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 조직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사의 조직 내 리더십의 중요성
1.2.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본론
2.1. 간호조직문화의 개념과 유형
2.1.1. 간호조직문화의 정의
2.1.2. 간호조직문화의 구성요소
2.1.3. 간호조직문화 유형
2.2.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2.2.1. 셀프리더십의 개념
2.2.2. 셀프리더십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2.3.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2.3.1. 간호조직문화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3.2.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2.4. 긍정적 간호조직문화 형성 방안
2.4.1. 신규간호사 교육 및 멘토링 제도
2.4.2. 간호관리자의 역할과 지원
2.4.3. 간호조직문화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
3. 결론
3.1. 연구결과 요약
3.2. 실무적 시사점
3.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사의 조직 내 리더십의 중요성
간호사의 조직 내 리더십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이다. 최근 사회가 세계화, 정보화되면서 의료 환경의 복잡성과 불확실성 및 비정형성이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다. 국내 환자뿐만 아닌 외국인 환자들의 급증과 신종 바이러스에 기인한 다양한 전염병의 출현, 의료 기술 발달에 따른 의학의 전문화와 세분화, 다양한 서비스 공급을 요구하는 고객들의 증가 등 복잡다기한 의료 환경에 간호사들이 직면하고 있다. 이렇듯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간호사들에게 전문성과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다. 간호사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창의성과 자율성을 스스로 발휘하고 간호계획을 세우고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간호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전문직으로써 업무성과를 높이고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에게 자율성과 권한을 부여하고 창의성을 강조하는 셀프리더십이 요구된다. 셀프리더십은 개인적인 목표설정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도록 이끄는 자율성에 초점을 둔 리더십을 말한다. 즉, 셀프리더십은 행동하는 것 자체에 즐거움과 만족을 느끼며 몰입하고 스스로 동기부여 할 수 있는 리더십이다. 이는 간호사들로 하여금 업무에 대한 몰입과 직무 만족도를 높이고 업무 효율성과 능률성을 향상시키는 등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리더십으로 각광받고 있다.
1.2.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간호조직문화는 간호사들 간의 상호작용과 조직 내 업무수행과정에서 겪게 되는 여러 가지 경험의 결과로 형성된 공통의 신념, 사고 및 행동방식이다. 간호조직문화는 관계지향 문화, 혁신지향 문화, 위계지향 문화, 업무지향 문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긍정적인 간호조직문화는 직무만족도를 상승시키고 조직원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간호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킨다. 또한 새로운 조직원을 교육시키고 적응시키는데 드는 노력과 비용을 조직원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재투자 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간호조직의 질적 성장과 간호사의 사회적 전문가 집단으로서의 위상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간호조직문화 유형 중 관계지향 문화와 혁신지향 문화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조직문화의 7S 요인을 높게 인식하는 간호사일수록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사의 태도나 행동, 일상 업무, 조직몰입,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호조직 측면에서도 간호조직문화는 외부 및 내부고객의 만족도, 간호조직의 효과성, 효율성,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들이 모여 양질의 간호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조직의 효과성, 효율성,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긍정적인 간호조직문화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최근 사회가 세계화, 정보화 되면서 의료 환경의 복잡성과 불확실성 및 비정형성이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다. 국내 환자뿐만이 아닌 외국인 환자들의 급증과 신종 바이러스에 기인한 다양한 전염병의 출현, 의료 기술 발달에 따른 의학의 전문화와 세분화, 다양한 서비스 공급을 요구하는 고객들의 증가와 같이 복잡다기한 의료 환경에 간호사들이 직면하고 있다. 이렇듯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간호사들에게 전문성과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다. 간호사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창의성과 자율성을 스스로 발휘하고 간호계획을 세우고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간호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전문직으로써 업무성과를 높이고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에게 자율성과 권한을 부여하고 창의성을 강조하는 셀프리더십이 요구된다. 이러한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 간의 인간관계를 중요시하고 조직의 융통성과 내부 통합에 중점을 둔 간호조직문화 형성이 필요하다. 간호조직은 소속된 구성원 간에 비전과 가치관을 공유하고 응집력을 갖게 하여 긍정적이고 발전하는 간호 체계를 만들어 조직을 이끌어 나가며, 이렇게 형성된 간호조직문화는 조직성과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셀프리더십에 관한 기존 연구는 셀프리더십이 간호업무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직무역할,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배태성, 간호조직문화와 간호 업무성과에 있어서 셀프리더십의 역할 및 매개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셀프리더십을 구성요인별로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지 않고 하나의 변수로써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들이 많았다. 이런 경우 간호사 집단에 필요한 셀프리더십 항목이 무엇인지,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확인이 어렵다. 또한 간호조직문화의 경우 간호업무 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한 연구가 부족하며, 간호조직문화는 유형별로 조직원이 경험하는 문화와 지향하는 바가 다르므로 이들 변수는 하위요인별로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간호조직 문화 및 간호업무성과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의 셀프리더십 함양 및 간호업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간호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본론
2.1. 간호조직문화의 개념과 유형
2.1.1. 간호조직문화의 정의
간호조직문화란 간호사들 간의 상호작용과 조직 내 업무수행과정 상 겪게 되는 여러 가지 경험의 결과로 형성된 공통의 신념, 사고 및 행동방식이다. 간호사들이 공유하는 가치나 신념은 간호사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간호조직 전...
참고 자료
고유경 외(2015), 종합병원간호사의 혁신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간호조직문화와 조직지원을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21(2), pp.223-231
권혜진 외(2011), 병원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삶의 만족, 직무만족과의 관계 연구,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7 No.1, pp.57~69
박재산1. 이미순2(2011), 종합병원의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검정,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5권 제3호, pp.1~11
서양엽1. 주현옥2(2011), 신규간호사가 지각한 간호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과지 J Korean Acad Nurs Admin, 17(1), pp.88~95
이지원(2014),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중소병원을 대상으로,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 No.3, pp.75~87
이지현 외(2001),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조직몰입, 간호조직 문화, 이직의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30, pp.205~230
조영순 외(2012), 종합병원간호사의 조직문화와 건강증진행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6(1), pp.5~15
최윤정 외(2014), 조직몰입에 대한 개념분석(간호조직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2), 276-287
한수정(2000), 병원 간호조직문화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강윤숙 외(2010). 간호관리와 리더십. 서울: 현문사.
김인숙 외(2003). 최신 간호관리학. 서울: 현문사.
이병숙 외(2011). 간호관리학. 서울: 정담미디어.
염영희 외(2005). 간호관리학. 서울: 수문사.
오인규, “긍정적 간호조직문화, 반드시 가야할 길”, 후생신보, 2013.07.11.
이경주, “간호사들이 행복한 조직문화 만들어야 혁신지향적 문화일 때 ‘직무만족’ 가장 높아”, 간호신문, 2011.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