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원격교육에서 학습자 중심활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원격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 활동
1.1. 원격교육의 특성과 구현 방법
1.1.1. 원격교육의 구성 요소: 대화, 구조, 자율
1.1.2. 원격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활동의 필요성
1.2. 학습자 중심 활동 구현 방법
1.2.1. 동영상 강의에 상호작용 질문 삽입
1.2.2. 학습자의 강좌 선택권 부여
1.2.3. 실시간 원격교육 도입
1.2.4. 학습자 욕구조사 및 반영
1.2.5. 과정 중심 교육 지향
2. 원격교육에서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2.1.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개념
2.2.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구성 요소
2.2.1. 학습 활동 전략
2.2.2. 교수 활동 전략
2.2.3. 원격교육 적용 시 유의점
2.3.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기본 조건
2.4.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장단점
2.5. 프로젝트 기반 학습 사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원격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 활동
1.1. 원격교육의 특성과 구현 방법
1.1.1. 원격교육의 구성 요소: 대화, 구조, 자율
원격교육은 교육자가 학습자가 있는 공간에서 지속적이고 직접적인 관리와 감독을 하지 않아도 개별지도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학습형태를 사용하여 교육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교육의 구성개념 세 가지가 대화, 구조, 자율이다.
첫째, 대화는 교사와 학생 간 직·간접적인 구두 상호작용을 뜻한다. 대화는 사람들로 직접적인 접촉을 하게하며 자기 결정을 진지하게 생각하게 만들며, 원격교육의 교육학적인 구조에 반드시 있어야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원격교육에서 대화를 실천하는 방법으로 출석수업과 코스상담, 학습센터 운영, 학생자치 학습동아리 운영 등이 있다.
둘째, 구조는 교과목표를 이루기 위해 학습 내용이 위계적이며 조직적으로 통제되고 관리, 평가되고 있는 것을 뜻한다. 원격교육 상황에서 구조는 여러 가지로 제약이 있지만 그럼에도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다.
셋째, 자율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의 요구를 인식하며 목표를 정하고 내용을 선택, 학습전략을 세우고 학습을 조직, 수행을 해나가는 학습자 중심적 교수 학습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자율, 자발성은 원격교육, 평생교육 분야에서는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도입되기 위하여 자율 및 구조화의 조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1.1.2. 원격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활동의 필요성
과거 우리나라 원격교육은 교수자 중심 교육이었기 때문에 학습자는 원격교육으로는 자신의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힘들었음은 물론 원격교육에 대한 흥미를 쉽게 잃어버리게 되었다. 이는 원격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활동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 원격교육은 학습자 중심 교육을 지향하면서 교수활동에 있어 학습자의 참여를 활성화하고 있다. 이는 원격교육이 교수자 중심이 아닌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어야 할 필요성에서 기인한 것이다. 학습자 중심 활동은 학습자의 자율성과 능동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학습 효과를 제고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학습자 중심 활동 구현 방법
1.2.1. 동영상 강의에 상호작용 질문 삽입
코로나 팬더믹 사태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됨에 따라 우리나라 평생교육 부분은 대면교육에서 원격교육으로 교육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변화시키고 있다 할 것이다. 과거 우리나라 원격교육은 교수자 중심 교육이었기 때문에 학습자는 원격교육으로는 자신의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힘들었음은 물론 원격교육에 대한 흥미를 쉽게 잃어버리게 되었던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원격교육은 학습자 중심 교육을 지향하면서 교수활동에 있어 학습자의 참여를 활성화하고 있는데, 그 방법 중 하나로 동영상 강의 안에 상호작용을 위한 질문을 삽입하고 있다. 현재 본인이 수강 중인 00대학 원격교육 강좌에는 동영상 강의 안에 1~2번씩 상호작용을 위한 질문이 삽입되고 있다. 강의 시청을 완료한 학생들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온라인 상으로 즉각 제출해야 하는데, 동영상 강의 안에 삽입된 질문의 유형은 '강의가 이해가 되는지' 그리고 '강의의 방향이 어떤 식으로 전개되는 것을 원하는지'에 대한 내용이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위한 질문을 통해 원격교육 자체가 학습자 중심활동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동영상 강의 안에 상호작용을 위한 질문을 삽입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그에...
참고 자료
뉴노멀 시대의 이러닝과 원격교육, 저자 이영주, 출판 학지사, 2021.09.20.
네이버 지식백과 / 원격교육 (교육학용어사전)
원격교육론 강의교안/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
원격교육론/조은순/양서원/2012년1월10일
정보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김호숙,김형석/한국정보교육학회(정보교육학회논문지)/제18권 제4호(2014년12월)
온라인 시대의 팀 프로젝트 학습과 창의력/최광희(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스쿨잼
☞ https://naver.me/GKvWjcuJ
교육인적자원부(2006). 원격대학 제도개선 추진계획.
오은진(2001). 원격대학 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직업능력개발연구, 4(2).
임연옥(2002). 원격대학교육의 접근성과 질 제고를 위한 제언. 교육법학연구, 14(2).
임철일(2011). 원격교육과 사이버교육 활용의 이해 원격교육론.
조은순, 염명숙(2011). 원격교육활용론.
이윤경, 김은진(2021).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 학습성과 및 만족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