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애의 조기 발견과 개입을 위한 진단 및 평가에 대해 대상, 목적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차이점을 비교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애의 조기 발견과 개입을 위한 진단 및 평가
1.1. 발달 지연의 분류
1.2. 발달지연의 원인진단
1.3. 발달 지연의 위험 인자 및 위험 증상
1.3.1. 발달 지연을 일으킬 수 있는 의학적 위험 인자
1.3.2. 발달 지연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적 위험 인자
1.3.3. 신경 발달의 이상이 있는 경우 자주 보이는 증상
2. 장애의 조기 발견과 개입을 위한 진단 및 평가의 대상, 목적 및 차이점
2.1. 선별(Screening)
2.2. 장애진단(Diagnostic)
2.3. 교육진단(Educational Assessment)
2.4. 평가(Evaluation)
3. 장애의 조기 발견과 개입을 위한 진단 및 평가의 목적
3.1. 개인의 특성을 측정하여 교육배치 및 내용 결정
3.2. 학생의 교육 욕구 평가
3.3. 다양한 자료의 통합적 활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애의 조기 발견과 개입을 위한 진단 및 평가
1.1. 발달 지연의 분류
발달 지연의 분류는 발달 지연이 어떠한 분야에 국한된 것인지, 또는 전반적 발달 장애인가를 파악함으로써 정확한 원인 진단에 접근할 수 있다. 실제로 발달 지연의 주된 증상이 언어, 운동 분야인지 또는 둘 다 침범한 총체적인 지연인가에 따라 원인 질환은 여러 가지로 나뉘어지게 된다. 따라서 발달 지연의 분류는 매우 중요하다. 우선, 발달 지연이 어떤 발달 영역에 국한되어 있는지 파악한다. 언어, 운동, 인지, 사회성 등 어느 영역에 주된 증상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 다음으로는 발달 지연이 정체된 상태인지(static delay) 아니면 퇴행이 있는지(developmental regression) 판단한다. 정체된 상태라면 환경적 요인이나 의학적 요인이 주된 원인일 가능성이 크고, 퇴행이 있다면 퇴행성 질환이나 사고, 감염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발달 지연의 분류는 정확한 원인 진단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발달지연의 원인진단
발달지연의 원인진단은 발달 지연이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먼저 어머니의 임신기간부터 시작하여 출생력, 과거력, 발달 단계의 진행 등을 자세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후 신체 검진과 신경학적 검진을 실시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것은 영아의 체중, 신장, 두위를 측정하여 성장 표에 표시하는 것이다. 소두증, 대두증, 저신장증, 고신장증, 비만 등의 소견은 발달 지연과 연관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선천성 기형, 피부 및 장기 비대증, 눈의 소견 등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염색체 검사, 뇌 영상 검사, 대사 이상 검사, 뇌파 검사, 근전도 검사 등을 추가로 시행할 수 있다. 발달 지연의 정확한 진단은 단순히 치료에만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예후 예측 및 유전 상담 등에도 필수적이다. 따라서 발달 지연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1.3. 발달 지연의 위험 인자 및 위험 증상
1.3.1. 발달 지연을 일으킬 수 있는 의학적 위험 인자
재태기간 3주 미만에 태어난 미숙아, 특히 체중이 1,500mg미만인 극소 저 출생 체중아는 발달 지연을 일으킬 수 있는 의학적 위험 인자이다. 저산소성 또는 허혈성 뇌손상이 있었던 경우, 신생아기에 발작이 있었던 경우, 패혈증이나 뇌막염을 앓은 경우 등 신생아기의 의학적 문제들도 발달 지연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 요인이다. 또한 신생아기에 저혈당증, 심한 황달, 다혈증 등의 문제가 있었던 경우, 심한 폐질환을 않은 경우, 선천성 기형이나 소두증이 있는 경우에도 발달 지연의 위험이 있다. 임신 중 약물, 술, 담배 등의 남용이 있었던 경우도 발달 지연을 일으킬 수 있는 의학적 위험 인자이다. 이처럼 다양한 신생아기 의학적 문제들이 발달 지연의...
참고 자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장애 유아 진단 및 평가/이소현지음/학지사/2009년
장애아 진단 및 평가/김남진, 김정은,최희승/양서원/ 2017년
유아특수교육을 위한 진단 및 평가/조윤경 강지현/공동체/2019년
장애유아의 조기교육/여광응,조용태/특수교육/1994년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이소현/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1995
이소현, 2003,《유아특수교육》, 학지사
김미숙외, 2009,《유아특수교육개론》, 학지사
《유아특수교육학 교안》, 위더스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