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소설 독후감
1.1. 고도를 기다리며
주인공인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은 어느 시골길에서 '고도'라는 인물을 하염없이 기다리고 있다. 그들은 고도를 기다리는 장소와 시간이 맞는지, 또한 만나고자 하는 '고도'가 누구인지 정확히 알지 못한 채 기다림만을 지속하고 있다. 이것이 그들에게는 일상이 되어 버렸다. 에스트라공은 그만 떠나자고 하지만 블라디미르는 고도를 기다려야 한다고 말한다.
오랫동안 기다림에도 불구하고 고도를 만나지 못하고 고도의 전령인 한 소년이 등장해 고도가 오늘이 아닌 내일 온다고 전하자 극단적 선택까지 생각하며 내일 오자고 하나 여전히 그들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는 그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지금까지의 보여줘 왔던 행동이 의지를 반영하지 못하고 현실에 주저앉아 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두 주인공이 만나지도 보지도 못했으면서도 기다리는 '고도'는 우리가 아직 접해보지 못한 미래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우리가 기다리는 미래는 그 누구도 볼 수 없을 뿐이며 우리의 의지와 노력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지만 어찌 보면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위해 큰 노력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미래를 갖지 못하면서 자신이 바라는 미래를 무작정 기다리는 우리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1.2. 동물농장
'동물농장'은 조지 오웰이 쓴 우화 소설로, 매너 농장의 동물들이 농장주들을 몰아내고 동물의 자유와 평등을 내세워 자신들의 농장을 설립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동물들 사이의 차이가 심화되고 결국 권력을 장악한 돼지들이 다른 동물들을 착취하고 지배하게 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 소설은 러시아 혁명과 소련의 역사를 풍자와 우화로 재현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메이저라는 늙은 수퇘지가 동물들에게 동물주의와 평등을 설파하고, 동물들이 이를 실현하기 위해 봉기를 일으키지만, 결국 돼지들이 권력을 장악하고 다른 동물들을 지배하는 과정은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의 역사를 연상시킨다.
특히 마지막 부분에서 농장 밖의 동물들이 돼지들과 인간들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모습은 권력을 장악한 집단이 결국 피지배 집단과 다를 바 없어지는 역사적 교훈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작가는 혁명 이후 어떻게 새로운 권력층이 기존의 지배층과 유사해지는지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동물농장'은 단순한 동물 우화를 넘어서 정치적 ·역사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작가 오웰은 이를 통해 권력의 본질과 변질 과정에 대한 경고를 던지고 있는 것이다.
1.3. 장현리, 그 풍경과 삶의 이야기
장현리, 그 풍경과 삶의 이야기는 국립민속박물관이 주관한 기록영화 촬영지인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장현2리의 생활 문화를 담은 학술총서이다. 이 책은 장현리의 지명 유래부터 세시풍속, 농사일, 전통 가옥과 의생활, 민간 신앙과 종교, 놀이문화, 집성촌 이야기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우리나라 농촌 문화의 면면을 엿볼 수 있다.
먼저 장현리의 지명 유래와 역사를 살펴보면, 이 지역은 예부터 평야와 하천이 어우러진 농경지로 유명했다. 장현2리는 서산시에서도 특히 농업이 발달한 곳으로, 좋은 천혜의 자연환경에 힘입어 벼농사와 작물 재배가 활발했다. 또한 이 일대는 최씨 집성촌으로 유명한데, 현재도 최씨 성을 가진 주민들이 다수 거주하고 있다.
장현리의 세시풍속과 농사일을 살펴보면, 이 지역의 농민들은 농경 사회의 전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정월 대보름, 한식, 단오, 추석 등 명절 행사와 더불어 모내기, 김매기, 벼베기 등 농사 시기별 풍속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농악대 행렬, 산신제, 당제 등의 민속 행사는 지역 주민들의 결속과 공동체 의식을 보여준다.
주민들의 삶의 모습도 매우 독특하다. 장현리에는 여전히 전통 가옥들이 남아있는데, 이들은 처마와 담 사이의 공간이 연결되는 폐쇄적 구조를 보인다. 이는 자연환경에 대처하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것이다. 또한 주민들의 의생활에서도 전통 복식의 모습이 남아있어 과거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나아가 장현리에는 여전히 민간 신앙과 종교가 공존하고 있다. 마을 수호신인 산신령을 모시는 당제와 더불어 불교, 기독교 등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