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초급 ppp 모형 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PPP 모형
2.1. 개념
2.2. 특징
2.3. 수업 순서
2.4. 예시
3. TTT 모형
3.1. 개념
3.2. 특징
3.3. 수업 순서
3.4. 예시
4. PPP 모형과 TTT 모형의 비교·대조
4.1. 교수법 특징
4.2. 수업 모형 비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 과제 주제 : PPP모형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초급 과정의 말하기 수업을 PPP 모형의 단계에 맞게 설계하기
한국어교원이 되겠다고 결심하고, 평생교육원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을 공부한 지 3개월이 되었다. 그중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 교육론과 이해 교육론을 공부할 때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습득할 수 있어 유익하게 듣고 있고 꼼꼼하게 공부하고 있다. 특히 PPP 모형과 TTT 모형을 배우면서 현장에서 활용하면 학습자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 될 거 같다고 생각하며 수업을 듣고 있다. 마침, 1학기 과제로 초급자를 위한 PPP 모형을 직접 만들기 과제가 있어 망설임 없이 이 과제를 선택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다문화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한국에 단, 장기간 정착하여 살아가고 있는 외국인들이 많이 있다. 이들에게 어떻게 효율적으로 한국어를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정부의 정책으로 다양한 기관에서 여러 활동과 수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초급 학습자들의 경우 한국 사회에 대한 배경지식이 매우 부족하고 입력된 어휘와 문법이 제한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PPP 모형은 초급 학습자들에게 적용하기 좋은 모형이라 생각되었고 실제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모델이기도 하다. 이 과제는 초급 외국인 학습자에게 PPP 모형을 통해 한국어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수업하는 단계를 도입, 제시 ,연습, 활용, 마무리 단계로 제시하고자 한다.
2. PPP 모형
2.1. 개념
PPP모형은 한국어 문법 교수 방법론 중 하나로 문법에 대한 지식적인 부분만 제시(Presentation)-연습(Practice)-활용(Production) 단계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학습자에게 알지 못하는 것이 있다는 전제 아래 새로운 지식을 알려주는 교수모형이다"" PPP모형을 이용한 교육은 학습자에게 새로운 내용을 교육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사전에 결정된 교육을 교사가 중심이 되어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이 학습의 주체가 아닌 수동적인 역할에 머무르게 된다""
2.2. 특징
PPP 모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PPP 모형은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학습자에게 알지 못하는 것이 있다는 전제 아래 새로운 지식을 알려주는 교수모형이다. PPP 모형을 이용한 교육은 학습자에게 새로운 내용을 교육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사전에 결정된 교육을 교사가 중심이 되어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학...
참고 자료
Byrne, Harmer,「Teaching Oral english」,
정태은 -「중학교 영어 말하기 수업을 위한 PPP모형
세종학당 실용 한국어1 -79p 예문 활용
김선정 외, 『한국어표현교육론』, 형설출판사. 2010.
우형식, 『한국어 문법 교육론』, 부산외국어대출판부, 2016.
강현화 외, 『한국어 문법』, 한글파크, 2016.
https://blog.naver.com/na_blogger/222070804476
https://letsdoitwithme.tistory.com/8
표현 교육론 - TTT,PPP 비교 대조 설명|작성자 Manse
곽지영 김미옥 김제열 손성희 전나영 정희정 조현선 한상미 한송화 황인교 <한국어 교수법의 실제> 연세대학교 출판부
조위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박혜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개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