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만성신부전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만성 신부전
1.1. 정의 및 병태생리
1.2. 분류 및 단계
1.3. 원인
1.4. 증상 및 진단
1.5. 치료
1.5.1. 투석
1.5.2. 신장이식
1.6. 간호중재
1.6.1. 체액과다
1.6.2. 심박출량 감소
1.6.3. 동정맥루 관리
1.6.4. 영양불균형
1.6.5. 변비
1.7. 예후
2. 만성 신부전 CASE STUDY
2.1. 간호과정
2.1.1. 불충분한 수분섭취와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
2.1.2. 식이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2.1.3. 빈혈과 관련된 피로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만성 신부전
1.1. 정의 및 병태생리
만성 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CKD)은 진행성 콩팥병변이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콩팥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이 3개월 이상 감소된 질병 상태를 의미한다"" 콩팥의 주요기능은 노폐물을 배설하고 혈액을 깨끗하게 걸러주는 여과작용을 하며, 여러 내분비기능을 하고 체내 항상성을 조절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이러한 신장기능의 점진적인 손상은 erythropoietin의 생성 감소로 빈혈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함에 따라 renin angiotensin축을 자극하고 혈압을 상승시키는 aldosteone분비물이 증가하여 BUN과 크레아티닌이 상승한다"" 더 많은 양의 용질을 여과하기 위해 정상적인 네프론이 비대해지며 결과적으로 신장은 소변을 적절하기 농축하는 능력을 잃게된다"" 신장손상이 진행되는 동안 기능하는 네프론의 수가 감소됨에 따라 사구체 여과율이 더욱 감소하고 신체는 과다한 수분, 염분, 노폐물 등을 제거하지 못하게 된다"" 사구체 여과율이 10~20ml/min이하로 감소할 때 신체에 요독성 효과가 나타난다""
1.2. 분류 및 단계
만성 신부전(CKD)은 진행성 콩팥병변이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콩팥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사구체여과율(GFR)이 3개월 이상 감소된 질병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5단계로 분류되며, 각 단계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사구체여과율(GFR): 90이상(정상) → 소변검사이상, 신장요로계의 이상소견 동반
2단계 사구체여과율(GFR): 68-89(감소) → 합병증은 없음, 기저 질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발생
3단계 사구체여과율(GFR): 30-59(중등도 감소) → 합병증 발생여부 검사, 신장기능저하의 진행 주기적으로 관찰필요
4단계 사구체여과율(GFR): 15-29(심한 감소) → 신장내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투석, 이식과 같은 신대체요법에 대한 준비필요
5단계 사구체여과율(GFR): 15미만 → 투석 혹은 이식과 같은 신대체요법
1.3. 원인
만성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과 고혈압과 같은 만성 질환의 관리 부족에 의해 일어난다"" 이다. 당뇨병은 만성 신부전의 가장 큰 원인으로, 전체 말기 신부전 환자의 49%를 차지하며, 고혈압은 21%를 차지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로 당뇨병과 고혈압이 가장 큰 만성 신부전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 외에도 사구체질환, 혈관 질환, 유전성 신장 질환, 선천적 요로계 기형, 요로 폐쇄, 아밀로이드증, 요로 결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만성 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1.4. 증상 및 진단
임상증상: 만성 신부전 초기에는 특별한 이상이 없다가 신장기능이 떨어지고 4-5단계로 진행되면서 요독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빈번한 호흡곤란, 기억장애, 수면문제, 잦은 배뇨, 소변의 비정상적 양상, 과도하게 건조한 피부, 부종,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 만성 신부전의 진단을 위해서는 1) 혈액검사를 통해 사구체여과율(GFR)을 계산하여 신장기능을 확인하고, 2) 소변검사에서 단백뇨가 확인되며, 3) 신장 초음파 검사에서 만성적 변화의 근거를 확인할 수 있다.
혈액검사에서 크레아티닌 농도를 통해 GFR을 계산하여 신장기능을 평가하며, 정상은 90 이상이다. 소변검사에서는 요중 알부민과 크레아티닌의 비율을 보고 알부민이 300mg/g 이상이면 만성 신부전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신장 초음파 검사를 통해 만성적 변화의 근거를 확인할 수 있다.만성 신부전 환자의 경우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가 신장기능이 점차 악화되면서 다양한 증상이 발현된다. 초기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신장 손상이 누적되면 요독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요독 증상에는 피로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부종, 호흡곤란, 신경학적 증상 등이 포함된다.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를 통한 GFR 측정, 소변검사를 통한 단백뇨 확인, 영상검사를 통한 신장 구조적 변화 확인 등이 필요하다. GFR이 감소하고 소변 내 단백질이 증가하는 것이 만성 신부전의 주요 특징이다. 초음파 검사에서는 신장의 크기와 모양의 변화를 통해 만성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만성 신부전 환자는 무증상에서 점차 다양한 증상이 발현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종합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특히 GFR 감소와 단백뇨는 질병의 진행 단계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1.5. 치료
1.5.1. 투석
투석은 만성신부전 환자의 혈액 속에서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을 말하며, 투석의 종류로는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이 있다."
혈액투석은 혈액투석장치를 이용해 혈액 속의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고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혈액투석은 고정된 스케줄에 맞춰 주 2~3회 투석실에 방문해야 하고 투석할 때마다 동정맥루에 주사관을 삽입해야...
참고 자료
윤은자 외. (2021). 성인간호학1(9판), 수문사.
윤은자 외. (2021). 성인간호학2(9판), 수문사.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윤 호 외. (2020). 해부생리학(8판), 바이오사이언스출판.
박은영 외(202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10판),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만성신부전], 2024.05.15. 열람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73
서울아산병원 시술정보, [혈액투석], 2024.05.15. 열람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513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만성 콩팥병’, 2024.05.15. 열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42&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kidney transplantation] ’, 2024.05.15. 열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792&cid=51007&categoryId=51007
황옥남 외 8명, 「제7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9, p.148~169
삼성서울병원, “만성신부전”,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disease/info/view.do?CONT_ID=1725&CONT_SRC_ID=09a4727a8000f222&CONT_SRC=CMS, 23.02.22
서울아산병원, “만성신부전”,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73, 23.02.22
서울아산병원, “폐부종”,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57, 23.02.23
서울대학교병원, “만성신부전”,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67, 23.02.23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23.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