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이론(prospect theory) 및 확률가중함수(probability)에 대한 설명과 동기적 편향(motivational bias)의 구분 및 극복 방법
본 내용은
"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행동경제학, 공통)1. 전망이론(prospect theory) 및 확률가중함수(probability)에 대하여 설명하고, 수업시간에 다룬 예시 이외에 전망이론과 확률가중함수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을 각각 한 가지씩 서술하라. 2. 동기적 편향(motivational bias)이 다른 어림법 또는 편향과 어떻게 구분되는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7
문서 내 토픽
  • 1. 전망이론(prospect theory)
    전망이론(Prospect Theory)은 심리학자 다니엘 카너먼(Daniel Kahneman)과 아모스 트버스키(Amos Tversky)가 개발한 경제학 및 심리학 이론으로, 사람들이 위험을 수반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리는지 설명한다. 이 이론은 개인이 선택을 결정할 때 어떻게 판단하고 선택하는지를 설명한다. 전망이론은 참조점, 손실 회피, 확정 효과, 반사 효과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전망이론을 설명할 수 있는 현상으로는 손실 회피와 주식시장의 투자 패턴을 들 수 있다.
  • 2. 확률가중함수(probability)
    확률가중함수(probability weighting function)는 전망이론(Prospect Theory)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으로 개인이 확률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하는지를 설명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는 사람들이 객관적 확률을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가중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확률가중함수의 주요 특징은 작은 확률에 대한 과소평가, 큰 확률에 대한 과대평가, 비선형적인 가중치 부여 등이다. 확률가중함수를 설명할 수 있는 현상으로는 로또 및 복권 구매, 보험 구매 행동 등을 들 수 있다.
  • 3. 동기적 편향(motivational bias)
    동기적 편향(motivational bias)은 사람들이 자신의 결정이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경향을 말하는 것으로, 개인의 욕구, 가치, 감정적 상태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동기적 편향은 자기확인 편향, 자기격려 편향, 자기보호 편향, 자기관여 편향 등의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동기적 편향은 다른 어림법이나 편향과 달리 개인의 내적 상태나 욕구에 따라 결정되는 특정한 판단과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동기적 편향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비판적 사고, 다양한 관점 탐색, 지연 판단, 새로운 정보 노출 등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전망이론(prospect theory)
    전망이론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적 편향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이득과 손실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반응하며, 손실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즉, 동일한 크기의 이득과 손실에 대해 손실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위험을 회피하려 하지만, 손실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더 강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편향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투자, 보험, 정책 결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전망이론은 전통적인 기대효용이론의 한계를 보완하고, 실제 의사결정 행동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집니다.
  • 2. 확률가중함수(probability)
    확률가중함수는 사람들이 객관적인 확률 정보를 어떻게 인지하고 판단하는지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 함수에 따르면, 사람들은 낮은 확률의 사건을 과대평가하고 높은 확률의 사건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위험한 사건에 대해 과도한 관심을 가지거나, 실제 발생 가능성보다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편향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보험, 도박, 투자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확률가중함수는 전통적인 기대효용이론의 한계를 보완하고, 실제 의사결정 행동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집니다.
  • 3. 동기적 편향(motivational bias)
    동기적 편향은 사람들이 자신의 동기나 목표에 따라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하거나 해석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람들이 자신의 신념, 태도, 행동을 정당화하거나 강화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는 더 잘 기억하고 받아들이는 반면, 자신에게 불리한 정보는 무시하거나 왜곡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편향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동기적 편향은 사람들의 합리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