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혈 심부전(아동)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
본 내용은
"
울혈 심부전(아동)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2
문서 내 토픽
-
1. 울혈 심부전울혈 심부전은 심혈관계가 신진대사 요구량만큼의 적절한 심장박출을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영아에서는 선천성 심장질환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아동 또는 청소년에서는 후천성 심장질환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울혈 심부전의 생리적 기전으로는 전부하의 증가, 후부하의 증가, 심박수의 이상, 심근의 수축력 저하 등이 있습니다. 임상증상으로는 빈맥, 말발굽리듬, 약한 맥박, 발한, 창백, 부종, 성장지연, 불안정, 빈호흡, 천명음, 나음, 수포음, 간비대, 소변량 감소 등이 나타납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흉부 X-ray, 심초음파 등의 검사가 도움이 되며, 치료는 용적 과부하 감소, 수축력 향상, 후부하 감소, 심장의 부담 감소에 초점을 둡니다.
-
2. 간호사정간호사정에서는 심박동수, 혈압, 말초관류, 배뇨량, 의식수준,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 호흡기능과 산소포화도, 신장, 체중, 발달, 영양상태, 가족지지 등을 평가합니다.
-
3. 간호진단간호진단으로는 감소된 수축력, 증가된 전부하, 부종으로 증명되는 증가된 후부하, 숨참, 감소된 배뇨량, 간비대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증가된 전부하와 말초부종으로 증명되는 울혈 심부전에 이차적인 감소된 수축력, 간비대, 폐부종과 관련된 체액과잉, 부적절한 칼로리 섭취와 부적절한 체중증가, 체중감소, 부적절한 칼로리 섭취로 증명되는 증가된 대사요구량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 요구량보다 적음 등이 있습니다.
-
4. 기대되는 결과기대되는 결과로는 편안한 호흡, 부종 없음, 정상적인 혈압, 정상 배뇨량으로 확인되는 최적의 심박출량, 정상 뇌 관류의 지표로 정상 각성상태와 상호적 행동, 간비대나 부종과 같은 정맥울혈의 증상이나 징후 없음, 정상 전해질 수치, 연령에 적합한 칼로리 섭취, 정상 성장 등이 있습니다.
-
5. 간호계획 및 수행간호계획 및 수행에서는 활력징후와 조직관류 관찰, 약물 투여와 임상적 효과 및 부작용 관찰, 체액상태 사정, 체중과 수분섭취 배설량, 뇨비중 측정, 이뇨제 투여 시 전해질 관찰, 성장 차트 기록, 필요 시 위관 영양 제공 등이 이루어집니다.
-
6. 간호평가간호평가에서는 활력징후 정상 범위, 간비대나 정맥확장 없음, 흉부방사선 촬영 깨끗, 심장비대 또는 폐정맥 울혈 없음, 부정맥 없음, 말초관류, 배뇨량, 혈압, 요비중 정상, 약물반응 좋고 부작용 없음, 섭취 배설량 동일, 혈청 전해질 정상 범위 유지, 정상 칼로리 섭취 및 체중 증가, 설사나 오심구토 없이 식사 잘함, 가족의 식이계획 이해 및 위장관 영양에 익숙함 등이 확인됩니다.
-
1. 울혈 심부전울혈 심부전은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혈액이 폐와 몸 전체로 원활하게 순환되지 않아 호흡곤란, 부종,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정확한 간호진단을 내려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특히 약물 투여, 산소 공급, 식이 관리, 운동 요법 등 다양한 간호중재를 통해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질병에 대한 이해와 자가 관리 방법을 교육하여 환자의 예후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
2. 간호사정간호사정은 환자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간호 요구를 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사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병력 청취, 신체 검진, 검사 결과 확인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특히 환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을 통해 정확하고 포괄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호사정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진단을 내리고 개별화된 간호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긍정적인 건강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
3. 간호진단간호진단은 간호사정 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건강 문제와 간호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명확히 기술하는 과정입니다. 간호사는 NANDA-I 간호진단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환자의 실제적, 잠재적, 건강 증진 요구 등을 진단해야 합니다. 이때 환자의 반응, 원인, 관련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정확한 간호진단은 개별화된 간호계획 수립의 기반이 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간호진단 과정에서 환자와 보호자의 참여를 독려하고, 진단 결과를 명확히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4. 기대되는 결과기대되는 결과는 간호계획 수립 시 설정하는 목표로, 환자의 건강 상태 개선을 위한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결과를 의미합니다. 간호사는 간호진단을 바탕으로 환자의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기대되는 결과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때 환자의 요구, 능력, 자원 등을 고려하여 현실적이고 달성 가능한 목표를 수립해야 합니다. 기대되는 결과는 간호계획 수립과 간호 중재 선택의 기준이 되며, 간호 평가 시 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와 보호자와 협력하여 기대되는 결과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
5. 간호계획 및 수행간호계획 및 수행은 간호사정과 간호진단을 바탕으로 환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과정입니다. 간호사는 기대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해야 합니다. 이때 환자의 특성, 선호도, 자원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간호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간호중재 수행 시 환자와 보호자의 참여를 독려하고, 중재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간호계획 및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 개선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6. 간호평가간호평가는 간호계획 및 수행 결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성을 판단하는 과정입니다. 간호사는 기대되는 결과의 달성 여부를 확인하고, 환자의 반응과 건강 상태 변화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중재의 효과성을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간호계획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간호평가 시 환자와 보호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그들의 만족도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간호평가 결과는 향후 간호 실무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간호평가 과정에서 객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여 환자 중심의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
아동간호학 울혈성 심부전_심근 수축력 변화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11페이지
아동간호학 사례보고서울혈성 심부전목차Ⅰ. 문헌고찰 ................................................................... 1p1. 정의2. 병인과 병태생리3. 심부전의 분류4. 증상5. 진단6. 치료7. 간호8. 교육Ⅱ. 시나리오 ................................................................... 3pⅢ. 간호과정 ....................................................................2021.09.30· 11페이지 -
아동의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및 관리(울혈성심부전)/간호 진단 2개, 간호 과정 2개 11페이지
아동의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및 관리목차Ⅰ. 문헌 고찰· 정의· 구조와 특성· 원인 및 병태생리. 임상 증상· 진단검사· 치료 및 간호Ⅱ. 사례 소개Ⅲ. 대표적인 간호 진단(2개)에 따른 간호 과정Ⅳ. 참고문헌Ⅰ. 문헌고찰· 정의울혈성 심부전은 여러 원인으로 인해 심장이 신체조직이나 기관에서 필요한 혈액(특히 산소)을 공급할 수 없는 병태생리학적 상태를 말한다. 심부전은 급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만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심부전은 흔히 다른 심장 질환, 예를 들면 만성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판막에 이상이 있는 기계적...2022.10.19· 11페이지 -
울혈성 심부전 30페이지
발표자 PPT : 자료조사 : 아동간호학 Ⅲ OOO 간호학과 O 조 -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CONTENTS Ⅰ. 서론 문헌고찰 Ⅲ. 결론 및 소감 Ⅱ. 본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울혈성 심부전 시나리오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1) 정의 Ⅰ. 서론 _ 문헌고찰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 심장 기능장애로 여러 원인으로 인해 신체 대사요구량에 맞는 적절한 혈액 ( 특히 , 산소 ) 박출 X 발생 : 출생아 0.1~0.2% 로 심실중격결손 , 동맥관 개존...2021.12.17· 30페이지 -
아동간호학 개별과제(아동기 주요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및 관리) 12페이지
REPORT [아동기 주요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및 관리] 과목명| 아동간호학(3) 담당교수 | 학과 | 학년 | 학번 | 이름 | 제출일 | 목차 1. 문헌고찰3~8 - 정의(Definition) - 원인(Etiology) 및 병태생리 - 임상 양상(Clinical Manifestation) -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 치료 및 간호(Treatment & nursing) 2. 사례 소개9 3. 간호 진단에 따른 간호과정9~11 4. 참고문헌12 1. 문헌고찰 : 울혈성 심부전 1) 정의 울혈심부전은...2024.06.05· 12페이지 -
울혈성 심부전케이스 11페이지
아동간호학(3)심장질환 아동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및 관리1. 울혈심부전 문헌고찰1) 정의2) 원인 및 병태생리3) 질환 관련 검사의 방법, 시기, 주의점 등4) 치료 및 간호5) 기타 (임상증상)2. 사례소개3. 대표적인 간호진단(2개)에 따른 간호과정4. 참고문헌1. 문헌고찰1) 정의울혈심부전 : 신체 대사 요구량에 맞는 적절한 양의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심장의 기능부전아동의 울혈심부전은 그 자체가 질병이 아니라 선천성 심장기형에 의한 증상이며, 심근의 과도한 부담으로 인해 생긴다.심실중격결손, 동맥관개존증, 심방중격결...2023.05.30·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