 분만 과정의 시작점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간호과정
    간호과정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사정하고, 이에 대한 간호 진단을 내린 후 목표를 설정하고 중재를 계획하며, 그 결과를 평가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문제 해결 과정입니다. 이는 대상자 중심의 전인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간호과정을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개별화된 간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호 중재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간호과정의 적용은 대상자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