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심근경색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급성 심근경색증
1.1. 정의
1.2. 원인 및 병태생리
1.3. 증상
1.4. 진단
1.5. 치료
1.5.1. 약물 치료
1.5.2. 중재 시술
1.6. 간호 중재
2. 사례 분석
2.1. 대상자 정보
2.2. 진단 검사 결과
2.3. 치료 계획
3. 간호 과정
3.1.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 통증
3.2. 지식 부족과 관련된 불안
3.3. 기타 간호 진단 및 중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급성 심근경색증
1.1. 정의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중의 하나이다."심장의 전기 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 질환"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급성 심근경색증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한다.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이를 둘러싸는 섬유성 막(fibrous cap)이 생기는데, 어떤 이유로든 이러한 섬유성 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되고, 이곳에 갑작스럽게 혈액이 뭉쳐서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게 된다. 이로 인해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심근허혈(myocardial ischemia)이 발생하게 된다.
심근허혈이 지속되면 심근손상이 일어나게 된다. 심근이 산소와 영양분 공급 부족으로 인해 죽어가는 과정인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이 발생한다. 심근경색이 진행되면 경색된 부위의 심근세포가 비가역적으로 괴사되어 심장 기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급성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허혈로 인해 심근세포가 저산소 상태에 빠지면 세포 내 pH가 낮아지고 이온 불균형이 초래된다. 둘째, 이로 인해 심근의 전도와 수축 기능이 억제되고 카테콜라민 방출이 증가하여 심박동과 후부하가 증가한다. 셋째, 이로 인해 심근의 산소 요구도가 더욱 증가하여 손상과 허혈이 확대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넷째, 손상된 심근세포에서 염증 반응이 시작되어 호중구가 조직을 침범하고 괴사된 심근 조직을 제거한다. 다섯째, 이 과정에서 심한 부종과 함께 경색부위가 푸르스름해지는 양상이 나타난다. 여섯째, 2-3개월에 걸쳐 경색된 부위가 수축되며 얇고 단단한 반흔 조직으로 변하게 된다.
이처럼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으로 인해 심근 손상과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이다. 병태생리 과정에서 허혈, 산증, 전도 및 수축기능 억제, 카테콜라민 증가, 염증 반응 등의 복합적인 기전이 관여한다.
1.3. 증상
급성 심근경색증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흉통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협심통이다. 흉통의 양상은 안정협심증과 비슷하나 그 강도가 훨씬 심하며 30분 이상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는 가슴이 무겁게 짓눌리고, 격렬하며 쥐어짜는 듯한, 심한 분쇄통을 호소한다. 이러한 흉통은 활동 중이나 휴식 시, 수면 중에도 일어날 수 있으며 흔히 이른 아침 시간에 발생된다.
둘째, 호흡곤란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심근의 수축력 저하로 심박출량이 감소하면 저산소증, 폐울혈이 나타나면서 환자는 호흡곤란을 호소한다.
셋째, 불안이다.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는 불안, 빈맥, 차고 축축한 피부 등의 교감신경 자극 증상이 있을 수 있다.
넷째, 오심과 구토이다. 심한 통증으로 구토중추가 자극되어 오심과 구토, 서맥, 저헐압이 나타날 수 있다.
다섯째, 발열과 백혈구 증가이다. 발병 24시간 내에 38도 정도의 발열이 나타나서 1주 정도 지속된다. 이는 경색된 심근세포의 사멸에 대한 생리적 염증과정으로 오는 전신반응이다. 또한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통증 시작 수 시간 후부터 백혈구가 증가되기 시작하며, 48시간 후 호중구가 괴사된 심근 조직을 제거하게 된다. 백혈구 증가는 일주일 정도 지속된다.
이처럼 급성 심근경색증은 다양한 증상이 동반되며, 특히 흉통, 호흡곤란, 불안 등이 주요 증상이다."
1.4. 진단
급성 심근경색증의 진단은 심전도 검사와 심근 효소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참고 자료
사례: 『젊은 연령의 신증후군 환자에 발생한 심인성 쇼크를 동반한 급성 심근경색』 (2016. 4) 김규연 외, 대한내과학회, 대한내과학회지, p.326-329
김숙영 외, 수문사, 『제 10판 성인간호학 II』, 2023, 813-829p
성미혜 외, 수문사,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2023, 225-235p, 260-375p
서울아산병원, 급성 심근경색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11
사진 출처, 심근경색증 심전도 소견, https://m.blog.naver.com/daytoday_life/221508511535
druginfo, https://www.druginfo.co.kr/
가톨릭서울성모병원, 약제부, https://www.cmcseoul.or.kr/page/department/support/part_medicine
서울대학교병원, 흉부 X선 촬영 ,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EST&medid=BA000042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11 (아산병원 질환백과)
성인간호학 필통 개념집
성인간호학 (현문사)
기본간호학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