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기업 인성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공기업 인성검사 현황
2.1. 공기업 채용 선호도
2.2. 공기업 채용 과정
3. 공기업 선발 기법과 도구
3.1. 전기 데이터 평가
3.2. 인터뷰 면접
3.3. 평가 센터
3.4. 심리 검사
4. 공기업의 선발 사례 및 적합한 선발제도 제안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공기업은 정부로부터 위탁받아 운영되는 기업으로, 많은 구직자들이 선호하는 취업 대상이다. 특히 공기업의 공개채용 과정과 선발 도구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본 보고서에서는 공기업 인성검사 현황을 살펴보고, 공기업이 활용하는 다양한 선발 기법과 도구의 특징을 분석한다. 나아가 공기업의 선발 사례를 통해 가장 적합한 선발제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기업이 인재를 선발하는 과정과 기준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채용 전략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 공기업 인성검사 현황
2.1. 공기업 채용 선호도
공기업 채용 선호도는 많은 구직자들 사이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2021년 취업포털 사이트 '사람인'에 따르면, 성인 남녀 3,2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선호하는 기업 10순위 중 5개가 공기업이었다. 이처럼 공기업은 민간기업에 비해 구직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편이며,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공기업 취업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2.2. 공기업 채용 과정
공기업은 정부로부터 위탁받아 운영되는 기업이다. 이들 기업은 수시모집이 아닌 공개모집을 통해 신입사원을 채용한다. 이는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공기업 채용 과정은 서류전형, 필기전형, 면접전형의 순서로 진행된다.
서류전형에서는 교육, 학점, 자격증, 봉사활동 등의 스펙에 대한 정량적 평가와 자기소개서 평가가 이루어진다. 필기전형에서는 주로 전공시험이 실시되며, 인·적성검사, 논술고사 등이 보완적으로 실시된다. 면접전형에서는 개별면접이 가장 많이 진행되지만, 면접 시간이 5~10분 정도로 짧아 실효성이 떨어진다.
공기업은 일반기업들과 달리 직종 순환제가 빠른 경우가 많아 현행 선발제도를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서류전형과 필기전형을 거치면서 어학능력, 자격증, 전공지식 등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고, 면접전형에서 직무 수행 능력과 조직 적응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3. 공기업 선발 기법과 도구
3.1. 전기 데이터 평가
전기 자료는 입사지원서,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 지원자 인적사항과 과거 이력을 정리한 자료이다.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지원자에 대해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역량을 나타내는 몇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이미지'를...
참고 자료
이수희·정규엽(2013), “호텔 직원 핵심역량과 채용평가 항목의 상관관계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7권 제2호, pp. 75-96.
정원영(2007), 『효과적인 인적자원 선발을 위한 모형에 관한 연구: H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월간인재경영, 인재경영, 2021.4.27. 입사 선호 기업 TOP10, IT, 공기업 싹쓸이
한국공항공사 홈페이지, 2022 상반기 채용 공고
(https://www.catch.co.kr/NCS/RecruitInfoDetails/229721)
서울경제, 박우인, 2022.10.27. 한국공항공사, 2022 항공산업 JOB FAIR 개최
배성숙, 2018, “기업의 채용선발 도구로서 인적성검사와 NCS 직무능력평가에 관한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서지수, 2020.08.11, “NCS직업기초능력평가(80) / 수리능력”, 법률저널,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20946