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로마 테라피의 목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아로마테라피 개념 및 특징
2.1. 아로마테라피의 개념
2.2.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효능
3. 아로마테라피의 응용
3.1. 여드름 관리
3.2. 피부노화 관리
3.3. 셀룰라이트 관리
3.4. 탈모 관리
3.5. 비듬 관리
3.6. 불면증 관리
4. 아로마테라피와 경락 관리
4.1. 미용망진을 이용한 경락 관리 방법
4.2. 미용망진을 이용한 아로마테라피 관리 방법
4.2.1. 아로마테라피 얼굴스팀법과 증기 호흡법, 스프레이법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아로마테라피라는 단어만 들어도 벌써 힐링이 되는 향이 느껴진다. 이처럼 아로마테라피는 향기가 나는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정유를 사용하여서 심신의 항상성 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후각이나 피부를 통하여 통제된 방법으로 인체에 흡수시켜 심신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유에 도움을 주어 건강의 유지와 증진을 도모하는 데에 있다. 아로마 테라피가 나에게 필요한 것은 많은 업무를 하면서 쌓인 피로를 풀어주고 또한 피로를 풀며 심신의 안정을 얻으면서 나의 바이오리듬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혈압을 유지하고 또한 체온유지와 야근이 많은 나에게 호르몬을 조절하는 심신의 항상성 유지를 하기 위해서 아로마테라피를 사용하고자 한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스트레스 해소와 나의 신체 리듬을 위해서 해온 레포츠를 자주 즐기지 못해서 업무로 인한 긴장 완화 그리고 코로나 비대면 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심신적, 신체적인 케어를 이 아로마 테라피로 해결 할 것이다.
2. 아로마테라피 개념 및 특징
2.1. 아로마테라피의 개념
아로마테라피의 개념은 "향기가 나는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정유를 사용하여서 심신의 항상성 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아로마테라피는 후각이나 피부를 통하여 통제된 방법으로 인체에 흡수시켜 심신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유에 도움을 주어 건강의 유지와 증진을 도모하는 방법이다. 즉, 아로마테라피는 향기를 이용한 자연스러운 치료법으로, 식물에서 추출한 향기 성분을 활용하여 심리적,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2.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효능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스윗오렌지 오일은 마음을 안정시키고 외로움을 달래주는 효과가 있으며, 우울증에 효과적이고 소화불량, 변비, 설사 등의 증세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마사지를 통해 혈액순환을 도와 피부를 탄력 있게 가꿀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라벤더 오일은 상처치유 효과가 뛰어나고 화상이나 부상 치료에 사용되며,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 불면, 두통, 생리통, 관절염 등의 통증에 사용된다. 또한 지성 피부에도 효과적이다.
페퍼민트 오일은 진통, 소염, 해열 등의 효과가 있으며, 벌레 물린 곳, 두드러기, 풀독 등에 효과적이고, 소화불량, 변비에도 효능이 있다. 페퍼민트 오일을 샴푸에 넣으면 두피 케어와 비듬 제거에도 도움이 된다.
로즈마리 오일은 정신 각성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진통 효과가 있어 근육통이나 관절통에 효과적이고, 저혈압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유칼립투스 오일은 뛰어난 방부제로, 화상, 피부재생, 방충, 항염, 관절염, 기관지염, 비염에 효과적이며 살균 작용이 있어 대체 치료제로 활용된다. 또...
참고 자료
리빙인아로마 http://www.livinginaroma.com/
DAILY POP 그것이 궁금 새로운 건강 트렌드는 에센셜 오일 2021.11.08.
김동하, 김지나, 정광례, 최양아, 정서희, 정현숙, 『향기파동치유요법 아로마테라피』, 한올, 2020.
김미은, 전지희, 허명행, 「아로마테라피가 수면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49(6), 2019, pp.655-676.
오홍근. 『오홍근박사의 향기요법』, 양문출판사, 2000.
오홍근 등, 3종의 아로마 시너지브랜딩향의 항스트레스와 각성효과 및 3종향 사이의 효과에 비교 효과. 대한심신스트레스학회지 8(2), 2000, pp.9-24.
안수현, 안정은, 『Basic 아로마테라피 즐기기』, 유페이퍼, 2021.
이경희, 「라벤더 향유를 이용한 향기흡입법이 중년기 여성의 수면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하병조, 『아로마테라피』, 수문사, 2000.
조소은, 「아로마 요법의 자가적용이 여성의 월경통과 월경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정이안, 오장육부의 거울, 피부, 건설이코노미뉴스, 2015.04.24.
http://www.ce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8849
최승완, 에센셜 아로마테라피, 의학서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