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표준적인 된소리 현상과 표준적이지 않은 된소리 현상의 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경음화의 정의와 특징
2.1. 경음화의 의미와 유형
2.2. 경음화 현상의 변천
3. 현대 국어의 경음화 현상
3.1. 단어 차원의 경음화
3.1.1. 규칙적 경음화
3.1.2. 불규칙적 경음화
3.1.2.1. 사이시옷 개재
3.1.2.2. 용언에서의 경음화
3.2. 구 이상 영역에서의 경음화
4. 경음화 현상의 실태
4.1. 언론에 반영된 경음화 현상
4.2. 연령대별 경음화 실태 조사
5. 경음화 현상의 배경
5.1. 경음화를 사용하는 이유
5.2. 경음화 현상의 전망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 중 하나가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그 중 경음화로 인한 발음과 표기의 차이는 종종 모국어 화자에게도 혼란을 야기하곤 하며,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잘못 발음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짜장면'의 표준 표기는 '자장면'이었으나, 대다수 사람들이 '짜장면'으로 발음하고 표기하였다. 이에 규범과 실제 사용 간의 차이에서 야기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2011년 국립국어원에서는 '자장면'과 '짜장면'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바 있다. 경음화는 발음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뚜렷한 기준 없이 사람마다 다르게 발음한다면 의미의 전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만약 표준 발음의 기준이 뚜렷하지 않다면 한국어 교사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을 지도할 때 곤란한 경우도 생길 것이다. 따라서 경음화 현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현대 국어에서 어떤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유형과 배경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2. 경음화의 정의와 특징
2.1. 경음화의 의미와 유형
경음화의 의미와 유형은 다음과 같다"".
경음이란 된소리를 말한다. 우리말에는 ㄲ, ㄸ, ㅃ, ㅆ, ㅉ와 같은 다섯 개의 된소리가 있다. 경음화란 경음이 아닌 소리가 경음으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즉, ㄱ이 ㄲ으로, ㄷ이 ㄸ으로, ㅂ이 ㅃ으로, ㅅ이 ㅆ으로, ㅈ이 ㅉ으로 바뀌는 것이다"".
경음(된소리)은 목에 힘을 주고 있다가 터트리면 나는 소리이다. 목에 힘을 준다는 말은 코와 입으로 나가는 바람을 완전히 막아서 목 안의 압력을 높인다는 의미이다. 그렇게 압력을 높인 다음에 ㄱ, ㄷ, ㅂ, ㅅ, ㅈ를 발음하면 이 소리들이 터지면서 경음(된소리)이 된다"".
경음화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경음화의 개수가 한정되어 있는 1차 기본 경음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병원'의 경우 '뼝원'과 같이 경음화가 일어나는데, 이는 제한된 단어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이다"".
둘째, 합성어에서 선행단어를 강조하기 위해 후행단어의 초성을 경음화하는 2차 경음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물골' 은 '물통골'로 발음된다"".
셋째, 사이시옷이 개재되면서 자동으로 경음화가 일어나는 3차 경음화 현상이다. 사이시옷이 표기되면 표준발음법에 따라 경음화가 강제적으로 적용된다"".
2.2. 경음화 현상의 변천
경음화 현상의 변천은 다음과 같다""
신라나 고려시대 때는 '된소리'가 음운으로는 없었으나 연음에서 일어나는 음성으로는 있었을 것이다. 선조 때부터 영조 때까지 ㅂ, ㅅ, 두 경음이 사용되어오다가 ㅂ이 ㅅ된소리로 변하였다. 영조...
참고 자료
고영근 · 구본관(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개론 강의 교안(2021),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생활속의 맞춤법 이야기(2000), 성기지, 역락.
한글 맞춤법, 무엇이 문제인가?(1997) 이현복 외, 태학사
글쓰기를 위한 4천만의 국어책(2020), 이재성, 들녘
현대 국어의 경음화 현상에 대한 검토, 엄태수(1998), 국제어문 19권
[네이버 지식백과] 경음화 (글쓰기를 위한 4천만의 국어책, 초판 2006., 8쇄 2010., 이재성, 이형진)
국회전자도서관경음화 현상의 음운 교육 내용화 연구:중등학교 학습자의 언어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이현영
박고영(2010), 경음화 교육 내용의 선정과 제시 순서 연구
연합뉴스, <우리말이 바뀐다> ④ 발음이나 문법도 변한다.
경음화에 대한 언어태도의 사회언어학적 조사 및 분석/전지연 (2019)
한글발음 입출력기를 위한 합성어에서 경음화 유형의 분류/민정식(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