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종한국어1A 3과 교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
1.2. 한국어 한자어 교육을 위한 강의 목표
2. 본론
2.1. 기본 어휘
2.2. 짧은 문장
2.3. 응용문장 1
2.4. 응용문장 2
3. 결론
3.1. 한국어 한자어 교육의 어려움
3.2. 효과적인 한자어 교육 방법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
외국인뿐만 아니라 어린아이에게도 한국어 어휘를 공부하는 것에 어려워한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어휘의 약 70%가 한자어이기 때문이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할 당시, 주된 교육 대상이 여성과 어린이였으나, 조선 시대 남성 지식인은 여전히 한자를 이용하여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였고, 공식적인 문서는 모두 한자로 쓰였기 때문이다. 어릴 때부터 주변에 재미교포 친구들이 많아 한국말에 대한 거부감이 없었던 외국인이라도 한자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서 한자 교육을 반드시 제공할 필요가 있다.
1.2. 한국어 한자어 교육을 위한 강의 목표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한자어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 어휘의 약 70%가 한자어이기 때문에 한자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한국어 의사소통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자어의 뜻과 발음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기본 어휘 학습, 짧은 문장 만들기, 응용문장 연습 등의 수업 내용을 구성한다. 기본 한자어 어휘 학습을 통해 한자어의 근본 의미를 익히고, 이를 활용한 문장 만들기 연습으로 실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응용문장 연습을 통해 한자어가 포함된 보다 복잡한 문장을 이해하고 구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체계적인 한자어 교육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2. 본론
2.1. 기본 어휘
부모는 가족 구성원 중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강의 교안(2021), 배론원격평생교육원.
박정진(2012) "한글 자모자(子母字)교육 내용의 문제점과 수정 방안"에 대한 토론문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N/A) Vol.2012 No.1
국립국어원-세종한국어- 1
국립국어원-결혼 이민자 한국어 1
한국어한자어교육론_1강 참조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1-7주차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1A, 1B」, 문진미디어(2012).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1-1, 1-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2010).
정소영(2018), “교재 분석을 통한 한국어 발음 규칙 교육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